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장인분들~~~ 질문 하나만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411321

Fh(B의 퍼텐셜에너지감소량)=1/2 × 2mv^2(A와B의 운동에너지 증가량)+ mgh (A의 퍼텐셜에너지 증가량)
아닌가요?
왜해설에선 알짜힘이한일=운동에너지증가량 으로 정의해놓고 mgh를 빼놓죠? mgh가 왜빠져야하나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411321
Fh(B의 퍼텐셜에너지감소량)=1/2 × 2mv^2(A와B의 운동에너지 증가량)+ mgh (A의 퍼텐셜에너지 증가량)
아닌가요?
왜해설에선 알짜힘이한일=운동에너지증가량 으로 정의해놓고 mgh를 빼놓죠? mgh가 왜빠져야하나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합력이 한 일이 운동에너지 변화량이에요.
그건 알고있긴한데 음 ㅠㅠ
Fh가 왜 B의 퍼텐셜에너지 감소량???
힘F를주고 h만큼 내려와서 그렇다고 생각했어요
mgh랑 비슷한논리로아마틀린이유가 그거같은데
F는 비보존력이라 Fh는 계(A와 B)의 역학적에너지 변화량이에요.
배기범t한테 다배운거긴한데 제가 오개념이있었나보네요 감사합니다
일단 계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습니다.
Fh는 알짜힘이 계에 해준 일이고
그것이 계의 운동에너지 변화량과 같으므로
Fh=1/2 × 2mv^2 로 쓸 수 있습니다
B의 퍼텐셜에너지변화량=A의 퍼텐셜에너지변화량이라서 상쇄되고 운동에너지만 체크하는거죠?
위 풀이는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쓴 것이니 퍼텐셜에너지는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좀 다르게 풀어보면
F는 계에 작용하는 유일한 비보존력이므로
F가 한 일 Fh는 계의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 즉
(A, B의 운동에너지 증가)+(A의 퍼텐셜에너지 증가)+(B의 퍼텐셜에너지 감소)과 같습니다
그런데 A의퍼텐셜에너지증가량 = B의퍼텐셜에너지감소량이므로 상쇄되니 결국엔 위에 있는 식이 나오게 됩니다
와 감사합니다 겉보기엔 같아보이지만 다른 두풀이네요 배워갑니다
합력vs비보존력 풀이인가
비보존력이 한 일 = Δ(Ek+Ep)
보존력이 한 일 = -ΔEp
합력(알짜힘)이 한 일 = ΔEk
저기서 F는 비보존력이고
(F+mg-장력)이 합력인데
F를 가하기 전에 정지해 있었으니
A와 B의 질량이 같으니 F가 합력이고
합력이 한 일 = ΔEk
감사합니다 또다른시각으로 문제를보게되네요
A와 b의 질량이 같음?
네
질문 하루에 하나씩 해주세요 심심함
ㅋㅋ 마더텅으로 돌리면서 오개념 겁나잡는중
헷갈리는거있으면 계속 오르비에 질문 할게염ㅋㅋ
저 방학이라 줫나 할거 없네 님 기계죠?
웬지 에타에서 본거같음
띠용 기계인거 어케맞춤 에타는또머에옄ㅋㅋ
아 에브리타임 안해염
아 아무튼 님 무휴학임 반수임?
휴학반수함
답5번
3순환이나푸셈 님아
3순환 이미한번풂 근데 문제수적어서 내가 오개념 못잡은거임 마더텅이 갑
많은문제를 풀기보다는 3순환 3번 착실히 푸는게 좋아요 ㅎ
102범센세가 말씀하신 것처럼 여러가지 풀이를 생각해 보시면서
마더텅풀고 풀려고요 조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