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고 주류문화를 이에 거부하고 산속에서 들어가서 사는사람은 주류문화를 향유하지...
-
질적연구로는 이에 안되고
-
일탈 행동의 원인을 부정적 자아 정체성 형성에서 찾는다 차교론도 된다 3
고 생각하는데 양어치들이랑 놀면 그 일탈적 행동들을 자연스럽게 생각하면서 부정적...
-
병리적 현상= 병에서 나아야하는것처럼 없애야 하는거면 5
갈등론아닌가요
-
사회가 개인의 자율적인 의지에 의해 형성된다는게 명목론인데 1
그면 실제로는 뭐 개인의 자율적인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로 형성된다는 거임?
-
최초의 일탈행동보다 반복적 일탈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2
처교론도 해당되지않나요 범죄 저질러서 수감되면 거기서 흑습해서 또 범죄를 저지하는 경우가 많으니깐
-
사회불평등을 병리적 현상이라고 보는건 기능론인가요 근데 상식적으로 병이걸리면 나아야...
-
책임무능력자의 감독자 책임이랑 건물소유자의 무과실책임 책임이랑 상충하면 민사에서 어떻게 하나요 2
책임무능력자의 감독자 책임이랑 건물소유자의 무과실책임 책임이랑 상충하면 민사에서 어떻게 하나요?
-
책임무능력자가 부실한 창문을 흔들었으면 건물소유자는 무과실책임을 지나요? 5
만약 안지면 창문 흔들어서 맞은 행인은 범죄피해자 구조제도도 못쓰니까 보상을 어떻게 받죠?
-
사문정법 햇갈리네
-
수학질문 5
이거 인수 하나만 있어도 극값가지지지 않나요
-
?
-
형식적,실질적 법치주의 모두 권력의 자의적인 행사 경계한다는데 2
형식적 법치주의 가 악법을 적정한 절차에 따라서 정했으면 그것도 권력의 자의적인 행사 아닌가요!
-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 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