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장류 모내기 · 672042 · 16/06/19 02:22 · MS 2016

    꺄 사이다 영보쌤><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02:31 · MS 2015

    ㅎㅎㅎ 영장류

  • 수학에미치다 · 666354 · 16/06/19 02:28 · MS 2016

    오 비슷하다 저도 종속절보단 주절 위주로 중심두고 읽는데.. 항상 문제점 같은 마이너스 내용 나오면 그쪽에 또 포커스 두고 읽고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02:31 · MS 2015

    영어에 미쳐도 될듯~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02:33 · MS 2015

    저기서 한 얘긴

    in addion to 같은 경우에
    이쪽 부분 보다는, 주절의 내용이 중요한 경우가 많다는 건데요.

    종속절로 확장시켜서 적용될 수 있는 지는 좀 연구를 해봐야겠네요.

    흥미로움^^

  • 웰메이드 · 486911 · 16/06/19 02:29 · MS 2014

    이런 좋은 칼럼이 새벽에 올라오다니!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02:34 · MS 2015

    ㅋㅋㅋ 웰메형님 감사합니다

  • 슈퍼비 · 670187 · 16/06/19 05:44 · MS 2016

    경보쌤 저 아침으로 초밥 먹었으니 스파게티 사주세욤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10:14 · MS 2015

    대치로 오시라

  • 슈퍼비 · 670187 · 16/06/19 10:27 · MS 2016

    지금 용산구인뎁..,

  • NtjsCOFUur1nwS · 664369 · 16/06/19 10:05 · MS 2016

    as well as people in milder climates. 더 온화한 기후의 사람들만큼이라고 해석되어 있는데 온화한 기후가 frozen 기후보다 문화권의 크기가 크다는 얘기인가요? 외부 세계와의 교역이나 연락을 frozen 기후 지역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유지하기쉽다?) 인가요? 이게 맞다면, 더 온화한 기후의 사람들만큼은 (또는 사람들보다는) 할 수 없다 라고 해석해야 정확한 것 같아요. ~만큼이라고 하니까 frozen이나 milder나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이 되어요. as well as랑 seldom이 같은 문장 안에 있어서 헷갈려요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10:14 · MS 2015

    혼란스러울 수 있죠.

    A is as tall as B. A가 B만큼 크다. (A = B)

    A is not as tall as B. A는 B만큼 크지 않다. (A < B)

    A seldom makes money as well as B. A는 B만큼 돈을 잘 벌지 못한다. (A < B)

    A seldom maintains trade as well as B. A는 B만큼 무역을 유지할 수 없다. (A < B)

    이렇게 단계적으로 생각하면 좀 낫죠?^^

  • 돌숭이 · 484499 · 16/06/19 10:27 · MS 2013

    1.기후가 문화권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2. 추운 기후의 지역은 다른 지역과 교역↓

    어떻게 이 두 명제에서 필연적으로 추운 지역의 문화권 크기는 작다는게 도출될 수 있나요?
    물론 지문의 흐름상 필자가 그렇게 의도한건 알겠는데 이 도출이 필연적인지는 의문이 드네요..

    추운 지역이라도 문화권 자체는 클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즉 그들만의 세상이 그 자체로 큰거죠. 

    상식적으로도 교역을 한면 문화권이 커질테지만, 그게 항상 교역을 안하는 문화권보다 커진다는건 어떻게 장담할 수 있을지요..
    물론 실제 시험이라면 이런 고민을 안하고 답을 찍겠지만 평소 공부할 땐 이런 비약들이 종종 보여서 답답합니다..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10:39 · MS 2015

    좋은 의견이네요^^


    1. frozen -> 기후 / seldom trade or communication -> 문화권 크기와 의미상 연결 시도
    여기까진 반드시 필요하구요.

    seldom trade or communication -> 문화권 크기가 작다 라는 건 필연적이라기보단 개연성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게시글에 "행여 이런 결론을 내지 못했다 할지라도, 최소한 ‘문화권 크기’와 연결하려는 시도는 있었어야 하죠." 라는 말을 한 거구요.


    2. [상식적으로도 교역을 한면 문화권이 커질테지만, 그게 항상 교역을 안하는 문화권보다 커진다는건 어떻게 장담할 수 있을지요.. ]

    -> 방금 얘기했던 "개연성"입니다. 확률이 더 높은 쪽으로 먼저 생각을 할 수 있죠.


    3. 참고로 저 문장 이후 내용이에요^^

    Because climates usually vary more from north to south than they do over equal distances from east to west, knowledge of particular crops or the domestication and care of particular animal can travel far greater distances from east to west than from north to south. Such knowledge could travel all the way across Asia to places at similar latitudes in Europe, but knowledge of the flora and fauna in the temperate zone in South America could not travel a similar distance to the temperate zone in North America because they are separated by a very wide tropical zone where the flora and fauna have been very different. *flora and fauna: (한 지역의) 동식물상

    대개 같은 거리일 경우 기후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뀌는 것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더 많이 바뀌기 때문에 특정한 작물에 대한 지식이나 특정한 동물의 사육과 관리에 대한 지식은 북쪽에서 남쪽으로보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훨씬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런 지식은 아시아를 관통해서 유럽의 비슷한 위도에 있는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겠지만, 남아메리카의 온대지역에 있는 동식물상에 대한 지식은 그것들이(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가) 동식물상이 매우 달랐던 굉장히 넓은 열대지역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북아메리카의 온대지역까지 (아시아에서 유럽까지와) 비슷한 거리를 이동할 수 없을 것이다.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11:21 · MS 2015

    [물론 실제 시험이라면 이런 고민을 안하고 답을 찍겠지만 평소 공부할 땐 이런 비약들이 종종 보여서 답답합니다..]

    -> 실제 시험에서 별 문제 없으면 일단 그걸로 땡큐한 거죠^^

    아래 링크한 칼럼에서, 이런 식의 공부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내 생각을 빼고 지문에서 말하는 대로 따라가는 거죠

    내 주관 빼기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8537961

  • AdMd · 527646 · 16/06/19 17:56 · MS 2014

    경보쌤 제자로서 이정도는 껌이죠 ㅎㅎ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22:52 · MS 2015

    애드매드 goat ㅋㅋㅋ

  • dispersing · 486819 · 16/06/19 19:07 · MS 2014

    경보쌤의 재능아닐까요ㅜㅜ 영어 긴 지문읽다보먼 이런게 떠오르질않는

  • GB (이경보) · 612906 · 16/06/19 22:55 · MS 2015

    재능으로 치면 그냥 재레기 수준이죠 ㅎㅎ

    그냥 저런 식으로 연습을 거듭하다 보니, 조금 더 잘보이는 거구요^^

    원래 긴 문장, 어려운 지문을 보면 떠오르지 않는 게 당연한데,

    이걸 연습을 하다보면 좋아집니다^^

  • DVbjtkZurElL8Y · 647431 · 16/06/19 19:53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GB (이경보) · 612906 · 16/06/20 12:09 · MS 2015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