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deofSeoul [690689]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7-01-17 12:36:46
조회수 993

문재인 박원순의 주장은 일부 타당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753118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적인 구조는 학벌주의에도 일부 책임이 있습니다. 


물론 엘리트 양성의 산실인 서울대를 없애자는 건 말도 안 되지요.


저는 프랑스식 대학제도가 답이라고 봅니다. 대학 수를 확 줄여서 대학 기능도 못하는 대학들을 다 없애버리고 나머지를 평준화 시키자는 겁니다. 서울대는 그랑제꼴(영재 양성 학교)의 형태로 유지시키고요. 대신, 각 대학의 각 과를 특성화시킴으로써 어느 대학은 어느 과가 유명하다~의 식으로 가게 말입니다. 어차피 과가 아닌 대학으로 서열을 나누는 한국에는 효과적이리라 봅니다.


또한 행정부서를 서울에서 다른 곳으로 일부 이관시키고, 지방 자치를 강화함으로써 지방에 있는 중심 대학들도 발전할 여지를 크게 하면 좋을 것 같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7/01/17 12:37 · MS 2014

    그렇구나!

  • ama momentum · 555805 · 17/01/17 12:37 · MS 2015

  • 8ajdbg62kau · 691591 · 17/01/17 12:39 · MS 2016

    그렇긴 한데 갑작스러운 변화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너무 서울에 집중된 구조를 바꾸는 건 좋다고 생각함.

  • PrideofSeoul · 690689 · 17/01/17 12:39 · MS 2016

    그래서 정부에서는 부실대학 퇴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8ajdbg62kau · 691591 · 17/01/17 12:41 · MS 2016

    제가 본문을 잘못 이해했었네요.
    동의합니다

  • 테레스 · 704093 · 17/01/17 12:40 · MS 2016

    프랑스식 교육 제도를 도입하기에는 그 쪽 나라랑 여기랑 너무 괴리가 커서...
    대학이 너무 많은데다가 지방대의 경우에는 지자체랑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경우가 많아 큰 반발이 있을 거라 예상되네요

  • 음대홀릭 · 722535 · 17/01/17 12:40 · MS 2016

    딱히 다시들어보니까 틀린말은아닌데 해결책이 좀 아닌것같아서.... 근데 학벌주의줄이는것중 어느해결책이나와도 욕먹을것같음. 해결못해도 장기적으로 심각해지고

  • 君の名は。 · 664930 · 17/01/17 12:44 · MS 2016

    서울대가 그랑제꼴화 되면 오히려 지금보다 훨씬 학벌주의가 강화되지않을까요 서울대랑 비서울대 출신 갭도 더 벌어질거고. 최상위권 학생들은 서울대에 더욱더 목매겠죠. 현재 프랑스도 마냥 이상적이지만은 않다고 합니다.

  • PrideofSeoul · 690689 · 17/01/17 12:45 · MS 2016

    일리 있네요 아마 프랑스 대통령 중 그랑제꼴 안 나온 사람이 한 명밖에 없다고 하죠?

  • 시크한 미나리 · 703903 · 17/01/17 12:45 · MS 2016

    2222

  • Humor · 607636 · 17/01/17 12:53 · MS 2015

    학벌주의 제가 보기엔 절대 안사라집니다. 우리나라에사 유일하게 노력으로 서열화할 수 있는게 공부예요. 학벌만큼 정직하고 노력에 일정부분 비례하는 항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거기다가 서열화를 본성적으로 좋아하는 우리나라 국민 정서상 더더욱.. 결국 본질적인 사회 문화적 문제이지 제도적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 PrideofSeoul · 690689 · 17/01/17 12:54 · MS 2016

    학벌보다는 행시 사시 등 고시제도 아닐까요

  • PrideofSeoul · 690689 · 17/01/17 12:54 · MS 2016

    수시로 부정입학하는 학생들 보면 딱히 그렇다고도 생각이 안 되는데..

  • 오울로 · 670202 · 17/01/17 13:04 · MS 2016

    그래도 글쓴이의 요지는 대학의 절대적 다수는 다른것들에 비해 확실히 노력으로 판가름난다는 것인듯

  • dodino · 578599 · 17/01/17 12:57 · MS 2017

    1. 불평등의 책임이 학벌주의에도 일부 있는 것은 맞지만, 불평등한 구조는 필연적일 수 밖에 없잖아요.
    2. 오히려 그 기준이 학력이 되는 것은 세습받은 권력이나 부와 같은 것에 비해 굉장히 정당하다고 생각해요.

  • PrideofSeoul · 690689 · 17/01/17 13:09 · MS 2016

    그럼 입시제도를 개선하면 되겠군요. 노력이 더 크게 영향을 주는 정시가 정답인 것 같습니다.

  • dodino · 578599 · 17/01/17 20:13 · MS 2017

    백퍼센트 공감합니다

  • 박원순 · 721427 · 17/01/17 13:11 · MS 2016

    폐지 10각

  • 고하드해 · 530041 · 17/01/17 14:19 · MS 2014

    며칠전에 션님이 프랑스관련해서 글올렸는데도
    프랑스 따라가자는 글이 써지는군여...못보셔서그런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