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의료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428277
밑에 글이 있어서 한번 생각해보았다. 먼 미래에 명왕성으로 수학여행 가고 그런 시절이 아니고 가까운 장래(지금 청년들이 늙어서 은퇴할 때까지 정도)를 생각해본다면 AI가 의사 전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 같다.
1) AI는 환자를 대체하지는 못한다.
본질적으로 컴퓨터는 인간을 흉내낸다. 왜냐하면 결국 인간이 쓰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노동과정을 대신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기 때문이다. 많은 영역에 있어서 AI는 전문가의 역량을 흉내낼 수 있다. 특히 의료와 법률쪽에서 그럴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쪽은 축적된 데이타베이스에서 인출하는 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컴퓨터가 흉내내기 용이한 분야이다.(또는 흉내내는 것이 단가 측면에서 불리하지 않다)
그런데 의료계를 생각해볼 때 의료라는 것은 환자의 의료인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환자가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거나 솔직하지 않다면 대체 어떤 의료인이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AI가 의료를 대체하는 것에는 결정적인 한계가 있다. AI는 의사의 판단과정을 흉내낼 수는 있지만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흉내낼 수는 없다. 물론 대단히 박식한 환자가 있어서 컴퓨터 앞에 앉아서 자신의 증상을 정확히 코드분류해서 입력한다면 AI는 그럭저럭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거다. 그러나 그런 환자라면 이미 의사일 거다.
2) AI는 기본적으로 의료산업의 틀 안에서 제공된다.
의료기기 업체들이 인류의 불로장생을 목표로야 하겠으나 분명히 수익성 안에서 움직인다. 아무리 좋은 AI라도 시장에서 수익성면에서 불리하다면 사장된다. 의료기기업체 입장에서 아주 탁월한 성능의 기기를 개발해서 그것의 수요자 자체가 없어질 정도라면 그 기기를 시장에 내놓을까? 팔리지 않을 상품은 개발되지도 않는다. 결국 그것을 이용할 의사들의 존재를 전제로 해서 상품을 개발할 수 밖에 없다. 의사가 필요없이도 진단이 가능한 AI가 설령 가능할지라도 그것이 매출면에서 불리하다면 그런 기기는 개발되지도 않고 시장에 나오지도 않는다.
아주 먼 미래에는 모든 이가 놀고 먹는 시절이 올지도 모르겠으나 적어도 단기간에는 AI는 그간의 의료기기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할 거다. 지금도 GE 등 의료기기업체들은 아주 훌륭한 의료기기를 내놓는다. 보통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서 패키지로 내놓는데 의사들 입장에서 아주 유용하다. 방사선 필름을 쌓아놓고 뒤적뒤적 하면서 보던 것을 마우스로 클릭하면서 쓱쓱 검색하고 확대도 해보고 길이도 재보고 몇가지 설명들도 달아주고 꿀맛이다. 그러나 그런 상품들은 의사에게로의 판매를 전제로 한다.
일단 시장에 내놓을 상품은 지금까지의 의료기기에서 업그레이드된 형태일 거다. 의사들이 의료기기를 활용하면서 몇가지 단순기능만 편의를 봤다면 앞으로는 그럭저럭 참고할만한 데이타들을 DB를 통해서 제공할 거다.(온라인 회선을 통해서 제공될지도 모르겠다. 요금제?)
몇몇 과에서는 페닥수요가 줄 수도 있다. 이전에 비해 훨씬 탁월한 편의기능들을 제공하니 1인이 볼 수 있는 환자수는 늘 수도 있고 그러다보면 고용수요가 줄 수도 있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영상진단분야가 가능성이 있다는 설이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AI가 의료행위를 본질적으로 뒤바꾸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의료라는 것은 의사 혼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 입장에서는 오진의 위험이 줄어드니 긍정적으로 생각할만 하고 의료계의 부익부빈익빈이 심화될 소지는 있겠다.
p.s) 수술 쪽은 제한된 범위에서 활용될 것 같다. 결국 그것을 쓰는 것도 의사이고 의사도 자영업자인데 스스로의 노동력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훨씬 낫지 않겠나? 배운 것 써먹어야지
p.s) AI와 환자의 관계는 전자결재와 결재권자의 관계와 비슷하다. 아무리 실무자가 전자문서에 능통하고 전자결재 시스템을 원하더라도 결재권자가 전자결재에 익숙하지 않다면 종이문서는 결코 줄지 않는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얕게 아는 것은 많은데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네요,,
-
요새는 미적 28번이 30번보다 어려운거 같은... 1
비주얼만 봐도...기분탓인가
-
인증 4
은 모르겠고 쌈뽕하게 171130푸는 정병훈쌤 보고가세요
-
기요미 목록 5
내 머리속에 이미 저장 완료되어있다
-
이게 그렇게 재밌다던데
-
다들 오랜만이야 3
작년에 그래도 자주 왔는데 난 변한게 없네 그나마 변했다고 차면 감정선이 무뎌진만큼...
-
인생에 여유가 생기니까 24
느긋하게 음악 감상이나 영화보는 게 훨씬 재밋어지는듯 수험생분들 화이팅 !
-
지피티 지브리 ㅇㅈ) 16
흠
-
현재 썸단계인데도 겁나 신경 쓰이고 예민해짐 헤어지면 그냥 패턴 나락 갈 듯;...
-
졸려 1
졸려
-
이천인가 거기 단과비 보편 부과임? 단과 빼버리면 단과비 안 내도 됨?
-
저 사실 이성애자에요… 그동은 속여서 죄송해요..
-
공부 비율을 지키겠어
-
2분째 하는중
-
풀이 2
만덕 안줌이제
-
시대 3관 창가 0
소음 신경쓰이시는 분 계신가요?
-
지브리 이거 10
머리카락 길면 여자로 그려주고 짧으면 남자로 그려주는 것 같아요
-
오빠들 여르비왓어염 22
뿌우
-
흑ㅠ 드디어ㅜ
-
다들 주무세요 2
포스트잇 복습 끝나서 먼저 잘게요 내일 봐요
-
걍 수특 외우먄 되는거 아님?(진짜모름) 반박환영
-
꿈속으로 들어아면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른다. 필자는 이 명제를 활용하여 아주...
-
주변 재수학원에서 재원생만 된다고 다 빠꾸먹었습니다 응시할수 있는 방벚 없나여
-
야생의 코리갑이 나타났다!
-
생성제한 걸리네
-
이씨ㅂ 0
국어실력이 왜 이렇게 널뛰는거지
-
니코틴섭취 5
니코틴이 주는 황홀감이 너무 좋아
-
학교 2
=병신
-
일 하기 싫다 7
하 마법이 풀린 신데렐라가 된 느낌 다시 일ㄹ하러 가야해 내잏이면 울고싶음
-
인강 처음 들음 플러스 북도 해설 강의 해주시나 처음 들어서 모름 자이스토리 있는데...
-
금아이작아!
-
본인 공립인데 큰 차이를 못느낌 셔틀이 없다?이정도
-
크크크
-
야식 ㅇㅈ 5
칼로리 폭탄
-
군대 폰사용 월급 개떡상 정시확대 Pc주의 x맨 수능 안건드림 이재명 낙선시킴...
-
누으니까 너무 행복하다 10
자동으로 미소가 지어져요
-
제곧내
-
둘이 다른건가
-
그냥 순수한 호기심임 수1,2빼고 오직 미적과 과탐만 놓고보면 어떤게 더 어려움?
-
우리집은 7층임
-
이상하게 닮았네 미치겠다 ㅋㅋㅋㅋㅋ
-
그냥 집에서 시간재고 본건데 2년 수능에 박으면 어디까지 가능할거 같음뇨?? 어차피...
-
일단 남고는 8
음지 쪽 드립을 모를수가 없는 구조임
-
ㅇㅈ 4
사귀자
-
ㄱㄱ혓
-
저도,한번,써봤네요..^^ 나름비슷~?ㅋ
-
이석기 이새끼는 내란죈데 어케 사형 안받은 거임
-
진짜 요즘 애들 왤케 순진하지가 않지 타락했다는건 아니고 내가 생각하는 그런 여고생...
-
본인 인증 레전드 댓글 10
1. 테스터 훈님 왜 여기 계세요 2. 의대 꼭 가자 3. 형이 과외해줄게
그런 세상까지 살아봤으면 ㅋㅋ
한 500년 걸릴려나..
노동이 사라지는 세상이..
조류독감인 줄 알고 읽다가 이해 안 될 뻔 ㅋㅋㅋ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인한 AI 프로세스 변화는 필연적으로 현 의료시스템에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방향은 소수의 의사만이 의사로서 살아남고 다수의 의사들은 '의사'가 아닌 의학전공자로서의 새 삶을 찾아야 할 겁니다. 기존의 자본주의 프레임으로 바라보기에는 구조 자체가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늘 산업혁명 이전에는 그 이후의 세계를 정확히 알 수 없었던 것을 미뤄보면 현재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시대를 예상해보는 건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