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월 경기도청 모의고사 언어 20번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39932
제가 처음와보는거라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동일한 장면에 대하여 화자는 몇 가지 방식으로 생각하고, 이 중
의 하나를 선택하여 언어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장면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하는 것을 대안적 사고라 하는데, 이것은 화자
가 장면을 주체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면의 ‘해석’은 장
면을 개념화하여 언어로 표현하는 화자의 선택을 가리키며, 의사소
통의 효율성과 관련한 인지 능력의 발현이다.
그러면 장면이나 상황의 해석에 작용하는 인지 능력 기제인 ‘특정
성’과 ‘시점’을 중심으로 장면에 나타나는 해석의 양상을 살펴보자.
한 가지 장면을 다양한 정도의 층위에서 파악하는 ‘특정성’은 주로
계층 관계에서 작용한다. 해당 장면을 상위 층위에 가깝게 파악할
때는 그 해석이 추상적이며, 하위 층위에 가깝게 파악할 때는 구체
적이며 상세하게 작동한다.
(1) a. 대문 앞에 누군가가 있다.
b. 대문 앞에 키가 큰 청년이 서 있다.
(1)은 동일한 장면을 기술한 것인데, 이들 표현은 ‘특정성’의 측면
에서 차이가 있다. a에서 화자는 인물의 특성에 주목하지 않은 채
‘누군가’로 해석하고 있으며, b는 a와 달리 인물의 ‘키가 큰’ 특성에
주목하여 장면을 해석한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자는 해당 장면의 다
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특정성’의 층위를 조절하고 선택한다.
또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장면에 대하여 화자가 어떤 ‘시점’을 채
택하느냐에 따라 장면의 의미가 달라진다. 이 경우 ‘시점’이란 화자
가 장면의 해석에서 취하는 관점이나 입장을 뜻한다. 화자의 ‘시점’
에 관련된 요소로 ‘객관성’과 ‘주관성’은 하나의 장면에서 화자가 대
상과의 관계에 대해 객관적 입장을 취할 것인가 또는 주관적 입장을
취할 것인가의 문제로서, ㉠화자로부터 분리된 장면의 해석을 ‘객관
성’이라 하고, 화자가 포함된 장면의 해석을 ‘주관성’이라고 한다.
(2) “너는 엄마가 돈 만드는 기계로 보이니?”
(3) “너는 내가 돈 만드는 기계로 보이니?”
(2)와 (3)은 용돈을 거듭 요구하는 아이에게 화난 어머니가 사용
한 표현으로서, ‘엄마’와 ‘나’는 동일 인물이다. 그런데 (3)은 화자가
묘사하는 장면에 자신을 포함시키는 주관적인 해석을 취하고 있으
나, (2)는 화자가 자신을 상위층의 개념에 포함시킴으로써 묘사하
는 장면에서 자신을 분리시키는 객관적 해석을 취하고 있다. 이처럼
주관적, 객관적 ‘시점’의 선택에는 화자의 해석이 작용하고 있다.
결국 장면의 의미란 객관적 대상의 개념적 내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인지 주체의 ‘해석’을 망라
한 것이다.
가 지문입니다.
20. 위 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 그림인데, 계단에 앉은 여학생이 책을 읽고 있는 모습입니다.
ㄱ. 여학생이 계단에 앉아 있어.
ㄴ. 긴 머리의 여학생이 계단에 앉아 있어.
ㄷ. 긴 머리의 여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계단
에 앉아 있어.
① ㄱ은 ㄴ, ㄷ보다 장면을 상위 층위에서 파악한 것이다.
② ㄴ은 ㄱ과 달리 인물의 특성에 주목하여 해석한 것이다.
③ ㄷ은 ㄱ, ㄴ보다 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해석한 것이다.
④ ㄴ, ㄷ은 ㄱ보다 화자가 장면을 주체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⑤ ㄱ~ㄷ은 장면을 표현하기 위한 대안적 방식에 해당한다.
여기서 2번 'ㄴ은 ㄱ과 달리 인물의 특성에 주목하여 해석한 것이다.' 라는게
적절합니까?
ㄱ과 달리가 아니라 ㄱ보다라고 했으면 적절하겠지만
여기서 ㄱ과 달리 ~하여라는건 ㄱ에서는 특성에 주목을 안했다는건데
ㄱ 또한 여자+학생이라는 특징에 주목한 걸로 보이는데요.
답지를 뒤져봐도
답지는 'ㄴ은 ㄱ보다 특성에 더 주목하기 때문에 적절하다' 라고 설명합니다.
제 생각이 맞는건인지, 만약 틀리다면 왜 그런것인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오ㅑ 이렇게 20
사납게 생겻냐… 고딩 때는 더 동글동글했렀는데 이러니 여자가 없지 ;;
-
아가 자야지 6
네
-
미적분빡공하기 1
내신의 순기능 근데 내 수준: 수특 레벨2 간신히 푸는 수준 이긴해 ㅋㅋㅋ...
-
수학개존나잘하고싶다 12
열받아서 자러감
-
모자에 쌩얼이었는데 그 분이 내 자리 의자 치고 가서 죄송합니다 하는데 눈...
-
그냥 지1생2 하는게 젤 낫나요?? 지1생1 31베이스입니다.
-
인증도 하고 뭐 다 했는데 지금 생각하니까 존나 수치스러움
-
https://v.daum.net/v/8oq83dva1c 2022년에 한...
-
?
-
하 시발 6
힘들어
-
오버워치재밌는데
-
나도 별을 품고 싶다
-
5모 목표 1
국어 백분위 98 수학 백분위 90 영어 1 동사, 사문 2 동아시아사 연표...
-
왜 아직까지 못놓고 있지
-
얕게 아는 것은 많은데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네요,,
-
요새는 미적 28번이 30번보다 어려운거 같은... 1
비주얼만 봐도...기분탓인가
-
기요미 목록 5
내 머리속에 이미 저장 완료되어있다
-
이게 그렇게 재밌다던데
-
다들 오랜만이야 3
작년에 그래도 자주 왔는데 난 변한게 없네 그나마 변했다고 차면 감정선이 무뎌진만큼...
-
인생에 여유가 생기니까 25
느긋하게 음악 감상이나 영화보는 게 훨씬 재밋어지는듯 수험생분들 화이팅 !
-
지피티 지브리 ㅇㅈ) 16
흠
-
졸려 1
졸려
-
저 사실 이성애자에요… 그동은 속여서 죄송해요..
-
공부 비율을 지키겠어
-
2분째 하는중
-
풀이 4
만덕 안줌이제
-
시대 3관 창가 0
소음 신경쓰이시는 분 계신가요?
-
오빠들 여르비왓어염 22
뿌우
-
다들 주무세요 2
포스트잇 복습 끝나서 먼저 잘게요 내일 봐요
-
걍 수특 외우먄 되는거 아님?(진짜모름) 반박환영
-
꿈속으로 들어아면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른다. 필자는 이 명제를 활용하여 아주...
-
주변 재수학원에서 재원생만 된다고 다 빠꾸먹었습니다 응시할수 있는 방벚 없나여
-
야생의 코리갑이 나타났다!
-
생성제한 걸리네
-
이씨ㅂ 0
국어실력이 왜 이렇게 널뛰는거지
-
학교 2
=병신
-
인강 처음 들음 플러스 북도 해설 강의 해주시나 처음 들어서 모름 자이스토리 있는데...
-
금아이작아!
-
본인 공립인데 큰 차이를 못느낌 셔틀이 없다?이정도
-
크크크
-
군대 폰사용 월급 개떡상 정시확대 Pc주의 x맨 수능 안건드림 이재명 낙선시킴...
-
제곧내
-
둘이 다른건가
-
그냥 순수한 호기심임 수1,2빼고 오직 미적과 과탐만 놓고보면 어떤게 더 어려움?
-
우리집은 7층임
-
이상하게 닮았네 미치겠다 ㅋㅋㅋㅋㅋ
-
그냥 집에서 시간재고 본건데 2년 수능에 박으면 어디까지 가능할거 같음뇨?? 어차피...
-
ㅇㅈ 4
사귀자
-
ㄱㄱ혓
(1) a. 대문 앞에 누군가가 있다.
b. 대문 앞에 키가 큰 청년이 서 있다.
(1)은 동일한 장면을 기술한 것인데, 이들 표현은 ‘특정성’의 측면
에서 차이가 있다. a에서 화자는 인물의 특성에 주목하지 않은 채
‘누군가’로 해석하고 있으며, b는 a와 달리 인물의 ‘키가 큰’ 특성에
주목하여 장면을 해석한 것이다.
위는 지문의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보시면 아시겟지만 정확히 2번선지와 같이 b는 a와 달리 인물의 특성에 주목하여 해석한 것이다. 라고 써잇네요
제 말은 지문의 a와 문제의 ㄱ이 다르다는겁니다. 지문의 a는 아무런 특성도 가지지 않은 '누군가'이기 때문에 '~와 달리'가 맞지만, ㄱ은 '여자'와 '학생'이라는 특성을 가진 여학생이잖아요.
그렇네요, 교육청이라 좀 문제가 깔끔하지 않은면이 있군요.. 님 말씀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