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날다 [257626] · MS 2008 · 쪽지

2011-02-22 10:40:51
조회수 963

임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35589

안녕하세요. 저는 재수학원을 두 번 다녀본 삼수생 출신입니다.
저는 고교를 자퇴한 뒤 2009 수능을 준비하기 위해 주간 이과반에 다녔고,
6월 평가원이 끝난 뒤 09 수능을 112일 남겨놓고 야간 문과반으로 옮겨 끝까지 다녔습니다.


그리고 2011 수능을 대비하여 삼수를 할 때에는 2월부터 5월까지 야간 문과반에 다녔습니다.


이번에 학원을 다니면서 느낀 점, 주의해야 할 점 등을 테마별로 나누어
꾸준글로 올리려고 합니다. 저는 많은 댓글과 추천을 먹고 삽니다. 읽고 그냥 지나가지만 마시고
호응을 좀 해 주세요^^; 좀 오랫동안 기획하고 있는 프로젝트(??)라 말이죸ㅋㅋㅋ










http://blog.naver.com/hms96104?Redirect=Log&logNo=150102847284
↑새 창을 연 뒤 위 주소를 써서 BGM을 들으며 보면 더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재수학원을 두 번 다녀본 삼수생 출신입니다.
저는 고교를 자퇴한 뒤 2009 수능을 준비하기 위해 주간 이과반에 다녔고,
6월 평가원이 끝난 뒤 09 수능을 112일 남겨놓고 야간 문과반으로 옮겨 끝까지 다녔습니다.


그리고 2011 수능을 대비하여 삼수를 할 때에는 2월부터 5월까지 야간 문과반에 다녔습니다.


학원을 다니면서 느낀 점, 주의해야 할 점 등을 테마별로 나누어
올해동안 꾸준글로 올리려고 합니다. 저는 많은 댓글과 추천을 먹고 삽니다. 읽고 그냥 지나가지만 마시고
호응을 좀 해 주세요^^; 좀 오랫동안 기획하고 있는 프로젝트(??)라 말이죸ㅋㅋㅋ
----------------------------------------------------------------------------------------------------------------------------------------------------


세상의 모든 경쟁이 그렇듯이, 입시도 야속하고 냉정합니다.
누군가 붙는 사람이 생기면 떨어지는 사람이 생기기 마련이고,
하필이면 내 자신이 그 '떨어지는 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저도 그랬구요,


그런데 가끔은 실패의 경험이 나중의 성공에 은근히 큰 밑거름이 되기도 합니다.
전에 올라왔던 글마따나, 실패를 탓하고 앞으로의 새로운 과제에 두려워하기보다는
이것을 하나의 과정으로 여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아직 완성된 사람이 아닙니다.
결과상의 성"공"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과정상의 성"장"도 중요하지요.


저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저는 고등학교 다니던 때 완전히 더할 나위 없는 ㅂㅅ이었습니다.
제 수기를 본 분들도 꽤 계시겠지만 일반고임에도 불구하고
하루 14시간 공부하고서도 내신에서 국어 4등급, 영어 5등급, 수학 7등급을 받던 상ㅂㅅ이었죠.
비록 당시에 이과였지만 1학기여서 수학1만 시험 범위에 들어가는데도 이랬습니다.
그 당시엔 그것이 그렇게 부질없는 짓인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도저히 희망이 없어 보이니 고2 1학기 기말고사가 끝나고 나서 고등학교를 자퇴하게 되었죠.


그래도 그 뒤에 성적이 올라 고3 나이때 강남대성에서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성적이 너무 부진한 차에 2009 수능대비 6월 평가원을 치게 되었습니다. 그 전설의 불수리요.
가형에서 3등급을 받고 나니 갈 대학이 없더군요. 침울해진 저는 수능을 100여일 남겨놓고 문과로 갔습니다.


그 뒤에 이런저런 우여곡절을 겪다가 현역 때 학교에 들어갔지만 반수를 했고,
휴학반수가 안 되자 자퇴하고 쌩재수로 돌렸습니다.
그러나 처놀기만 하다가 결과가 GG되서 재수를 똥망하고 쌩삼수를 시작하게 되었죠.


그러다 이제서야 삼수로 설대에 들어왔습니다. 참 긴긴 여정이었죠.
그런데 오늘 이 자리에 저를 서 있게 한 건 역설적이게도 다름아닌 저의 실패들이었습니다,
그 실패들에 파묻혀 포기하기만 했다면 저에게 이런 기회는 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공부하다 막히는 게 많아서 포기하고 싶을 때면 항상 과거의 제 모습을 떠올리며 자신을 채찍질했습니다.
수학 7등급, 영어 5등급이었는데 1년만에 2009 수능에서 1등급을 받았다는 점을 항상 떠올리며
그렇게 큰 장벽을 이겨낸 저에게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확신을 항상 제 자신에게 넣어 주었죠.
과거에 그렇게 크게 실패했던 덕분에 그것을 극복했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재수를 할 때 쉬고 싶고 놀고 싶다는 유혹을 많이 받았으나 결국 이겨내지 못해
실패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기에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근성이 생겼습니다.
똑같은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었던 거에요.
2011 수능을 보기 한 달 전쯤부터는 하루에 17~18시간씩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이과에서 실패해서 문과로 떠밀려온 경험도 결국엔 아주 소중한 자산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설대 논술 논제 1번이 케플러 문제였는데, 논제 3의 음악과 쌍벽을 이루는 고난도 논제였죠.
이과에서 지구과학 2를 공부하면서 이미 공부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논술을 수월하게 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렇게도 바라던 서울대학교 학생이 되었습니다.
서울대에 가고 싶은데 내신이 안 된다고 학교까지 버리던 기억이 선명하지만 그게 벌써 무려 4년 전 일이네요.
또 재수에 실패했을 때에는 그렇게 생G랄까지 떨었는데 실패한 제 자신이 한심했습니다.
그 당시, 한밤중에 '내가 웃는게 아니야'를 크게 틀어놓고서는 오르비에서 성공한 분들 좋아하는 글을 보면서
깡소주를 3병 연속으로 마신 뒤 잠들었다 일어나 하루종일 토했던 기억도 나네요.



그래도 이런 실패의 과정에서 울분을 느끼고, 안타까움을 느꼈기에
삼수까지 이어진 긴 여정을 버텨낼 수 있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러분도 실패를 좋은 경험삼아 앞으로의 성공에 걸림돌이 아닌 디딤돌로 삼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1.재수하는데 친구가 꼭 필요한가요?ㅉㅉ 학원에 공부하러 왔지 친구 사귀러 온줄 압니까? (특히 학부모님들이 이런 인식을 많이 가지심)

네, 필요합니다. 그것도 아주 많이요.
재수는 사람을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폐하게 만듭니다. 그런 상태를 9달 내내 끌고 가야 합니다.
서울대를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논술 때문에 두 달이나 더 고생해야 합니다.
사실상 1년에 가까운 기간동안 과연 혼자 외롭게 버틸 수 있을까요?
고등학교 때 친구들을 만나면서 회포를 푸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각보다 만날 기회가 많진 않을 거에요.
똑같이 재수생이 되어 묶여 사느라 못 나오기도 하고,
대학에 가는 데 성공해 바빠져서 못 나오거나 간혹 여러분이 비교의식 때문에 그들을 멀리하기 때문에 못 만나기도 합니다.
심지어 그냥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군대 가 버리는 친구들도 좀 있습니다.


저처럼 고교를 자퇴한 분들이라면 아예 고등학교 친구도 거의 없겠죠.(ㅠㅠㅠ)


이런 상황에서 같은 처지 아래에서 동병상련으로 묶인 재수학원 급우들은 아주 소중한 친구가 됩니다.
그리고 힘든 재수생활을 이겨나갈 수 있는 큰 밑천이 됩니다.
서로 챙겨주고 이끌어주는 좋은 관계가 될 수 있다는 거예요.
다만 친목질이 너무 과도하여 공부에 지장이 될 정도로 해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여기 계신 분들 쯤 되면 판단력과 자제력이 있어서 그런 데 빠지지 않을 것이라 믿습니다.
밥 먹고 이야기할 정도의 친구면 되지 않나요. 재수학원에서 클럽 갈 친구가 왜 필요합니까.
친구가 그렇게 꼬시걸랑 여러분이 이끌어 주세요. 친구 좋은 게 뭡니까.
그러고도 걔가 정신 못 차리면 걔 인생이니 어쩔 수 없죠.


게다가 그렇게 힘들 때 사귄 친구들은 대학을 가고 나서도 계속 좋은 관계 유지하면서 알고 지낼 수 있어요.
인맥은 넓을수록 좋지요. 그러니 지금 당장 옆에 앉아있는 짝궁과의 인연을 소중히 하시길 바랍니다...





2.그러는 당신은 어떘는데?

저는 상황이 조금 특수하다보니, 친구를 만들 여건이 안 되었네요.
그런데 저의 3가지 사례를 비교해보면 친구의 필요성이 확실하게 드러납니다.


현역 때에 1학기엔 주간 이과반에 있다고 했었죠?
그 당시 제 주변 사람들은 전부 재수, 삼수, 사수였습니다.
가뜩이나 제가 낯을 좀 가리는데 나이 차이까지 나니까 너무 서먹서먹하더라구요.
결국 그냥 아싸가 되가지고 공부만 했습니다. 4월까지는 잘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심리적으로 너무 힘든 것 있죠.
처음엔 그냥 제 자신의 의지가 약해진 탓일 것이라며 자책하고 채찍질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당연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고립되가지고 얼마나 버티겠나요.

외롭고 힘들게 나 혼자 섬 안에 갇힌 느낌이 너무 답답했습니다.
게다가 5월이 지나갈 즈음부터는 다들 친목질이 많아졌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다 이야기할 친구가 있고 친하게 지내는데 나만 혼자 떨어져 있는게 너무 우울했어요.
거의 정신적으로 피폐해져서 공부도 안 되고, 미쳐가는 자신을 발견했을 떈 이미 늦었어요.
그렇게 우울해져서 공부가 안 되니 성적은 자꾸 떨어져서 안되겠다 싶으니 그냥 문과로 가 버린 것입니다.
그것도 수능을 100일밖에 안 남겨놓고 말이에요.

그렇게 2학기부터는 야간 문과반을 다니게 되었습니다.
다행히도 거기서는 어떤 대학을 다니다 휴학하고 삼반수를 하는 형과 친해졌죠.
더 이상 밥을 혼자 먹을 필요도 없었고, 모르는 게 생길 때 곧바로 옆에 물어볼 곳도 생겼고,
고민을 털어놓을 데도 생겼습니다.

그리고 그 형 한 명과 친해지니 그 형과 친한 다른 사람들과도 친해져서 거기서는 그럭저럭 잘 버텼습니다.
심리적인 부담이 없으니 공부의 효율성도 높아지던걸요.
주간반에 다녔을 때 처럼 PC방이나 가고 싶다는 유혹이 들기도 했지만 그 형이 워낙 공부를 열심히 하시니
차마 그 분을 냅두고 혼자서 놀러갈 수가 없더라구요. 저도 마음을 경건하게 다잡고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전과한지 100일만에 사탐3개, 한문(당시 아랍어가 꿀이란 걸 몰라서 ㅠㅠ) 다 1등급 98, 99찍고
서울시립대 세무에 3석으로 우선선발 장학생이 되어서 다니게 되었어요.


그런데 학교가 마음에 안 들어 반수를 하다 나중에는 자퇴를 하고 쌩재수로 돌아섰어요.
'두 글자를 빼고 싶다(서울 빼면 큰일납니다)'는 것이 이유였지요.
그 형도 어디 한의대 되셨는데, 제가 재수하면서까지도 참 많은 도움이 되어 주셨습니다.
힘내라면서 매달 만나서 밥도 사 주시고, 인강 들을 때 보태 쓰라며 용돈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재수학원 친구는 어차피 대학 가면 소용 없다는 분들... 이래도 과연 소용이 없나요.
여러분이 얼마나 진지하고 깊게 사귀느냐의 문제입니다.
나이 차이가 나는 형도 이렇게 살아가면서 큰 힘이 되는데, 하물며 같은 또래겠나요.


그렇게 2010년도에 2월 야간반에서 삼수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겠는데 친구가 안 생기더군요. 참 미스테리했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