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비아스 [681293] · MS 2016 · 쪽지

2017-06-02 10:37:36
조회수 1,672

지1 오답률 상위문제 간략히 해설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150268

14번


아마 헷갈리신 분들이 많으신데

이것만 알려드리면 금방푸실겁니다.


주어진 자료는 갯벌에 흡착된 양이고 ㄷ에서 묻는 것은 바다로 유입되는 양이니까

갯벌에 흡착된만큼 바다로 덜 유입되겠지요


16번 ㄷ선지


애매한 측면이 있는것이 사살입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사고과정이 이렇게 하는 것이 제일 낫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교과서에서 온대저기압의 형성과정을 소개하기를

정체전선에서 온대저기압 폐색전선의 순서를 띄는 것으로 교과서나 연계교재에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개념을 말씀드리자면

우리나라의 초여름의 상황으로 정체전선이 나옵니다.


그리고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커지면 정체전선이 위로 북상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2개의 개념을 복합적으로 사고할때

정체전선에서 온대저기압이 형성이 되고 초여름 이후에는 그 정체전선이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이 확산됨에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보아 봄철에 더 잘 형성됨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선지가 깔끔하지는 않습니다.)


17번 ㄷ선지

ㄷ번이 제일 애매한데

(안좋다고 생각합니다.)


증발을 통한 에너지 이동이라고 함은

사실 잠열에 의한 에너지이동과 같습니다.


잠열에 의한 에너지 이동이라는 것은

보통 화학에서 많이 배우듯이 액체가 기체가 될때 기화열흡수를 합니다.

그리고 대기중으로 가서 액화가 됨에 따라서 그에 따른 에너지를 대기에 뿌리고 오고 이를 통해서 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으로 소개하는 개념입니다.


사막의 특성상 물이 거의 없기떄문에 이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서 증발에 의한 에너지 이동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즉 조건통제에 의해 대류,전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18번은 수특연계사항입니다.

2018수능특강 p186 10번 상황과 거의 동일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