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할때는 운동마찰계수 정지해있을때는 정지마찰계수쓰면됩니다.
들어올리는 힘이 8뉴턴일 때는 수직항력이 24.5뉴턴에서 8 뺀 16.5뉴턴이겠죠 근데 그거에다가 정지마찰계수 0.4를 곱하면 6보다 좀 크죠 그니까 정지마찰력을 최대로 줄 수 있는 한계가 6뉴턴보다 크기 때문에 F를 6뉴턴 줘 봤자 안움직여요. 안 움직일 때는 전체 합력이 0이기 때문에 마찰력은 최대로 줄 수 있는 6.42뉴턴이 아닌 6뉴턴이 됩니다
나머지 두 경우는 운동을 해요 왜냐하면 최대로 줄 수 있는 정지마찰력이 6뉴턴이 안 되어서 물체가 움직임. 그래서 정지마찰 계수 말고 운동마찰 계수를 써야 함
정지마찰계수랑 운동마찰계수의 차이점은,운동마찰계수랑 수직항력은 곱하면 마찰력이지만 정지마찰계수를 수직항력에 곱해도 마찰력이 아닐 수 있어요. 정지마찰계수랑 수직항력이랑 곱한 값은 "최대로" 줄 수 있는 정지마찰력임. 그 이상으로 외력이 주어지면 정지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무조건 운동마찰계수를 써야 합니다. 또는 외력이 최대정지마찰력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초기조건이 움직이고 있었다면 운동마찰계수를 써야 함
들어올리는 힘이 8뉴턴일 때는 수직항력이 24.5뉴턴에서 8 뺀 16.5뉴턴이겠죠 근데 그거에다가 정지마찰계수 0.4를 곱하면 6보다 좀 크죠 그니까 정지마찰력을 최대로 줄 수 있는 한계가 6뉴턴보다 크기 때문에 F를 6뉴턴 줘 봤자 안움직여요. 안 움직일 때는 전체 합력이 0이기 때문에 마찰력은 최대로 줄 수 있는 6.42뉴턴이 아닌 6뉴턴이 됩니다
나머지 두 경우는 운동을 해요 왜냐하면 최대로 줄 수 있는 정지마찰력이 6뉴턴이 안 되어서 물체가 움직임. 그래서 정지마찰 계수 말고 운동마찰 계수를 써야 함
무슨 과세요?
이과갓으면 학고 4번 맞고 퇴학당할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