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와 준동사구(to infinitive...
-
어렵다고 생각되는 지문을 정복하는 가장 중요한 스킬 중의 하나가 수식 관계 묶음을...
-
여러분은 해석도 안되고, 독해도 제대로 되지 않는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세요?...
-
문장 내용 구성 방법과 해석 방법을 동사의 활용 방법(usage) 측면에서...
-
완전한 술어(complete predicate)은 문장의 내용을 구성하는 원칙일...
-
해석이 제대로 되지 않아 독해도 힘들고, 문법을 제대로 알고 있는 지도 의심되지...
-
[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두 번째 단계 - 대명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ambiguity의 해소 (1) 1
[1] 대명사를 사용하는 이유, 하지만 단점이 … 대명사(pronoun)은 그...
-
[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두 번째 단계 - 추상명사나 집합명사가 표현하는 ambiguity의 해소 - more examples (2) 3
추상명사나 집합명사를 통해서 표현 되는 애매모호함을 구체적으로 이해해가는 과정이...
-
[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두 번째 단계 - 추상명사나 집합명사가 표현하는 ambiguity의 해소 - more examples (1) 1
추상명사나 집합명사로 표현 되는 애매모호함을 구체적으로 이해해가는 과정이 제대로 된...
-
[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두 번째 단계 - 추상명사나 집합명사가 표현하는 ambiguity의 해소 2
지문은 애매모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문에 포함된...
-
[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첫 번째 단계 - 지문의 디테일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습부터 시작하세요 5
Supporting details에 대한 내용 파악 연습이 먼저 되어야 하는 이유...
-
[수능 독해] 수능 독해 정복 전략 수립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 (4) - 갖추어야 할 독해 능력 4
도대체 대학교 수준을 포함한 그 이후에 필요한 독해 능력은 무엇일까요? 그래서...
-
[수능 독해] 수능 독해 정복 전략 수립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 (3) - 어휘 부족 문제(선택지에 모르는 단어가 포함 되어 있는 경우) 1
선택지에 포함된 모르는 단어 때문에 제대로 답을 고를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
[수능 독해] 수능 독해 정복 전략 수립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 (2) - 어휘 부족 문제(지문 속의 모르는 단어 의미 알아내기) 4
지문 혹은 선택지에 포함된 모르는 단어는 시험장을 뛰쳐 나가고 싶은 충동을...
-
[수능 독해] 독해 정복 전략 수립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 (1) - 시간 부족 문제 1
29 번 문제를 제외하면, 수능 영어 시험의 18 번부터 45 번까지 문제는...
-
[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3) - Organization 6
여러 분이 하나의 문단을 구성하는 글을 쓴다고 가정해보죠. 어떤 내용을...
-
[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2) - 일관성 1
문단(paragraph)은 글쓴이에 의해서 구성 됩니다. 즉, 하나의 작은 주제와...
-
[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1) - 글쓴이의 의도 6
우리는 이미 작성된 글을 읽거나, 혹은 읽어야 합니다(시험?). 하지만, 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