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함수가 역함수를 가지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729985
역함수가되려면 일대일대응이 성립되야되는데요.
유리함수(분수함수) 중 가장 간단한 1/x를 예로들면 공역은 모든 실수이고, 치역은 0을 제외한 모든실수인데요. 0에 한없이 가까이가는 극한개념을 이용해서 0도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교육과정 순서상 극한은 유리함수뒤에 있는데 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분모가 0인경우는 정의를 안해서
자동으로 정의역에서 빠지는걸로 알고있음요
정의역 x가 무한대, -무한대로 갈때 0에 한없이 가까워지지 엄밀히따지면 0이 아니라고했을때 치역은 0을 제외한 모든실수가 되지않나요?? 분모가 0일때는 치역의 값이 +-무한대 값이 되고요
교육과정상 분모가 0인 경우는 정의역에서 제외되어요
그래서 결국 유리함수도 일대일대응이라고 보는 것
ㅇㅇ y=lnx의 역함수는 y=e^x 로그진수조건ㅇㅇ
문송합니다...
아 ㅈㅅ logx의 역함수 10^x
네 그나마 그것도 문과 재수생들만 알고 있는 개념이라서요...ㅠ
교육과정이 바뀌었잖아요 물론 전 알고있지만
결론: 문송합니다...
아크사인 같은 거 보니까 정의역만 잘 정의하면 역함수 맘대로 만들 수 있는 것 같음
아크사인이라뇨 ㅠㅠ 으엑
아크사인은 제가 모르겠고요ㅜㅜ 제가 궁금한 핵심은 치역과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일대일대응으로 역함수를 가진다는게 교과과정의 내용인데, 1/x 에서 치역0은 어디서 가지는거죠?
분모에 0을 아예 정의안해서 공역도 0자체가 없는데요
따라서 공역과 치역이ㅡ같다고볼수있죵
애초에 유리함수의 정의역과 공역에 0이 없어요.
근데 님 인문이신데 사인역함수도 아시네요... 존경핮니당
공역이 실수전체인 함수가 아니라 공역에서 0을 제외시킨 함수로 보시면 됩니다
일대일대응만 되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공역에 0이 포함 됨?
ㄴㄴ
해-결
갸-앍
공역에 0을 포함안하는 것을 몰랐네요. 다들 감사합니다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