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흐마니 [365841] · MS 2011 · 쪽지

2011-05-03 07:59:29
조회수 1,971

고시 없어지거나 축소되는게, 서울대입장에선 환영할만한 일은 아니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97237


사법고시 2017년에 폐지되고, 행정고시도 특채비율 늘리는 등 대학 아웃풋의 주요 지표중 하나인 고시합격생 숫자는 이제 로스쿨 합격생 숫자로 대체하나요? 그런데 로스쿨 합격생 숫자로 대체한다 해도 로스쿨은 뽑는 인원자체가 많아서 사법시험을 단순 대체 하는것은 무리가 있다고 보는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쿠랑보 · 316250 · 11/05/03 10:35

    로스쿨 입학생 출신대학.. 서울대가 압도적인 것으로 아는데..

  • 라흐마니 · 365841 · 11/05/03 11:20 · MS 2011

    네 그렇긴 하죠. 근데 제 글의 요지는 사법고시를 로스쿨로 단순히 대체하는게 가능하냐는 말이에요. 우선 인원수부터 로스쿨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 patrician48 · 333547 · 11/05/03 11:04 · MS 2010

    제가 알기로도 서울대 출신이면 로스쿨 가기가 엄청 유리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스펙을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도 당연히 반영이 될텐데 그렇게 되면 서울대가 많이 유리하죠.

    그리고 로스쿨 준비하시는 분들도 당연히 많이 있으실테고..

  • 우울한고흐 · 176301 · 11/05/03 11:21

    아무래도 아웃풋 측면에서 보면 불리하죠

  • 육감도 · 373447 · 11/05/03 12:39

    고시말고 다른쪽 분야에서 서울대 출신들이 팡팡 터뜨려 좋으면 좋겠네요

  • 라흐마니 · 365841 · 11/05/03 13:42 · MS 2011

    지금도 팡팡은 진행형 아닌가요?

  • 사회의빛과소금 · 332578 · 11/05/03 22:36

    서울대 입장에서가 아니라 sky 서성한 등 고시에서 꽤 선전하는 대학들 전부 타격이죠...
    서울대게시판에서 이런거 써봐야 비추겠지만... 서울대 지균 기균등 때문에
    갈수록 아웃풋이 연고대랑 좁혀지고 있는건 사실이잖습니까... 실제로 정시뚫는 분들은
    내신이며 수능까지 ㅎㄷㄷ하겠지만 수시로 입학하는 분들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작년에도 최저 2등급 2개가 안되서 떨어지는 사태가 엄청나게 속출했는거만봐도;;;
    하향평준화시키면 안되겠지만 지균 기균에 확실히 문제는 있어보입니다.
    서울대가 뭐 고시에서 최고이긴 하지만... 무튼 서울대만 피해가 아니고
    전부 피해죠... 5급에서 특채비율이 늘어나는거나 사법고시 폐지되는거나
    외교아카데미인가 뭔가 하는거랑 전부 돈 있는 기득권들 쉽게 권력세습하는거로
    보입니다. 결사 반대해야 함...

  • 테르미 · 366935 · 11/05/03 23:18

    지균, 기균보다 서울대학교의 정원이 감축된 게 더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5000명이 3000명으로 줄었는데 통계상 의미없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게 이상한 거죠. 가끔 오르비 같은 데서 수시, 정시 떡밥이 돌곤 하는데, 수험생활에 지친 수험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애꿎은 수시생들한테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현행 수시 제도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수시생들이 학력이 딸려서 서울대가 망해간다 식의 주장은 근거가 박약합니다.

  • 사쿠랑보 · 316250 · 11/05/03 23:3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세토카바 · 300817 · 11/05/04 02:01 · MS 2009

    학교 다녀보시면 지균 기균 수준 떨어진다는 소리 못 하실텐데...........

  • Science · 333699 · 11/05/04 00:14 · MS 2010

    솔직히 대학와서 쩌는애들은 다 수시던데

    수시 못가서 정시오는거

  • 쉐니키 · 290502 · 11/05/04 00:35 · MS 2009

    이건 또 무슨. 다시 부채질을

  • Science · 333699 · 11/05/04 00:47 · MS 2010

    지균 기균때문에 아웃풋 좁혀진다는 소리 보고 쓴 건데

  • 쉐니키 · 290502 · 11/05/04 01:21 · MS 2009

    그건 이해하고 동감하는데, 다시 반대 편향 되신 것 같애서;; 참고로 비추는 제가 아니옵니다. 상쇄

  • dsadsasdas · 365390 · 11/05/04 15:51 · MS 2011

    도대체 뭐가 ..환영할만한 입장이 아닌가요

    1. 로스쿨

    로스쿨 같은경우 오히려 서울대에서 환영이면 환영이죠
    사법시험 같은경우, 2017년 폐지되는데 올해 사법시험 1차결과
    서울대 3위로 밀렸습니다. 최종은 나와봐야알겠지만
    1차에서 3위면 최종결과를 1위할것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로스쿨은 입시 특성상 가장 중요한것이 학벌,학점,영어,리트,나이인데
    이중에서 학벌(출신 학부)의 파괴력이 엄청나기때문에
    서울대는 사실상 .. 오히려 환영할만한 일이죠
    그리고 2500명이나 뽑는다고 하셨는데
    변호사는 천차만별입니다. 의대도 잘나가는 피안성이 있는반면
    흉부외과처럼 ..힘들고 돈벌기 힘든 의사가 있는것처럼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변호사는 그 상위권과 하위권의 수준이 하늘과 땅차이입니다
    1년에 30억 버는 전관변호사도 있고(사실 전관예우가 금지법으로 사라질거라고 기대하는사람도 있지만
    최근 기사를 보니 ..사실상 제제하기도 힘들고 유효기관 1년이며, 법조계에서 꼼수를 부리면 어쩔수가 없다하던..)
    따라서 상위 1%~10% 로스쿨 졸업생을 비교해야지 로스쿨전체 2500명을 가지고 비교하는건 절대 의미없죠
    솔직히 하위권 로스쿨 입학하는건 대기업 들어가기보다 더 쉽죠
    FACT입니다. 따라서 로스쿨은 SKY로스쿨 결과를 가지고 비교하죠..
    그리고 가장 중요한게 검사 임관 숫자와 대형로펌(김앤장이나 바른.태평양) 입사자들..그리고 판사 임관인데 판사는 이제 바로 안뽑고 로클럭(재판연구관)으로 뽑습니다. 이들을 여겨봐야죠. 로펌같은겨우 대부분 서울대가 절대적이였구요

    또한 자칭 천하제일 서울법대의 영향력은 엄청나죠
    실제로 대법관.헌재판관,검찰총장,법무부장관 등등 대부분 서울 법대가 다 해먹고
    그로인해 공천받은 국회의원들중 90%는 서울대 출신..
    부장판사 승진 서울대출신 400명할때


    연고대 합쳐서 3명했음..또한 서울대 로스쿨은 1년에 150명 뽑는데 그중 100명은 무조건 서울대 출신을 뽑기때문에
    서울 로스쿨이 "우리는 천하제일 서울법대다"의 서울 법대를 계승해서
    그위상을 이어나갈것으로 예상되기에.. 서울대는 오히려 환영할일

    2.행정고시

    행시 특채비율?? 누가 늘었답니까?
    안늘었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최고 등용문 시험이라고 할수있는

    행시 재경직(합격시 대부분 경제 관료)은 대부분 설경제가 독점했었고(다만 올해는좀 예외)
    행시 전체도 서울대가 압도적 1위였기에.. 대체 이게 서울대가
    아쉬워 할 이유가 뭐가있는지

    3.외무

    형식이나 이름만 외교아카데미이지
    뽑는 시험이나 그외것들은 외무고시와 같습니다
    외교가 또한 설외교와 그외로 나뉨
    이건 외무공무원이 직접 언급

    -결론 : 대한민국이 망하기 전까지 학벌은 서울대와 그 외로 나뉨

  • 라흐마니 · 365841 · 11/05/04 18:21 · MS 2011

    엥? 올 사시 1차 서울대 1위로 알고 있습니다만(전체 합격자중 17퍼센트로 1위),, 아닌가요? 그리고 님 말마따나 그렇게만 된다면 상관없습니다만, 모든 분야를 막론하고 1위에게 유리한것은 '룰의 현상유지'가 아닌가요? 사법고시가 비록 서울대 합격자 숫자가 줄긴 했습니다만 여전히 서울대가 1위를 유지하고 있다면 로스쿨이 아무리 서울대에게 유리하다고 한들 현재 1위 자리를 고수해 주고 있는 사법고시만큼 될지는 장담할 수 없죠. 여러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는데;;

    그리고 행정고시 특채비율 아직은 안늘었지만 공공연하게 특채비율 늘 수 있는 가능성이 회자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만큼 시험으로 뽑는 인원 줄어들 수 있다는건데 고시 대학인 서울대 입장에서는 타격이라고 여겨지는데요.

  • dsadsasdas · 365390 · 11/05/04 23:44 · MS 2011

    하나를 생각해도 왜 둘은 생각 못하시는지

    서울대가 단순히 합격숫자라는것 때문에 유리한건가요?
    단순히 합격숫자만 말할거같으면
    서울대에서 행정고시를 합격하는건 서울대라서가 아니라 그사람들이 잘나서 그런겁니다
    잘났기 때문에 뽑고 보니까 서울대인거죠
    행시 치고싶으면 행시 보면되요 ..대학 뭐하러가죠? 대학 안가고 행시치면 됩니다
    뭐하러 대학가나요? ㅋ
    중요한건 안에 들어가서라는 말이죠
    글 읽으셨나요? 글 읽으시고도 동문서답하시네요
    공무원 사회에서도 성골과 진골이 있습니다
    행정고시 합격하고 나서 높은자리로 올라가는것.. 인맥 이런것들때문에
    서울대가 중요하다는것인데
    갑자기 무슨 특채가 튀어나오나요?
    특채로 뽑으면 서울대나온거랑 연고대가 차이가 없어지나요? ㅎㅎ

    특채로 뽑던 시험쳐서 뽑던 .. 안에 들어가서 공무원이 됬을때 ..그때 서울대라는것이 중요하다고요
    국회의원 숫자나 1급공무원 숫자. 장차관 비율만 봐도
    서울대가 90%이상이죠. 그걸 말한건데
    특채가 도대체 무슨상관인지 궁금하네요..왜죠??
    특채로 들어가도 서울대 출신은 서울대 출신이예요
    .. 그리고
    특채 비율이 늘일 없습니다. 사실에 입각해서 쓴글이 아니라
    단순히 님 생각이나 바람을 가지고 하신는 소리네요
    특채 비율 늘 일 없어요 지금 상황은
    그리고 특채 비율이 늘던 말던 서울대는 독보적 존재이기 때문에 상관없지만
    그걸 떠나서.. 그게 서울대랑 무슨상관이죠?
    특채비율이 늘고 시험으로 뽑는 인원이 줄어들면
    서울대생만 줄어드나요?
    특채는 서울대생은 특채 안한답니까? ㅋㅋ
    대한민국 모든 학생들이 시험으로 5급공무원 임관될 확률이 적어지는데
    그게 무슨 서울대랑 상관있는지 ㅋ

    그리고 법조계도 똑같다는 말이죠
    법조계도 로스쿨이고 나발이고
    판검사나 로펌.변호사등의 법조인이 되었을때
    그때 서울대 출신이라는것이 .. 다른대학을 나온것과 차이가 크다는것이죠
    그게 요지입니다.(우리나라 학벌주의 사회라는건 엄연히 "학부"기준이죠..로스쿨도 마찬가지.) 그리고..
    로스쿨로 바뀌면서 서울대가 더 유리해진거 맞습니다
    그냥 위에 제가쓴글 한번더 읽어보세요
    설명하기도 귀찮네요 저렇게 장황하게 설명했는데
    무슨 변수 같은 소리를 하시는지.. 왠 변수??

    진짜 이해 못한다면.. 하나 덧붙이자면
    성균관대학교 로스쿨에서는 이번에 입시 구조자체를 완전히 뜯어고쳤는데
    그 이유는 서울대출신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것이 궁극적 목적입니다.
    (3위는 서울대 전체가 아니라 설법)

  • 라흐마니 · 365841 · 11/05/05 05:28 · MS 2011

    물론 서울대 출신 합격자 숫자가 모든 것을 결정할 정도의 사항은 아니긴 하지만 그걸 무시할 순 없죠. 지금의 서울대 카르텔이 형성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바로 2위인 연고대보다 월등히 더 많았떤 행시, 사시, 외시 합격자 숫자이기 때문 아닌가요?

    그리고 특채가 무슨 상관이 있냐고 하시는 데, 님 말대로 서울대 출신 합격자가 많은 것은 서울대 출신의 고시실력이 뛰어나서죠. 그런데 실력에 의해 선발되는 고시가 아닌 공정성이 검증되지 않는 특채 비율을 늘리게 된다면? 실력에 의해 합격하는 숫자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비서울대 출신이 5급 공무원으로 임관될 확률이 높아지는 겁니다. 이게 어딜봐서 상관이 없다는 거죠?

    들어가서가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현재 배출되고 있는 절대적 합격자 숫자가 줄어든다면 당연히 그만큼 서울대의 위상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건 자명한 사실아닙니까? 애시당초에 서울대 출신들이 고위직을 다 해먹을수 있었던 이유는, 절대적 합격자 숫자가 타대학에 비해 압도적인 이유아닌가요? 당연히 합격자 숫자가 가장 큰 요인이죠. '서울대가 단순히 합격숫자라는것 때문에 유리한건가요?' 라는 님의 말에는 어폐가 있어 보입니다만, 들어갈때는 실력이고, 들어가고 난 뒤의 승진은 학벌에 의해 좌우된다는 님의 이중적 잣대는 별개로 하고 말이죠. 게다가 로스쿨이 더욱 더 서울대에게 불리한 이유는, 학부 등록금에다가 로스쿨 등록금까지 이중으로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압박때문에, 서울대내의 저소득층 학생들의 법조계 진출을 가로막는 등 고시체제에서 로스쿨 체제로의 변화는 여러가지로 서울대에게 환영할 만한 것은 아니지 않나요? 물론 타대학의 저소득계층 학생들에게도 부담이겠지만, 법조계 응시율을 고려할때 가장 응시율이 높은 서울대 출신 저소득층 학생들이 가장 큰 타격이죠. 적어도, 아무리 낙관적으로 봐도 서울대 카르텔이 더 굳혀지지 않을 거라는 뜻으로요.

    P.S 제가 성균관 로스쿨 입시제도를 잘 몰라서 그런데, 성균관 로스쿨 입시제도 변화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 Insignia · 295757 · 11/05/04 19:2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