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꾸준히 읽으라고? - 논술 비틀어 보기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33890
1. 하루 아침에 글을 잘 쓸 수는 없다.
더군다나 깊이 있는 지식에 창의성까지 더하고 논리적이고 우수한 글을 쓰라?
어떤 면에서 ‘논술’이란 과목은 현실에 대한 기만일 수 있고,
적어도 단기적으론 뒤틀려진 교육 현실을 더욱 뒤틀어지게 만들어버릴 수 밖에 없다.
2. 세상은 확실히 변했다
생각해보라. 4당5락은 옛말.
이미 초등학생때부터 영어는 기본이고, 우등상보다 개근상이 대우 받던 시절은 오래 전에 사라졌고,
학기 중에 가족 여행은 물론이고 어학연수까지 다녀오는 세상이 되버렸고
특목고나 외고 최상위권 학생들의 목표가 ‘서울대’를 넘어 ‘미국 명문대’로 바뀐지가 오래이니 이런 현실을 누가 뒷받침 하겠는가?
3. 국가? 교육부? 혹은 대통령 후보들의 공약?
모두가 자신만만하게 대한민국 교육을 변화시키겠다고 얘기하지만 누가 그들의 말을 믿는가.
교육 업계 종사자가 100만명이 넘고, 교육 문제가 국가경쟁력이니 기업혁신과 결합하며 나날이 시장과 간격을 좁혀가는 만큼
교육은 지도자 한명의 의지라던지, 정부에서 정책 하나로 해결될 성질은 멀찌감치 벗어났다.
물론 피튀기는 경쟁 속에 자기 학교 위신을 세우기에도 급급한 사립대들에게 자율권을 준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될까?
그 역시 순진한 생각.
'3불 고수’라던지 ‘대학자율화’로 언급되는 보수, 진보 간의 교육 논쟁 역시 기실 현실 속에 얼마나 무력한 논쟁인지
이제는 솔직히 인정한 후에 새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4. 거짓말이 오래되면 무던해지는 법
한번도 제대로 실행된 적은 없지만
여전히 공교육이 고수하는 바는 ‘변화하는 시대에 걸맞는 인재양성’과 더불어 ‘인성교육에 근간한 참인간 양성’.
거짓말을 너무 오래하면 비판받기 보단 무관심 해 지는게 사실.
사범대가 뜨는 이유도 급변하는 세상 속에 가장 ‘안정적이면서 유망한 직장’ 탓이겠고,
학생들이 학교선생 말은 안 들어도 학원선생한테는 맞아가면서 열심히 공부하는 것도 이미 분명한 사실.
그렇다면 너무나 빡빡하게 변해가는 현실 속에 한국 교육이 가진 중심적인 부분은 과연 변하였는가?
어떤 면에서 교육부의 분투는 인정해야 하겠으나 현실의 급격한 변화는 일련의 교육 개혁들을 무색하게 만들어 버렸다.
전과목을 외울 필요도 없고, 사회탐구 과목 등은 선택 범위도 주어졌지만 과거보다 입시 문제가 나아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또한 입시라는 긴 레이스를 위한 전후방의 과정은 보다 고도화되고 길고 길어졌다.
이미 초등학생때부터 많은 소양을 갖추어나가야겠고, 명문대 합격?
취업 관문은 대학입시 못지 않으니. 이제 시작일 뿐! 사슬은 더욱 강하게 우리의 삶을 조여 댄다.
5. 뭐 좀 바꿔줘봐~
‘책을 읽으라’는 말이야 옛날부터 듣던 얘기고 그 때도 이 말을 진지하게 듣는 사람들이 얼마 없었을 뿐더러
바쁜 입시 준비에 읽을 시간이 없었고 사실 안읽어도 큰 문제가 될 것 역시 없던 시절.
같은 말의 반복임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으라’는 요구는 ‘논술 강화’와 더불어 갑작스레 밀어닥치고 있다.
책을 읽어야 생각이 넓어지고, 그것도 어렸을 때부터 충분히 읽어야 논술 시험 볼 때 비로소 효과가 난다고 하니. 지당한 말씀.
그때 그랬듯 유교 문화에서 자란 우리 민족에게 책 읽는 것에 대해 ‘싫다’는 말은 해도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는 법.
그렇다면 읽을 시간을 줘야 하지 않을까?
개별 교과목들의 분량은 전혀 줄지 않고 지리과목은 2과목에서 3과목으로 세분화되었고,
사회탐구는 무려 11과목으로 세분화되어 발달했으니 수능 준비에 내신, 게다가 논술이라니!!
6.누구나 쉽게 말할 수 있다.
논술은 교육의 근본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고. 누구나 말할 수 있다.
논술 교육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도 프랑스 바깔로레아처럼 수준을 한층 높을 수 있다고.
하지만 무엇인가 변화하려면 변화를 위한 요구 뿐 아니라 변화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유’라도 줘야 하는 법.
모두가 ‘논술’의 의도나 취지도 알고, 왠간한 교육적 지식이 있다면야 한두마디 좋은 소리를 할 수는 있겠으나
질릴대로 질리고 지칠대로 지친 학생들에게 물어보라.
논술 역시 또 하나의 시험일 뿐.
누가 이 가식적인 어른들의 주장을 곰곰이 듣겠는가.
- 깊은계단 비잔틴 2008. 4. 7 (lyang.blog.me)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윤통 탄핵 절대 안되니까 | 오르비 탄핵 반대하시는 Schmidt님 댓글엔 좋아요...
-
뭔가 한참 봤네
-
걍 한번씩 싹 다 대충 훑어서 기출 풀어보고 제일 나랑 맞는걸로 해봐야되나
-
오빠한테 소고기 얻어먹을 건동홍 이상 여대생은 쪽지 줘. ^^
-
고딩이 아니여서
-
기숙사 생활했었어서 모교까지 거리가 멀어서 그런데 집 주변 학교에서는 6모 못보는건가요??
-
기만 4
아까 밥먹은상대 여자임 ㅋ
-
그냥 화끈하게 사탐 2개 지를까 고민도 되는데 지구 버리긴 아깝고 참 근데 수능날에...
-
ㄱㅁ하나함 0
6모 신청한다고 오늘 개많이 걸었음 피곤하다
-
나도 걸음 수 9
-
https://orbi.kr/00028826951
-
일일 걸음 수 17
-
수학 개념강의를 듣기전에 먼저 개념서에 있는 개념설명을 읽고 난뒤 강의를 듣는게...
-
여러분은 하루에 몇걸음정도 걷는 게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21
천보 이상만 걸으면 적절한 거 아닐까요
-
위니비니 6000원어치 사서먹음...
-
평가원이 정의하는 킬러는 사교육의 스킬이나 방법론을 0
반복해서 쉽게 풀 수 있는 문항들임 킬러는 '난이도'의 문제가 아니라고 못박았음
-
독재 다니는데 여기서..? 여기선 달에 한 번씩 사설봐서 너무 익숙해질거...
-
사랑해 gpt쨩
-
학교에 미리 연락 안하고 그냥 바로 행정실 가셨나요.
-
3수이상 분들 6모 학원이랑 모교 중 어디가 나아요 7
우리 학원에서 응시된대서 학원은 집에서 5분 거리긴함 근데 현장감 때문에...
-
있다면 어디까지 가능할까
-
속보) 화성 태행산 정상에 폐오일 뿌린 60대 자수…“텐트치는 캠핑족에 화나서” 3
경기 화성시 비봉면 태행산 정상 부근에 폐오일을 뿌린 60대가 경찰에...
-
여기 왜 오처넌이냐 씨빨
-
젭알
-
진짜 충격적이다
-
쌤도 벌써 50대가 되셨구나..
-
1컷만 넘기자 제발
-
앵그리버드 쿠키런(이때도 실존했다) 다함께 차차차 스페셜 솔저 메탈슬러그...
-
죽는다죽어
-
이거 지문이 원래 이렇게 답답하나요?? 다 맞긴 했는데 먼가 확 뚫리지 않고...
-
걍 미분해보니까 (a.f(a)) 접선꼴 나오길래 차함수 처리해서 풀었는데 이래도...
-
이번 3모 수학 3
10번 틀리고 22번 맞았는데 은근 이런사람 많을거같은데ㅜ22번은 n제에서 많이...
-
맛점하세요 2
네엡
-
이거 어디가 잘못된 거임? 다시 해서 정석대로 풀긴 풂
-
현역 고3입니다!! 친구들이 강t에서 김승리로 넘어가라고해서 설득당했는데.,....
-
푸느라 개고생했으니 개추좀
-
준?역덕이라 중국 일본 관직, 시대, 후궁 품계까지 다 외우고 있는데 사건이랑...
-
앵그리버드임 반박안받음
-
밖에 돌아다니는 커플들 아니 주변 친구들만 봐도 그저그런 얼굴이나 솔직히 조금...
-
1사탐1과탐이면 경희대 한의예과 인문,자연 둘다 지원할수있는건가요?
-
포우 아직도 서비스함
-
하늘색 아기 드래곤? 키우는 게임이었음 밥 주고 이불 덮어서 재우고...
-
늦잠자서 학원 접수 올실패함 ㅜ
-
남동생한테 조언 맞게 해준 거 맞나요? 이새끼 지 할말만 하는 거 약간 킹받긴...
-
작년 강k 수학 4점짜리 문제들이 시중 n제보다 퀄 좋나요? 심심할때마다 n제 대신 풀어볼라는데
-
3모 영어 쉽네 3
으어,,, 아 아아 이게 이거네ㅡ하다 보면 거의 풀리네
-
시중 스킬 모두 마스터한 의대생이 집필한 생명과학 1 책 0
경북대학교 의예과 23학번 지니입니다. 아래는 제 간단한 소개입니다. [저자 소개]...
-
1번틀렸다고씨발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 대응이라는 조건이 모든 정의역 집합이 모든...
결국엔 그만큼 어릴 때부터 준비하셈이라는 뜻이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