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박스 [402630] · MS 2012 (수정됨) · 쪽지

2017-02-08 11:11:45
조회수 38,760

학과별 입학 나이 마지노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152730

학과별 입학 나이 마지노선


의대 - 5수 까지 (20대 중반까진 괜찮음.)

대체적으로 5수 까지는 괜찮은거 같고 20대 후반이나 30대에 입학하는 경우도 간혹 있음.

5수 정도 하고 의대 입학해서 지금 의사인 몇 분과 대화를 나눠봤는데.. 상당히 만족하셨음.



치대 - (20대 후반까진 괜찮음.)

20대 후반까지는 괜찮은거 같음.

20대 후반에 입학하면 30대 중반에 경제활동 시작 가능함.

20대 중후반에 치대 입학해서 지금 치과의사된 사람을 몇 분과 말씀 나누어 보았는데

상당히 만족스럽다고 하셨고, 치대 온걸 매우 잘했다고 생각하셨음.



한의대 - (30대 까지는 괜찮음.)

나이 많은 사람이 가장 많이 가는 학과임.

대체적으로 경제적으로 적당히 여유있고, 원래 공부잘했던 30대 직장인들도 도전하는 듯함.

30대, 40대에도 가는 사람도 있고. 심지어 50대도 있음. (고령자는 편입학인 경우도 있음.)

한의사 국가고시 최고령 합격자는 대체적으로 50대, 60대임.

30대에 한의대 가셨고 지금 한의사이신 몇분과 대화 나눠봤는데

중산층 정도의 삶 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짐.

다들 만족스러운 인생 살고 계심. 나름 적당한 소득도 벌고 계심.

보통의 경우에는 큰돈 버는건 힘들지만, 중산층 생활에 만족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음.



교대 - (20대 후반 ~ 30대 까지 괜찮음.)

20대 후반이나 30대에 가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함.

장수생이 많이 지원하는 학과임. 20대 후반, 30대들도 교대 가려고 도전하는 경우가 있음.

30대에 직장인 중에 교대 준비하는 사람도 많이 있고, 

실제로 30대에 교대 합격한 몇분과 대화를 해보았는데, 잘한 선택이라고 하셨음.



공대, 일반학과 - (3수~4수 까지는 괜찮다고 생각함.)

3~4수까지는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개인적으로 그 이상은 모르겠음.

대부분 월급쟁이 테크를 타게 됨. 어차피 직장 생활 할 꺼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

대학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이상,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

한국사회에서 제일 많은 월급쟁이 1500~1700만명 중에 한명으로 들어가는 전형적인 코스

월급쟁이 요즘 괜찮음. 가장 무난한 코스고, 가장 전형적인 코스고, 가장 보통적인 코스임.

그리고 가장 평범한 코스임. 

(요즘 평범하게 사는게 어렵다는 말이 있음. 평범한것도 어려운거 맞음. 

즉, 평범하게 직장생활 훌륭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음.)



금수저인 경우 - 어떻게 해도 상관없음. 

건물 물려 받아서 월세 소득 받아도 됨. 생각에 따라서는 이 경우에는 취업 안해도 됨. 

내 친구중에 이 경우가 있는데, 1년에 절반을 여행하면서 살고 있음. 

월세로 월 3천만원 정도 불로소득 벌고 있음.

대략 시세50~60억 정도 건물에서 저정도 월세 나옴.  (지역이나 상황,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물론, 대부분 금수저들도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함. 

부모가 물려 준 돈 마냥 까먹는 사람 거의 없음. 그걸 바라는 부모도 없을것임.



흙수저인 경우 - 뭘 하든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 빨리 경제활동 하는게 최고임.

공부를 아주 잘하면 의대, 치대 가는게 최고임. 

의대 가면 중산층 이상으로 살 수 있음.

공부를 아주 잘하는 게 아니라면 빨리 대학가서 빨리 취업하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함.




(위의 생각들은 나의 개인적인 생각임.)

(사람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 일반적으로 대체적으로 그렇다는 것임.)

(개인의 경제적 여건,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고려해야 할 부분이 생길수도 있음.)

(이 글은 대체적으로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쓰여진 글임.) 

(가치관에 따라서 일부 달라질 수 있으니 그 점 유의 바람.)


요약 : 

뭘 하든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