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아모른직다 [59728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7-04-06 17:05:18
조회수 4,966

수포자 평행이동 이해좀시켜주셈 (선생님환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696130


x,y 가 x는 3만큼 이동 x+3 은 x' (x+3) 으로 표시

y도 3만큼 이동 하면 y+3 은 y'(y+3)으로 표시 


결국 기존의 그래프에서 바뀐 그래프의 점들 (x',y' 로 표시) 


근데 바뀐 그 그래프 식은 y'-3 =f(


y'가 y+3이고 x'가 x+3이죠 그럼 y+3-3=f(x+3-3) 이 되서 결국엔 y=f(x) 처음과 같은 그래프 가 되는데 

어떻게 이게 이동이 된 그래프인거임? 제말은 이동시켯다가 다시 제자리에 돌려놓은거 같은데 왜자꾸 평행이동 됫다고 하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됨 ㅠㅠ


더 이해가 안되는건 프라임을 때버림 왜 프라임을때는거인지; 


프라임이 y+3인데 갑자기 프라임을 때버림

그러면 걍 y가 되는데 어떻게 같다고 하는건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핥짝 · 669956 · 17/04/06 17:12 · MS 2016

    x+3=x' y+3=y'에서

    x'-3=x y'-3=y

    y=f(x)에 x,y 대신 x'-3, y'-3을 대입

    y'-3=f(x'-3)

    x'과 y'은 그냥 편의상 붙인 이름이므로 x,y로 바꿔줌(보기좋게 정리하는 이상의 의미는 x)

    y-3=f(x-3)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7:20 · MS 2015

    그니까 제말은 f(x)에 왜 y(y'-3)값과x(x'-3)값을 다시 넣엇는데 평행이동 된건지?? 결국 제자리로 돌아가는거아님?

    그리고 y프라임이 y+3인데 그걸 함부로 때면 값이 바뀌는거아님?

  • VERITAS · 626102 · 17/04/06 17:1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7:23 · MS 2015

    내가 빠가라서그런가 왤캐 이해가안되지;; 이파트만 인강 10번넘게봄 지금

  • NARU · 113454 · 17/04/06 17:29 · MS 2017

    평행이동된 도형위의 임의의 점을 (x,y)라고 하자.
    그러면 이 점이 원래 도형위의 점을 이동시킨거잖아.. 그러면 원래 점의 좌표는 (x-3, y-3)일거 아냐...

    이것을 원래 도형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성립을 해야 (x,y)가 이동된 곡선위의 점이 되는 거야..
    대입을 해.

    그러면 y-3=f(x-3)이 나와 이것이 이동이 된 도형위의 점을 (x,y)라 할때, x y 사이의 관계식이야... OK,,,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7:33 · MS 2015

    마지막 결론 x-3이랑 y-3을 넣으면 그 전 그래프의 점인데 왜 이동후 라고하는거임???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7:41 · MS 2015

    읽어 봤는데 처음부터 이해 못하겠어요
     P(x, y)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P'(x', y')
    x'은 알겟는데 여기서 왜 y'이 되는거죠? 애초에 같은데요 ? 다른 미지수를 왜 또 쓰는지 이해가 안감 ㅠ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7:45 · MS 2013

    x축 평행이동만 할때는

    y값이 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변화된 x값을 대입해도 y값은 변하지 않아야해요.

    그러므로 y=f(x)를 x축으로 m만큼 평행이동 했을 때,

    모든 점의 x값이 m만큼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함숫값이 같아야하기 때문에

    y=f(x-m)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7:46 · MS 2013

    x'나 y'는 교과서에서 설명하려고 넣은것이구요.
    우리는 x축 평행이동에서, y값은 변하지 않는다는것을 확인해야합니다.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01 · MS 2015

    제가 궁금한건 이겁니다
    x'=x+a 이므로 x=x'-a 이다.
    x+a를 넣어줘야지 왜 x'-a를 대입하는지요
    x'-a는 어차피 x인데 자기자신에 자기자신을 넣는거 아니에요? 왜 계속 자기 자신을 넣는지 이해가 안되요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8:04 · MS 2013

    이거에요.
    새로운 x' 는 x+a입니다.
    근데 이 새로운 x+a를 대입해도 똑같이 f(x)가 나와야해요.
    그럴때, 필요한 함수식은 y=f(x-a)입니다.

    우리는 저 위식에 x 대신 x+a를 넣을거라구요
    그래도 y값은 같아야한다는겁니다.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26 · MS 2015

    제 초점은 y값이 아니에요 평행이동해도 y값이 일정한건 강사가 처음 설명할때 부터 이해햇어요

    저는 x값 자기자신을 넣는데 왜 그래프가 평행이동된 그래프로 표기되는지가 이해가 안되는거임,,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8:34 · MS 2013

    다른방식으로 생각해봅시다
    y=f(x'-a)이래요. 이것은 사실 y=f(x)랑 같아요. 이해되나요?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41 · MS 2015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8:50 · MS 2013

    변한것은 x값입니다. x에서 x+a로 변했죠.
    모든 x값이 변했습니다.

    다만, 그렇다해도 y값은 f(x)로 같아야합니다.
    y=f(x-a)이면 이것이 성립하겠지요.

    y=f(x'-a)=f(x)입니다.
    근데, 앞 식이랑 y=f(x-a)는 다른그래프에요.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21:06 · MS 2015

    f(x)= f(x'-a) 까지 이해 되었습니다 .
    관계식은 다르지만 위치는 같은것 아닌가요? 제가 쓴 저 두 식은?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21:10 · MS 2015

    근데 실제 식에선 왜 위치가 차이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7 06:50 · MS 2013

    우리는 이제 x'을 x로 바꿔줄거에요
    여기에서 그래프가 바뀌는걸로 이해하시면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제 x에 a를 더한 값이 x가 될거거든요.
    x'이 x로 바뀌는 순간이 그래프가 바뀌는 순간입니다.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7 07:12 · MS 2015

    그니까 왜 x'를 x로 맘대로 바꾸는건가요? 그리고 x에 관한식으로 바꿔준다해도 x'=x+a로 바꿔서 대입해야하는거아닌가요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7 08:36 · MS 2013

    x'는 x+a이며, 저기에서의 x는 그냥 x입니다.
    x'를 x로 바꿔줄때 x에 대입되는 값은 원래값에 a만큼 더해준 값입니다.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7 08:39 · MS 2013

    우리는 x'까지 있을때는 그대로의 x값을 대입한거에요
    x'를 x로 바꿔주면, 그 x에는 x+a값이 대입됩니다.

    지금 우리가 알고싶어하는 것은, x값이 평행이동 되어 x+a값이 될때잖아요
    애초에 (x,y)와 평행이동된 (x+a,y)는 다릅니다.

  • 쓰레기 · 739713 · 17/04/06 17:49 · MS 2017

    이해안되면 외우셈그냥

  • 일반청의미 · 447559 · 17/04/06 18:00 · MS 2013

    ㄴㄴ.... 그래도 이해하려고 노력해봐야죠

  • XiaWVing · 423222 · 17/04/06 17:58 · MS 2012

    직접 그래프 아무거나 그려서 점 여러개 일일이 찍고 대입하면서 생각해보세요.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02 · MS 2015

    그건 결과론적 도출이잖아요

  • XiaWVing · 423222 · 17/04/06 18:03 · MS 2012

    지금 작성자분의 이해수준으로는 그 방법이 최선의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결과론적 도출을 통해서 의미를 파악하세요.

  • Unlimited · 736693 · 17/04/06 18:21 · MS 2017

    이해하심? 저도 이거 막혔었는데 ㅋㅋ
    수포자입장에선 이런부분 정말 난감하죠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26 · MS 2015

    아직도이해못함 벌써 2주째임 답답함

  • Unlimited · 736693 · 17/04/06 18:29 · MS 2017

    흠... 저도 님이랑 똑같은 입장이였는데 이해하긴 했는데 이게 설명하기 되게 번거롭더라구요.
    최대한 설명해볼께요 제가.. ㄱㄷㄱㄷ..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42 · MS 2015

    ㅇㅋ

  • Unlimited · 736693 · 17/04/06 18:48 · MS 2017

    점 (x, y) 를 x축 방향으로 +1 가면 (x+1 , y ) 인데
    위의 식에 x랑y를 둘다 1이라 두면 (1 ,1) 은 x축으로 +1가면 (2 , 1) 맞죠?
    여기까진 점에대한 평행이동이에요 점 점 점 점! 여기까진 아실꺼에요.
    근데 f ( x , y )를 x축으로 +1 평행이동하면 f ( x-1 , y ) ? 왜 -1 이야 ..+1 아니야 ? 라고 생각하시고 있는거죠 ?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18:49 · MS 2015

  • Unlimited · 736693 · 17/04/06 19:14 · MS 2017

    좌표평면위에서
    도형(*도형입니다) 의 방정식 f(x)=y을 x축으로 a만큼 y축으로 b만큼 옮겨볼꺼에요.
    우선 f(x)=y를 y= x^2이라고 둬볼께요
    이걸 각각 x축으로 a만큼 y축으로 b 만큼 옮긴다면....
    x'=x+a y'=y+b잖아요.
    평행이동전 식은 여전히 y=x^2인데
    평행이동후의 식을 알고싶은거란말이에요.
    평행이동에 대한 식을 알고싶으면 x'=x+a 와 y'=y+b를
    현재 이동전의 식인 y=x^2에 넣어봐야되요
    그럼 x 랑 y에 대해 정리를 해보면
    x=x'-a가 되고 y=y'-b로 각각 정리할수있죠
    이제 저 y=x^2에다가 집어넣어요
    그럼 y'-b = (x'-a)^2가 되요.
    여기서 프라임을 왜때냐란 생각이 들텐데
    그럼 때지말고 y'를 t로 x'를u로 둔뒤 t가 세로축 u가 가로축으로 되있늠 좌표평면을 그리고
    프라임을 땐 xy랑 비교해보세요.
    아예 똑같죠 ?
    그러니까 x' 를 x로 바꾸던 q로 바꾸던 m으로 바꾸던
    같은 실수범위의 좌표평면이라면 다 똑같기에 그냥 저리 쓴겁니다.

    아.. 뭐라쓴거지 ㅋㅋ 이해안되는부분 다시설명해드림..
    나름 공들여썼는데 제가봐도영 ㅋㅋ
    네이버에 이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글 있었는데
    찾으면 알려드림 ㅎ

  • Unlimited · 736693 · 17/04/06 19:16 · MS 2017

    근데 솔직히 찝찝하긴하겠지만
    그냥 점의 이동이면 님이 생각하는데로 푸시고
    도형의 이동이면 부호만 바꿔서 넣는게 정신적 건강에좋음..
    이부분 뭔가 꼬이면 글로 설명하기 좀 그럼 ㅠㅠ

  • 수능아모른직다 · 597284 · 17/04/06 21:08 · MS 2015

    프라임을 때는 이유는 납득헀는데 f(x)= f(x'-a) 는 같은식인데 왜 위치에서 차이가 나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