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280297] · MS 2009 · 쪽지

2011-03-29 09:59:30
조회수 2,729

농경제 전과.복수전공 제한사라졌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04438

예전에는 농경제에서

경영.경제로 사회과학계열로

전과가 불가능했었는데

서울대 재학생께서 이제부터 농경제에서도 경영.경제 전과가능하다고 하시던데

사실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속성장 · 265927 · 11/03/29 10:35 · MS 2008

    제한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학부내규로 다음의 제한이 있었습니다.
    - 전과제한 : 경제학부, 사회학과, 경영학과
    - 복수전공제한 : 경제학부

    그게 제한자체는 없어졌다고는 하는데 경제학부로의 전과나 복수전공은 교수님들이 일단 싫어하십니다. 경제학사가 나오는데 왜 경제학부로 전과나 복수전공을 하려는 건지... 경제학사-경제학사 복수전공 좀 웃기잖아요. 반면에 경영학과로의 복수전공은 추천하시는 교수님들이 많구요.

    갠적인 생각으로는 경제학부로의 전과나 복수전공은 의미가 없는 것 같고, 경영학과, 어문계열, 철학과 쪽 복수전공은 추천합니다. 전과는 자기 적성따라서 어디든 생각해볼 수 있겠지요.

  • 辛 라면 · 308099 · 11/03/30 02:47 · MS 2016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농겨제학과 졸업장에 경제학사로 찍힌다는것이 서울대 일반 경제학과 졸업이랑 차이가 없다는 소리인가요?(즉 취업등에서 경제학과와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 막 이런거...)

  • 고속성장 · 265927 · 11/03/30 09:11 · MS 2008

    경제학과 졸업이랑은 당연히 다르죠. 학부가 다른데요. 경제학사를 받는다는 점에서 같을 뿐이구요. 중요한 차이점을 본다면

    1. 농경사는 경제학부에 비해서 유통, 자원/에너지, 부동산 쪽이 강하고, 경제학부는 심화이론, 정책, 금융쪽이 강합니다. 그게 얼마나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올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공통의 관심영역을 본다면 일반 금융권 취업에는 차이가 없고, 한국은행 준비에는 경제학부가 유리하다고 봅니다. 행정고시 재경직에는 차이가 없다고 보구요. 일반 경제학과 또는 경영대학원으로의 유학에서는 경제학부가 더 유리합니다. 물론 도시/지역계획, 농업경제학 등의 분야는 농경사쪽인 것은 당연하구요.

    2. 동문회 구성은 별개입니다. 경제학부는 서울대 상대 또는 경제학과, 경제학부 동문회이고 농경사는 농경제학과, 농경제사회학부 동문회입니다. 서울대 동문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학과동문회는 서로 다르죠. 다만, 같은 경제학전공이고 경제학부 교수님들에게 공통적으로 수강을 한다는 점에서 다른 학과와는 다르게 동질감도 있겠죠. 이를테면 술자리에서 대화소재의 공통점이라든가 하는...

    취업률 자체는 거의 같습니다. 다만, 진출분야가 경제학부는 농경사보다 공공분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진출하고, 농경사는 금융권과 일반기업체로의 진출비율이 더 높습니다. 그것이 이른바 '인풋' 때문인지 아니면 희망진로의 문제 때문인지를 명확히 구별하기는 어렵겠구요.

  • 현유브이 · 337988 · 11/04/02 19:08 · MS 2010

    우와 ..답변완전자세하네요..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