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S대학을 나왔든 Y대학을 나왔든 그냥 그렇구나... 대학을 나왔구나......
-
2021년 4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AI가 찾아준 초신성의 데이터 수가... 0
대략 1000건... 직접 찾으려고 하면 시간도 많이들고 보통 하나의 은하에서...
-
7억 6천만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SN2023tyk 라는 la형 초신성이 발생했는데...
-
은하끼리 충돌하지 않고 서로 계속 가만히 있으면 결국 그 은하에서는 별의 형성이...
-
우리 은하도 지금 초속 600km의 속도로 끌려가고 있는데... 2
나도 열심히 공부 해야지...
-
물에서 서식하는 생명체는 우주의 존재를 알 수가 없다 2
지구에 사는 인류는 관측 불가능한 우주의 영역을 알 수 있을까요?
-
관측 가능한 우주에 존재하는 2조 8천억 개 이상의 은하들 중에서... 2
지적 생명체가 하나의 은하에 하나씩만 존재한다고 해도 최소 2조 8천억 종...
-
대략 960억 광년이고 인플레이션 우주론으로 인해 이 바깥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
2100년 정도 되면 우주의 많은 비밀들이 풀려 있을 듯 8
그때까지 건강하세요...
-
미 항공우주국 NASA는 소행성 베누에서 생명체를 구성하는... 4
기본 요소인 물과 탄소를 포함하고 있었고 지질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
4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는 40000 km라고 하네요...
-
우주에서 우리 은하가 지금 어디로 끌려가고 있냐면... 0
우리 은하는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이라는 곳에 속해 있는데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지구는 태양을 공전한다... 라는 말을 했고 시간이 더...
-
반경으로는 480억 광년이고 인류는 아직 우리가 우주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
-
지표면 아래에 있는 바다에서 서식하는 생명체는 영원히 우주라는 존재를 알 수가 없다 0
인류라는 존재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바깥 영역에 대해서는 어쩌면 전혀 알 수 없을지도 모른다...
-
미 현지시간으로 1977년 9월 5일에 발사된 보이저 1호는 17km/s의 속도로...
-
태양계 처럼 단일 항성계보다 쌍성계가 더 많다고 하네요...
-
2020년대 말과 2030년대에 우주 관련 이벤트가 많이 몰려있음 0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 2027년 발사 예정 유로파 클리퍼 탐사선...
-
에드윈 허블이 변광성을 통해 안드로메다 성운이 사실 외부 은하였다는걸 100년 전...
-
오늘은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중심부를 관측한지 정확하게 100년이 되는 날 입니다 6
허블이 100년 전 오늘 안드로메다 은하의 중심부를 관측하던 중에 갑자기 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