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꿀팁 [486736] · MS 2014 · 쪽지

2016-08-05 09:59:04
조회수 1,451

[개꿀팁+자료] 위로가 필요한 하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895080

(145.3K) [477]

현강 핵심 피드백 1주차.pdf

(197.4K) [805]

고전산문 구조-서성수 오르비.pdf

  

안녕하세요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개꿀팁입니다.

  

날씨가 더워서인지 수능이 정말 코앞으로 다가와서인지

요즘 들어 지치는 학생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사실 저도 그런 것 같아요.

내가 가지고 있는 꿈이

내가 하고 있는 노력이

별거 아닌 것으로 치부되는 일을 겪으며

달려 나갈 힘을 잃어버린 느낌.

  

이런 상황에서

평상시에는 그냥 넘겼을 누나가 해준

성수야, 괜찮아, 충분히 잘하고 있어라는 말은

  

우연히 들었던 노래 속

비교하지 마 상관하지 마 누가 그게 옳은 길이래

옳은 길 따위는 없는 걸 내가 택한 이곳이 나의 길라는 말은

  

진짜 저를 다시 달려 나갈 수 있도록 해주더군요.

  

그래서 약간 오글거지지만ㅎㅎ

저도 여러분께 꼭 한마디 해드리고 싶었어요.

  

진심으로

충분히 잘 하고 있으니 너무 고민하지도 너무 아파하지도 마요.’

정말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ㅎㅎ

  

오글거리기만 하면 안되니

위로와 함께 도움이 되는 선물도 준비했습니다.

고전 서사 핵심 개념-구조편

‘1주차 피드백입니다.

단순히 나 대상 반응에 밑줄 치는 것이 아니라

왜 그곳에 밑줄 쳐야 하는지

잘 못하겠다면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 정리해 두었습니다.

  
자료 5회독
4지문 개념 적용
1차 오답(답지 보지 말고 왜 틀렸는가, 어떤 독해법을 놓쳤는가)과 질문
피드백 자료 순으로 봐요 ㅎㅎ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여러분도 저도 꿈을 향해 힘차게 달려나갑시다!

추천은 사랑!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꿀팁 · 486736 · 16/08/05 10:01 · MS 2014

    친구들보면 진짜 대단하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진심으로 잘 하고 있으니 너무 걱정하거나 몰아부치지 마세요. 해야 하는 적당한 공부만 열심히 합시다!

  • 개꿀팁 · 486736 · 16/08/05 10:01 · MS 2014

    뿌듯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저는 이만 파이널 교재 만들기 위해서 총총 ㅎㅎ

  • 개꿀팁 · 486736 · 16/08/05 10:03 · MS 2014

    마지막으로
    자료 5회독
    4지문 개념 적용
    1차 오답(답지 보지 말고 왜 틀렸는가, 어떤 독해법을 놓쳤는가)과 질문
    피드백 자료 순으로 봐요 ㅎㅎ

  • 국어는극혐입니다 · 673198 · 16/08/05 11:30 · MS 2016

    선생님 뜬금 없는 질문인데 국어 제가비문학 공부를 일단 문제를 풀고 채점 한 후에 지문 분석을 하는데 지문분석을 각 문단이 어떻게 연결된지 파악하고 구조도를 그리고 그린다음에 선지 구성원리(대조, -가 아니라 등) 파악하고 넘어가는데 이정도면 될까요? 그리고 리트 하루에 1지문씩 푸는데 1지문당 무조건 1개는 틀립니다. 많이 부족한건가요?

  • 개꿀팁 · 486736 · 16/08/06 18:13 · MS 2014

    사관학교 기출도 풀어보셨어요? 어떤 리트 자료를 가지고 공부를 하시는지는 모르지만 리트 거의 모든 지문에서 한 문제씩 틀린다면 정보량이 많은 지문에서 정의, 비교 대조, 과정 원리등 필요한 정보량을 뽑아내는 연습 전하,진동수, 파장 같은 기초적인 개념어를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해보여요. 즉 배경지식과 독해력이 아직은 좀 더 노력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정보량처리와 배경지식을 수능적 난이도에서 처리하는 것은 사관학교가 리트보다는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ㅎㅎ

  • 개꿀팁 · 486736 · 16/08/06 18:18 · MS 2014

    오답의 경우에는 매우 휼룡하게 하고 있어요 ㅎㅎ
    다만 구조도 자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구조도를 활용한 완결성 고민과 예측 독해를(a개념이 등장했으니 이에 관한 구체화, 비교 대조 구문의 반복 등) 을 조금더 고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지금 정도면 이제는 모르는 문제 틀리는 문제가 명확해져요
    실제 수업을 보더라도
    대부분 상위권학생의 경우
    육사 비행기 문제처럼
    앞선 원리가 계속 구체화되는 과학 기술 지문

    과학과 경제 개념어를 설명하지 않고 진행되는 지문 등 어려워 하는 부분이 정해져 있어요

    힘든 유형의 문제 다풀고
    배경지식 정리(용어 과학 기술 경제)
    어려운 지문 텍스트로만! 남기는 연습하는 게 좋아요!

  • 국어는극혐입니다 · 673198 · 16/08/06 18:29 · MS 2016

    친절한 답변감사드립니다. 과학지문같은 경우에 배경지식 정리가 따로 필요할까요? 과학 지문 잘 이해가 안되서요. 과학지문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읽고 공부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