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흐마니 [365841] · MS 2011 · 쪽지

2011-05-27 16:18:50
조회수 676

수시로 합격했던 학생들이 정시로도 합격할 수 있었으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64273

그러면 뭐하러 수시 만들어 놨겠음?

그냥 정시로 100% 해도 상관없잖아요? 수시로도 합격되고 정시로도 합격할 수 있으면 공정성이 보장된 정시만 남겨놔도 아무 문제 없잖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longtime · 341872 · 11/05/27 17:59 · MS 2017

    현재 수시 비중 상당히 높아지는거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인데.. 그건 아니에요
    수시도 좋은면이 많아요.

    입학사정관제는 분명히 나쁜 제도는 아닙니다. 특기자전형, 카이스트 포스텍 입학사정관전형 잘 운영되고 있다고 봅니다.
    이과의 경우 다수의 과고생들은 수능공부를 안해요. 오로지 수시로만 들어갑니다.
    보통 고2때 조기졸업하려고 하는데, 그 때 카이스트,포항공대 입학사정관전형이나 서울대 특기자전형을 지원하죠. 연고대 수시 논술도 전부 넣습니다. 그리고 붙은 곳중 골라서 들어가요. 떨어지면 재수(고3)구요
    과고생들이 일반고학생들보다 수학과학에 있어서 훨씬 뛰어난건 사실이고
    일반고 학생들중에서도 올림피아드 입상 등.. 수학과학이 뛰어난 학생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 학생들은 입학사정관이라는 문을 통해 대학을 들어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수시논술의 경우엔 부정적인 면이 많은것도 사실입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그 논술을 대비하는데 있어서 막막하며, 기준도 없고 시험 보고 나서도 왜 붙었는지 왜 떨어졌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학생들이 논술이라는 제도를 평소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제도가 확립이 되어야하는데 그게 아니니까요
    하지만, 수시생들도 수능은 아니지만 자신만의 실력으로 분명히 대학에 당당히 입학한 것이므로 마구 욕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정시생들보다 대학에서 퍼포먼스가 뛰어나기도 하구요.

    논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이 수시도 준비하려는 마인드를 길러주고^^
    정시와 논술에 인원이 적절히 분배되어야 한다는 것이 옳다고 보네요.
    수시에 문제점이 저렇게 있는데, 비중을 이따구로 심각하게 늘려버리니까 어처구니가 없는거지요..
    정시는 안그래도 입학문 좁고 좁은데 인원까지 계속 감소해버리게 되면.. 진짜 원서영역 강의 진짜 나올 기세


    수능의 우월성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니 제발 제가 수능이 우월하다고 뭐라고 안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카타카나 · 372972 · 11/05/27 18:41

    특목고 학생이나 그외 우수한학생들이 수시로 간다는것에 대해서는 옳은 말씀인것 같습니다.

    다만 마지막줄에 글쓴이분은 수능의 우월성에대해 말하려는게 아니라 대학입학의 기준이 고등학교3년간의 공부와 노력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그렇다면 수시보다는 정시가 더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가? 라고 주장하시는것 같습니다.

  • longtime · 341872 · 11/05/27 18:59 · MS 2017

    네..
    밑에 Science님이 올리신 글에 비슷한 내용의 댓글을 달았는데
    제가 수능의 우월성을 주장한다고 보시는 분이 계셔서..ㅠㅠ

  • 섯다 · 355247 · 11/05/28 00:55 · MS 2010

    뻘댓이긴한데 글쓴님 지금 가형사탐 준비중이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