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화공18 [669015]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2-20 04:41:09
조회수 6,439

박상현 QnA 답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195820


질문한거 둘러보다가 이거지금보고 대체 왜그냥넘어간건지모르겟네요..

이렇게답할거면 대체 왜 QnA만든건지;;

그래서 무극성공유결합이 극성분자는 강의에서없댓는데 왜 오존은 극성분자일까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조 · 651666 · 16/12/20 05:23 · MS 2016

    고등학교 교육 과정 밖이라서 그런거 아닐까요...무극성공유결합들은 보통 두개의 원자로만 이루어진 분자들이 주로 나오니까...
    그렇다고 오존따위의 것들이 안나온다는 보장도 없지만요 ㅎㅎ

  • 연의성의뚫으러감 · 664662 · 16/12/20 06:01 · MS 2016

    고등 화학1교육과정에는 단일원소분자는 무조건 무극성이라고해놨던걸로 기억합니다 교과외인것같네요 오존이 공명구조라 루이스구조로 그리고 보면 전자끌어당기는 힘의 차이가 생겨서 극성인것같아요

  • 박재선과학 · 699019 · 16/12/20 06:05 · MS 2016

    오존은 공명구조로 전자가 계속적으로 번갈아가며 존재합니다 그때생기는 현상으로 극성 분자에 가깝습니다
    일반화학에 루이스 구조그리기로 알수 있으실겁니다 아마 화1만 특화되셔서 그런거라 생각 됩니다 조교들이 많으시니 ~ 물어보시겠죠~

  • Dr.K · 11236 · 16/12/20 08:17 · MS 2003

    오존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가운데 위치한 산소 원자는 +1의 형식전하를 갖고 양 끝에 위치한 산소 원자는 -0.5의 형식전하를 갖습니다. 즉 형식전하의 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오존은 쌍극자모멘트가 0이 아닌 극성분자입니다. 참고로 공명구조가 전자가 회전한다는 표현은 적절한 표현은 아니며 루이스구조로 표기되는 두 구조중 어느 한 구조도 실제 구조가 아니며 두 구조의 평균적인 형태로 전자가 비편재화되어있는 구조입니다.

  • 박재선과학 · 699019 · 16/12/20 09:14 · MS 2016

    박상현깔려다가 오르비쌤이랑 붙게 생겼내요~ ㅋㅋㅋ
    쌤말이 맞습니다 정확한구조 몰라서 그렇게 이야기한건아니구요 박상현쌤 일반화학 모른다가 펙트다 보니 손이 빨랐내여 그리고 루이스 그리기는 대학 논술문제에도 나오는 부분이라 정확히수정합니다 사진 참조하세요

  • 연세화공18 · 669015 · 16/12/20 13:29 · MS 2016

    어후다들이렇게..ㅠㅠ 감사합니다. 결국 화학1과정밖이라는 소리시군요??
    제가푼문제가잘못된거엿네요.. 선생님분들 또다른분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