2017년11월16일 [748491] · MS 2017 · 쪽지

2017-08-24 19:06:33
조회수 741

생명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963025

엑스텐 모의고사 12회에서



ㄷ. (ㄴ)(부교감 신경)은 심장박동의 중추에서 심장으로 연결되어있다 


 (거짓)

심장의 중추는 연수가 아니다(~~) 심장자체 어쩌고 되있는데


암튼 저거 왜 아니에요 ㅠㅠㅠㅠ???



아그리고


x염색체와 y염색체는 유전자량이 다르다고 해야하는거에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645071 · 17/08/24 19:15 · MS 2016

    해설지는 아마 심장박동이 동방결절에 의한 자동성?에 의해 된다는거 말하는거같은댕.. 심장'박동'의 중추라고 했으니까 구론걸까여...?

  • 2017년11월16일 · 748491 · 17/08/24 19:42 · MS 2017

    아아..@@님 말이 맞는거 같은데 이해를 못하겠네용 ㅠㅠ 연수가 중추인 심장은 또 따로 있다는 건가

  • 93일의필연 · 698205 · 17/08/24 19:44 · MS 2016

    동방결절 (박동원) 자발적

  • 2017년11월16일 · 748491 · 17/08/24 19:45 · MS 2017

    동방결절은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와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교감신경인 척수신경의 자극에 의해 동방결절의 활동이 빨라지고 따라서 심장의 박동 주기와 세기가 모두 증가하게 된다. 또 부교감신경인 미주신경의 자극에 의해서는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방결절 [sinoauricular node/SA node, 洞房結節] (두산백과)

  • 2017년11월16일 · 748491 · 17/08/24 19:47 · MS 2017

    이해력 부족 ㅈㅅㅠㅠ 그럼 심장박동은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지만 중추가 연수가 아니라는겁니까 아니면 너무 자발적이라 교감신경이 필요 없다는 겁니까

  • @.@ · 645071 · 17/08/24 22:29 · MS 2016

    연수가관여하는건 심장박동의 빠르기.... 라고 들은 적은 잇음 빠르고 느림의 차이지 심장박동자체는 자동으로 이뤄지는 거아닐까요?? 근데 문제로 내기엔 좀 애매한 점 아닌가 흠

  • 2017년11월16일 · 748491 · 17/08/25 01:23 · MS 2017

    힝.. 사설이니까 저런게(!!) 나온거겠죠ㅠㅠ?? 있던 개념까지 없어지겠네ㅠ암튼 감사합니당ㅇ~!!~!~!~
  • 올올 · 678366 · 17/08/24 22:29 · MS 2016

    수완에는 유전자량 다르다고 나와있아요

  • 2017년11월16일 · 748491 · 17/08/25 01:20 · MS 2017

    아하아하 유전자량그래프에는 차이가 안보여서 아닌줄알았어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