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비아스 [681293]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7-04-18 23:51:15
조회수 1,027

대성 지학 18번 오류성이 있어보이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801566

ㄷ번선지..


금성위치가 확정이 안되서 꽤나 위험한 선지인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쿠라코 · 696323 · 17/04/18 23:52 · MS 2016

    모아보기 안보여용

  • 사쿠라코 · 696323 · 17/04/19 00:03 · MS 2016

    아 필터 설정 잘못한거네..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00:04 · MS 2016

    띠용

  • VERITAS · 626102 · 17/04/18 23:52 · MS 2015

    하앍 문제 뭔지 궁금하당

  • 수능굇수 · 496254 · 17/04/18 23:53 · MS 2014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하루동안의 공전속도가 달이 확연하게 커서 그런건아닐까요?

  • 라비아스 · 681293 · 17/04/18 23:57 · MS 2016

    그렇다고 해도 오류성은 다분해보여요
    최대이각안쪽일때랑 바깥쪽일때의 경향성이 다르니까요

  • 너굴2 · 725629 · 17/04/18 23:55 · MS 2017

    죄송하지만 14번 ㄴ 선지가 맞는이유가 뭔지 아시나요..?
    ㄱ과 ㄷ이 틀려서 맞을수밖에 없긴 하다만..

  • 라비아스 · 681293 · 17/04/18 23:59 · MS 2016

    방향을 따지면 됩니다

    가려지는 방향을 보고 푸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비슷한 사례로 달의 위상과 기율어진 방향으로 달이 위치한
    방향까지 추론이 가능한 것이 있겠네요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00:00 · MS 2016

    서쪽이라면 우하향부터 가려졌겠죠?

  • 너굴2 · 725629 · 17/04/19 00:02 · MS 2017

    헉.. 감사합니다 그런데 처음듣는 말이네요 ㅠㅠ 공부 더 열심히 해야겠어요 ㅜ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00:03 · MS 2016

    천구의 적도를 그리시고 실제로 어떻게 가려질까 생각해보시면 금방 와닿으실거라고 생각합니다

  • 팽균값 정리 · 726594 · 17/04/18 23:56 · MS 2017

    저도 약간 걸렸는데 달의 후퇴 속도가 넘사니.. 하고 넘겼어여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00:00 · MS 2016

    아무래도 덜 짚고 넘기신듯합니다

  • 팽균값 정리 · 726594 · 17/04/19 00:01 · MS 2017

    그런거같아요..

  • Bellatrix · 662001 · 17/04/19 00:04 · MS 2016

    안멀어질수도 있다는건가요?? 어떤의미에서 오류인가요?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00:05 · MS 2016

    만약에 금성이 최대이각 이후이면 판단기준이 굉장히 모호해집니다

  • PERRY · 739153 · 17/04/19 08:51 · MS 2017

    설마 최대이각 이후라면 금성이 천구상에서 태양쪽으로 움직이니 오류성이 짙다고 판단하신 근거면 잘못판단하셨네요.

    대략적으로 쳐서 판단하겠습니다. 금성의 회합주기는 1년 7개월이며 편의상 2년이라 가정하고 천구상에서 순행 역행 그딴거 관계 없이 약 하루에 0.5도 씩 움직이게 됩니다.

    달의 공전에 의한 천구상에 이동속도는 하루에 약 13도씩 서에서 동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금성이 최대이각전이거나 후이거나 상관없이 천구상에서 이동하는 각거리는 달보다 확연하게 차이가 나므로 문제가 없는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만약 달이 금성보다 오른쪽 위에 있으면 각거리의 판단이 애매해지지만 애초에 왼쪽 아래상으로 놓여져 있기대문에 거리가 멀어지는 부분은 변하지 않는부분입니다.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13:02 · MS 2016

    판단기준이 교과서에 있다고 전혀 생각되지 않습니다
    교과서를 아무리 뒤져봐도 금성의 하루변화 각거리에 대해서 구술되어있는 곳이 단 한 곳도 없습니다

    저도 변화차이가 심하다는것은 압니다만
    출제의도가 달과 금성의 변화정도를 물은 것이 아니라
    안쪽에서의 방향을 상정하고 낸 것임에 분명하기에 오류성이 짙다고 한겁니다

    만약 변화의 정도가 출제원리라면
    교과서에 구술된 태양과 달만을 척도로 출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느쪽으로 생각하든 저는 오류성이 다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최대이각이후를 놓쳤든,변화폭을 출제의도로 냈든지요

  • PERRY · 739153 · 17/04/20 08:18 · MS 2017

    판단기준이 교과서 상에 어느정도 설명되어있지 않다는 부분은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출제기준을 판단하는것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이 문제에서 최대이각을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주어져있습니까?

    만약 라비아스님처럼 방향에 촛점을 맞춰야한다면 문제상에서 분명히 최대이각을 주어야 한다는점은 저 또한 동의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방향에 의도를 맞추지 않는것 같네요

  • PERRY · 739153 · 17/04/20 08:26 · MS 2017

    제 생각은 이 문제는 방향을 묻는것이 의도를 한것이 아닌 천구상에서 이동하는 거리에 대해 의도를 낸 것이지요

    예를들면 '일식'에서 한번 제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태양도 천구상에서 서에서 동으로 연주운동을 하며, 달도 천구상에서 서에서 동으로 공전에 의한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일식이 일어나는 날에 달의 뜨는시간은 태양보다 빠르고 그 다음날엔 달의 뜨는시간은 태양보다 느리게 됩니다.

    약간 논제가 벗어났지만 이러한 경우는 위상의 변화로 판단할 수 있지요 이러한 풀이방법을 떠나서, 기초적인 얘기는 달과 태양의 이동 방향이 같은데 이것을 판단할 수 있느냐! 이것입니다.

  • PERRY · 739153 · 17/04/20 08:29 · MS 2017

    제가 제시한 회합주기는 단순히 천구상에서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을만한 거라고 생각해서 제시한겁니다. 사실 원래 회합주기로 천구상의 이동한 거리를 구하는것은 옳지 않지요 하지만 현재 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금성이 천구상에서 이동하는 거리 이 부분에 대해서 어느정도 뒷받침할 근거가 된다 생각합니다.

  • PERRY · 739153 · 17/04/20 08:40 · MS 2017

    회합주기가 왜 근거가 되느냐?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루에 달이 뜨고 지는 시간이 50분씩 늦어진다는 것을 알 고 있을겁니다.

    이때 달이 하룻동안 공전하는 각도는 360도를 30일로 나눈 값입니다.

    그래서 12도가 나오게 되고 자전의 효과는 한시간에 15도를 움직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12도면 48분이 나오게 되고 약 50분씩 늦어진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라비아스님은 달이 공전주기가 며칠이라 생각하시죠? 왜 30일로 나눴을까요?

    달의 공전주기는 항성월인 27.3일입니다.

    여기서는 달의 삭망월인 29.5일을 사용했지요

    아시겠나요? 회합주기로 천구상에서 이동하는 각 거리를 측정했다. 이게 교과서에서 나와있는 논점입니다.

  • PERRY · 739153 · 17/04/20 08:48 · MS 2017

    제 견해를 정리하자면 이번 대성 18번 문제는 '방향'으로 판단하는것이 아닌 '속도'로 판단하는것이 맞으며, 서방 전이든 이후이든간에 금성의 이동방향이 어디든 달이 다음날에 금성과의 거리가 멀어진다는것은 Fact입니다.
    이 팩트로 풀어야 한다는것이 제 견해이며, 출제를 이렇게 한 것이지요
    만약 달이 금성보다 더 서쪽에 위치하고, 어느정도 각거리가 주어져 있다면. 그때 라비아스님처럼 방향을 판단해야 하는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라비아스 · 681293 · 17/04/19 13:05 · MS 2016

    그리고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것은 회합주기만으로 구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판단 예시를 잘못드셨습니다

  • RIGEL(서명준) · 523480 · 17/04/19 19:35 · MS 2014

    문제를 봐야 알겠네요..

  • PERRY · 739153 · 17/04/20 08:50 · MS 2017

    해뜨기전 동쪽하늘을 나타냈다.

    -----------------------------------------------------
    ㄷ. 다음날 금성과 달의 거리는 이날보다 멀어졌다.

    이 선지가 논쟁의 주점입니다.

    달의 위상은 그믐달이며, 금성의 경우 최대이각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금성의 위상은 주어져있지 않습니다.)

    달의 위치는 금성보다 왼쪽쪽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 RIGEL(서명준) · 523480 · 17/04/21 00:45 · MS 2014

    애초에 행성의 시운동은 배경별에 대해, '몇 개월'에 걸쳐 '조금씩' 움직이는 것으로 교과서에 잘 설명되어 있는데...
    두 분의 설명을 계속 보자니... 회합 주기를 왜 섞어 설명해야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문제에는 싣지도 않은 개념인데...
    맥락적이지만 교과서에 충분히 나와있는 부분입니다.

  • PERRY · 739153 · 17/04/21 17:49 · MS 2017

    상대적인 크기를 판단하기 위해 회합주기라는 개념을 들고왔네요
    교과서에서는 말씀해주신대로 몇개월에 걸쳐~ 라는 표현을 사용했었습니다.
    좀 더 확실한 반박을 위해 각거리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회합주기라는 개념을 들고왔습니다.
    물론 각거리에 회합주기를 사용하면 안되지만요 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