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의 제가 왜 실패했는지를 고민해봤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353854
저는 작년 9월모의고사를 기점으로 , 실력이 완성됬다고 느껴질정도로 9월평가원을 포함한 이후 사설 ,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문과 0.5퍼 안에드는 성적을 받았습니다 .
9월 평가원성적이 백분위로 100 98 93 97 96 으로 , 국어가 원점수 98에 표점이 138이라는 깡패점수로 그당시 누적백분위로 0.35퍼센트 , 모의지원결과 경희대 , 가천대를 제외한 모든 한의대에 적정~안정수준으로 지원할 수 있는 성적이였습니다 , 그 이후에 본 사설이나 교육청에서도 비슷한 점수를 받았고요 . ( 몇몇 사설에서는 영어때문에 백분위가 조금 떨어지기도 했지만 )
그런데 전 수능날 백분위로 98 93 92 97 94 라는 어떻게보면 처참할 수도 있는 성적하락을 맛보고 , 지금의 학교에 오게됐습니다 .
그당시에는 수능날 당시 멘탈이 안좋아서 , 운이 없어서등의 이유라고 생각을 했지만 , 다시 생각해보니 실패할만한 행동을 많이했던것같습니다 .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자만이였습니다 , 저 스스로 잘한다는 자가당착에 빠져버린거죠 , 공부시간이 급격하게 준건 아니지만 , 너무 어려운문제들만 파고 본질적인것을 놓치면서 스스로 잘한다 잘한다 넘어가곤했죠 , 또한 오르비등 공부이외의 행동을 하는 시간동 크게 늘었으면 , 수능 직전 ( 1~ 2주전 ) 부터는 멘탈관리를 한답시고 학원을 일찍나와 친한친구와 카페에서 책을펴놓고 수능이후에 할것들을 떠들며 시간죽이는 날도 꽤 많았던걸로 생각합니다 .
작년의 제가 이런 행동들을 경계하지 않았던것은 아닙니다 , 분명히 마음속으로는 위에 서술한 행동들을 피할려고 생각했습니다만 , 계속되는 모의고사에서의 높은 점수는 이러한 저에게 조금은 편하게 해도 괜찮다는 착각을 주었고 , 결국 이러한 자가당착에 빠져 스스로 자멸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이번해 수능을 한번 더 보게된 저로서는 오히려 이런 자명한 실패의 이유를 발견한것이 다행이라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 고치면 되니까요 .
이번해 결심한게 몇가지 있습니다 , 첫번째로 9월이든 그 외 사설이든 모의고사점수에 절대 일희일비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 작년에 얻은 가장큰 교훈중 하나는 '수미잡'입니다 , 수능은 정말 모의고사들과는 본질적으로 다른시험인것같아요 , 모의고사점수와 수능점수는 완벽한 독립시행이란걸 느꼈기에 , 잘보든 못보든 모의고사에 휘둘리지 않을 생각입니다 , 그저 잘보면 내 공부방향이 틀리지않았구나 정도로 , 못보면 이과목은 어떻게 보완해야하겠다 정도로만 생각하는게 가장 좋을것같습니다 .
두번째로 수능이 끝날떄까지 학원의 관리에 최대한 맞춰 , 수능전날까지 풀어지지않고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 반수를 시작하는 지금은 의욕이 넘치지만 , 사람이란게 9월이후 날씨가 선선해지고 , 수능이 다가오는게 느껴지면 풀어지게 되더라고요 . 이번에는 꼭 학원의 관리일정에 맞춰 꾸준하고 성실하게 수능 전날까지 제가 해야할 것들을 정리해서 해 볼 생각입니다 .
세번째로 , 열심히하되 ' 절박 ' 하게 준비하지는 않을 생각입니다 , 작년의 저는 경희대 한의대라는 목표에 너무 심취하여 , 만약 내가 경희대한의대에 진학하지 못하면 실패한 것이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목표는 높게잡되 목표는 목표일 뿐 , 단순한 성적향상을 목표로 하는것이 심리적으로 훨씬 나을것 같아 , 이번해에는 작년보다 향상된 성적을 받아 한의대에 원서를 지원하는 현실적인 목표를 위해 공부할 것입니다 , 작년의 절박함은 저에게 과민성대장염등 여러 신체 , 정신적으로 좋지않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 이번해에는 성실하고 담담하게 , 혹은 초연하게 ? 준비해볼생각입니다 .
위에 서술한 고칠점들을 고치기만 한다면 , 작년 모의고사성적으로 미뤄보았을 때 이번해 제가 한의대에 진학할 수 있는 포텐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시작한 반수고요 .
정말 묵묵히 기계처럼 수능전날까지 꾸준하게 준비한다면 , 분명히 성공할 수 있을거라 믿습니다 , 담담하게 오르비에 글로 정리해보니 제 생각도 조금 더 잘 정리되는 기분이네요 , 수험생여러분이 있다면 이글을 읽고 공감하실 수도 있고 무언가 깨달음을 얻어가실 수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부디 꿈이있는 모두에게 행복한 겨울이되면 좋겠습니다 , 열공하세요 ! ^^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국어 인강 강사 주간지에 나오는 지문이 대부분 교육청 위주여서 이제 다시 풀려고...
-
ㅈㄴ귀찮게하노 0
님들도 이런거하냐?
-
다시 가요 5
12시에 와요
-
답 내면 ㄱㅊ은건가요? 가형180921 40분 써서 풀었긴한데 뿌듯한데 시계보니...
-
사랑의 이름으로 카리나 피처링도 의외로 잘 어울린다
-
주변에 별로 없 피는 사람들 대부분은 거의다 중고딩때 시작
-
10살 터울 늦둥이 동생이 재수를 하는데, 저는 15학번 예체능으로 홍대 미대를...
-
국어 성적 인증 14
불필요한 갈드컵을 막기 위해 다른거 다 가리고 국어만 표시험 성적 자랑이 아니라,...
-
많음?
-
현역수능에서 23241(언매미적화1생1)이었고 지금 정시로 인서울 공대 재학...
-
목감기 7
곧 죽을듯
-
지금 국어 공부를 하고는 있는데 실력이 늘고는 있는 건지, 뭔가 느는 느낌이 전혀...
-
뱃지를 달라 2
고
-
한능검 4-6급 따려고 하는데 수능 한국사 강의 들어도 되나요? 메가 이다지 들을 예정임
-
1. 샐러디 로스트 닭다리살 샐러드 오늘은 먹는건 이것만 먹고 이따 깡술 먹을 예정
-
뭐가 있을까요 통신사 lg u+임
-
https://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
-
못쓰게 막아놨으려나
-
안녕하세요 3
안녕히계세요
-
ebs 교사진들이 7번 13번만 언급하던데 왜 16번은 언급 안했는지 의문...
-
언매는 전형태 2
반박 안 받음
-
수1 수2 뉴런을 끝냈는데 들인 시간에 비해 실력이 오른거 같지는 않아요.. 수분감...
-
아니다 시험 하루전에 선생님한테 화나는게 뭔 소용이냐 나올수도 있으니까 피터싱어도...
-
이번 중간고사를 통해 뼈절이게 느꼇읍니다.. ㅈㄴ미루고ㅓ 미루다 벼락치기 쳐해서...
-
누군가가 칼럼을 썼고 그 내용이 납득이 안되는 거 같으면 좀 건전하게 비판을...
-
묻겠다 6
-
김혜자 배우 나오시는 천국보다 아름다운 반려견 장면에서 걍 ㅈㄴ 울어버렸다 스카에서...
-
선지구성원리 1편 내용을 https://orbi.kr/00072983499 이...
-
안먹어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병적으로 너무 심해서 원래 먹던 음식만 먹음 호옥시...
-
홍준표 국민의힘 후보가 29일 탈당을 선언했다. 홍 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에...
-
카베진 별로 효과없어서 위보호식품? 이거먹고 그나마 버티는데 아직 부작용은 없는듯...
-
흐흐 15
이해원 다맞았다
-
대학가면 4
날씨 좋으면 집 주변이나 걷고 친구랑 같이 밤새 개임하고 롤 마스터도 찍어보고 항상...
-
슬슬 쫄리는군 0
시간 지난거에 비해 공부가 너무 안돼 있는데 이거
-
지금 제정신이 아닙니다 흑흑 ㅠ
-
6모 전에 8
재수생입니다 5월 중후반쯤 모의고사 한 번 풀어보려고 하는데 3모를 풀까요? 5월 더프를 풀까요?
-
내신은 3.4 정도 나올거 같습니다 갓반고정도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12,13...
-
시험오늘끝났는데 1
좀쉬다가 스카가야지..
-
3모 14 15 21 22 틀렸는데 공통 들을만 함요??
-
만화카페 왔는데 7
어마금이 없네 변순데..
-
앞길은 막막하기만 하고 연애 따위 할 상황이 아닌데 그걸 나도 아주 잘 알고 있는데...
-
공부 시간 4
수~일요일: 관독에 아침 8시까지 가서 저녁 12시까지 하고 거의 하루 총 합쳐서...
-
3모국어 3 --> 2컷 1문제 차이수학 4영어 2 지구 4 --> 정법으로 바꿈...
-
2026 마더텅 세계사 있는데 백건아 26 기출이랑 내용 완전 똑같나요..??...
-
수학 1일 1실모 하시나용?
-
엄청 친절한 페르소나가 하나 있고 엄청 싸가지 없는 페르소나가 하나 있는데 왜이렇게...
-
19까지 25붕 컷내면 들으라는데 14 15 포함 25분내로 푸는 사람이면 드릴...

이렇게 좋은 경험, 좋은 말인데.....문제는 아주 소수 제외하고 대부분은
"당해봐야" 깨닫는 다는게...
그렇죠 사실 제가 느낀결과 상위권들에게는 '자만'이라는것이 정말 무서운것같습니다 , 본인도 모르게 잠식되는거거든요 정말로 ..
이번에는 직접 당해봐서 느낀게 있는만큼 꼭 잘 준비해볼려고합니다 , 항상 도움되는말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벨로님 :) .
글정말 잘읽었습니다 ! 보다가 궁금한점이생겨서 그런데 질문좀드려도될까요?
이제봤네요 쪽지주세요 ㅎ
정말 공감가는 말들이네요
글쓰신분 생각이 깊은분인것같고.
생각한대로 잘끌고나가서
올해 대박나지마시고
한치의 오차도 없이 노력한만큼 그대로 결과에 나타나실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승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