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 고3 1년 삽질하지 말자 - 1.기본마인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786622
- (공부법) 국영수 공부법의 끝: http://orbi.kr/0007782971
- (자극글) 1%와 99% :http://orbi.kr/0007195332
- (수기) 333 에서 111 :http://orbi.kr/0007281823
- 기출분석에 대한 이해 (이과) : http://orbi.kr/0007341489
- 기출분석에 대한 이해 (문과) :http://orbi.kr/0007381471
- 하찮은 수험생, 그리고 10회독 :http://orbi.kr/0007726493
- 공간도형의 끝 :http://orbi.kr/0007877429
- 벡터 Part 1 :http://orbi.kr/0007877429
- 수학, 양치기를 하라는 이유 : http://orbi.kr/0007957406
- 무한등비급수 & 도형 : http://orbi.kr/0008013253
-수학, 방향에 대한 재언급 : http://orbi.kr/0008016047
- 3월 모의고사 분석 칼럼: http://orbi.kr/0008120662
- 4월 홍현빈 모의고사 일부 문항 & 해설 : http://orbi.kr/0008234896
- 수학, 기출의 한계 : http://orbi.kr/0008265106
-6월 홍현빈 모의고사 배포 : http://orbi.kr/0008502414
- 수학, 6평 이후 삽질하지 말 것 : http://orbi.kr/0008523502
- 수학, 남은 4개월 킬러문항 학습법 : http://orbi.kr/0008737789
- 가형, 킬러문항 접근법 (1탄) : http://orbi.kr/0008763540
- 9월 직전 수학 (가),(나) 형 총정리 http://orbi.kr/0009015250
- 수업안내 : 네이버에 홍현빈 검색.
뭔가 고3분들 내신준비로 바쁘고 여긴 수능끝난 잉여분들 뿐이 없을 것 같지만,
그냥 씁니다. 근데 글쓰는거 왜이렇게 버벅이죠 오르비?
시작할게요.
< 이 칼럼은 계속 연재됩니다.오늘은 1편. " 기본적인 마인드">
안녕하세요. 홍현빈입니다.
이제 17수능이 끝나고, 아직 성적표도 나오지 않았지만,
고2 학생들은 11월 모의고사를 끝내고 18수능을 준비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물론 내신도 남아있지만요.
12월도 되지 않은 지금, 좀 이른 감이 있지만
본격적으로 18수능 대비를 시작할 1월이 오기전에
가능한 수능 만점을 위한 "직선코스"를 준비한다는 마음으로, 가볍게 읽어보세요.
물론 내용은 전혀 가볍지 않습니다. 중요한 얘기죠.
몇년째하는 제 소개지만,
저는 고3 1년간 정말 열심히 공부했고,
평균등급 3등급대를 받고, 재수를 하게 됩니다.
재수기간동안, "내 고3은 왜 실패했는가" 에 대한 해결책을 스스로 발견,
결국 서울대 입학에 성공합니다.
수학은 4등급에 가까운 성적에서 만점으로 끌어올려 현재 강사로 활동중이구요.(나이는 어리다만.)
저는, 그래서 당당하게 항상 공부법을 전파합니다.
원래 잘하던 사람들의 공부법을 여러분들이 들으면 크게 도움이 될까요.
분명 3등급이 하는 공부가 있고, 1등급이 하는 공부가 있을텐데.
전 실제로 그 과정을 거쳤고, 올리는데에 성공했기 때문에.
또한 그간의 칼럼들이 많은 호평을 받아왔기 때문에
제 공부법과 방향들을 여러분들이 확신을 갖고 받아가셨으면 합니다.
각 과목별공부법은 제가 미리 써둔게 있긴하지만,
곧 업뎃해서 올릴겁니다.
과목별 칼럼은 당연 전 수학강사니깐 수학만 갈 것 같구요.
다만 오늘 이 칼럼은, 과목별 공부법이 아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공부해야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고3 시절의 제 모습과, 재수시절 제 모습의 궁극적인 차이를 먼저 짚으면서,
한번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재수없게 보일 수도 있는데, 제 자랑 하려는 것도 아니고
"내가 1년뒤에 저런 모습이 되면 되겠구나."처럼 건강한 생각을 하시면서
보는게 본인한테 더 도움될거라 봅니다.
고 3 시절 저는,
1. 3점과 쉬운 4점 짜리 문제가 풀리긴 풀리는데
모든 문제를 한번에 풀지 못했고,
막혔을 때에 맞는 풀이법 잡아내는 것이 힘들었고,
29번과 30번은 끄적대기만 했어도 기적일 정도 였습니다.
2. 영어는 단어는 그래도 꾸역꾸역 외웠어서 괜찮았으나,
첫문장을 오역하거나 하면 전체 문단을 소설써버리는 경우가 있었고,
한 문장 한 문장 모두 해석 되는 것이 아닌
대충 " 감독해" 를 했습니다.
물론 시간이 부족한 경우도 은근 있었구요.
제 시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모든 EBS 지문 15회독이었고,
실제로 ebs 어느 지문이든 첫 세개의 단어만 보면
어떤지문인지 어떤 문장이 빠졌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제 희대의 역대급 삽질이었죠. 수능날 1년 중 최하점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
3.탐구야 뭐 말할 것도 없죠. 엉망이었습니다.
재수 때의 저를 볼까요.(재수하고 나서 수능볼 때의)
1. 이과 수학 40~50분 컷
40~50분 컷이 어느정도냐면,
일단 29,30 제외한 28문제는 절.대. 막히지 않고,
막혀도 바로 넘기고 오면 최대 3번안에 무조건 풉니다.
17번 까진 거의 1분당 한문제꼴로 풀어야하고
21번까진 1분 30초~ 2분내에 풀어야 합니다.
킬러문제에선 몇번의 끄적임 속에서 바로 방향잡고 풀어내야하구요.
남은 50분간 5번씩 검토하고 내고 100점 받습니다.
좀 안와닿나요?
내가 아직 필통에서 지우개를 안꺼냈구나. 를 29번쯤가서 깨닫는다 보시면 됩니다.
2. 영어
모든 문장의 해석이 가능하고, 읽는 속도도 빨라서
듣기 하면서 풀면 빈칸,문장삽입 외에 거의모든 문제를 풉니다.(맨뒤 장문도 풀수있음)
국어 풀듯이 슥슥 읽고 답 바로 찍고
엄청 어려운 빈칸같은 문항나오면 그제서야 뇌를 슬슬 돌립니다.
(저도 어려운 건 고민 많이했습니다. - 이건 어쩔수 없는것. 그래도 고3 때의 저와 깊이차이야
당연히 있죠.
이 부분은 후에 자세히 서술할겁니다.)
3. 탐구
마지막장
4문제 외에는 거의 기계입니다.
슥슥슥슥슥슥 풉니다.
1,2,3페이지에서 (과장좀더해서) 고민자체를 하면 망했다 보면 됩니다.
그냥 쭉쭉 갑니다.
이게 13-14수능 보던 제 모습입니다.
고작 1년 이란 시간동안 엄청나게 변했는데,
제가 좀 물어볼게요.
어떻게 하면 저렇게 될까요?
이런걸 좀 진지하게 고민하셔야 된단 겁니다.
지금 여러분이 앞으로의 여러분들의 1년간을 고민하는 수준을 보면요,
단순히 " 이과목은 이걸하고 이 강사 들어야지"
끝입니다.
깊이도 없고 방향도 없어요. 목적도 없고.
기본적인 마인드가 안되있단 겁니다.
질책하는 건 아니예요. 거의 모든 고3들이 그렇고 저도 그랬고,
그래서, 막말로, 원래 잘하던 친구들 말곤 성적향상 힘듭니다.
그러니 좀 잘들어보세요.
공부는 기본적으로,
"체화" + "사고력키우기"
라 생각하면 됩니다.
어느하나 소홀히 하면 안되고,
보통 "체화" -> "사고력 키우기" 의 순서를 밟긴 합니다.
물어볼게요.
수학 17번까지 1분내로 풀어야하는 수준이 되려면,
어떻게 되야 하나요?
엄청 똑똑하면 그럴 수 있을 것같은데
수능 날 4등급 받은 고3짜리가
어떤 수로 엄청 똑똑해지나요?
자꾸 여러분 뇌를 탓하면서 선 긋지 말고,
여러분들 뇌는 이미 충분합니다.
다만 학습법이 문제예요.
상식적으로, 머리가 좋아서 1분내로 푼다는 그 전제자체가 틀린겁니다.
예시를 하나 들게요.
자전거를 처음 탈때와
자전거를 능숙하게 탈때를 생각해보세요.
처음 탈땐 잘 못탔는데, 1주일 정도 타보니 잘 탑니다. 이제.
그럼 그 1주일 동안,
운동신경이 눈에 띄게 좋아졌나요?
에?
말도 안됩니다.
그러면.
그러면 어떻게 능숙하게 잘 타게 되었죠?
네네네네네.
그냥 계속 타본겁니다.
그것밖에 없어요. 내 몸은 그 자전거가 이제 익숙해진거고.
처음에 자전거 탈때는 생각할게 많아요
넘어질 것같은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라...페달은 계속 밟아라..
능숙하게 탈때는요?
생각을 하나요?
안해요 그냥 탑니다.
왜?
생각을 굳이 할 필요가 없을정도로 내게는 익숙하니깐.
우리는 이걸 체화라 부릅니다.
즉, 17번 까지의 문항들을 1분내로 풀 수 있는 이유는,
그냥 많이 풀어봤기 때문에 그 문항들이 내게 너무 익숙한거고,
그래서 보자마자 생각할 겨를도 없이 펜이 가서 풀고 있는 겁니다.
다시 한번 물을게요.
그럼 원래부터 1분만에 풀 수 있었을까요?
아니라니깐
자전거 처음에 잘 못탄다니깐
아시겠죠?
여러분들이 지금 삐걱삐걱 대면서 풀고 잇으면, 그건 당연한 겁니다.
거기서 좀만 더 풀고 좀만 더 풀고 하면 됩니다.
모든 공부는 그런겁니다.
이걸 모든 공부에 기본적으로 적용시키고 가야합니다.
학원가서 탐구 수업을 들었다치면,
그 부분을 처음 배운 부분이라 치면
"아 자전거 타기 시작했군" 하면서
"최소 5~ 10번은 더 봐줘야 내것이 되겠다"를
그냥 "기본전제"로 깔아두고 가면 됩니다.
어떤 단어를 외웠어도,
아 이걸 10번은 더 마주쳐야 온전히 내것이 되겠군.
하면 됩니다.
이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순간
공부가 쉬워지는 거고,
그 어떤 공부를 하든 만만해집니다.
근데 여러분들은 그러지 못하고 있구요.
좀만 더 보면 될 것을, 그걸 못참고 방향을 바꿔버리죠.
이거 해보고 저거해보고 요거해보고 조고해보고
안늡니다.
깊이가 없거든요.
물론 비슷한내용을 이책에서 저책에서 이강의에서 저강의에서 듣다 보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얼마나 비효율적인 행동인지 굳이 말안해도 아실겁니다.
전 모든 과목에 이걸 기본적으로 깔고 갔고,
단한번도 시간부족으로 고생해본적이 없습니다.
남는 시간이 너무 지루하다 생각할 뿐이였죠.(죄송합니다. 과장입니다...그 시간에 검토했습니다...)
다음 칼럼에선, 그 다음과정인 "사고력키우기" 를 좀 다뤄보겠습니다.1편과 2편이 기본적인 마인드이고,그 이후부턴 좀 상세하게 들어가보려 합니다.질문 달게 받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끌올 요청 5
[자료] 2026 EBS 수능특강 독서 지문...
-
줄까봐민폐
-
확통 문제 질문 1
B,C가 짝수일 때 경우의수 어케 구하나요???
-
철학 이런거 싫어했는데 선생님이 재밌게 잘가르치니까 개재밌네
-
어이업서 8
신입 요양보호사 하루만에 또 그만두고 나갓네.. 두달만에 공익인 제가 넘버투가 됐어요
-
1~2월에 대기 넣었다가 풀렸는데 그 때 신청을 안해가지고 대기 안한 상태가...
-
저는 여러분들보다 많이 늦었는데요.... 대학 갈 나이가 아닙니다. 쨌든.... 이...
-
진짜 개빡친다 6
학교 수업시간에 자든 말든 쌤은 별로 신경 안쓰는데 한 친구가 내가 졸때 계속...
-
2306 분서갱유 진나라와 한나라, 2211브레턴우즈 플라자합의, 2111 북학론과...
-
문항 절반 이상이 중복인듯...? 이거 원래 이런가요? 돈 개아깝네
-
우선 경북 지둔 가능한 메디컬 지망 n수생이라는거 미리 말씀드립니다 생기부 장점:...
-
닉변추천좀 3
ㅇㅇ
-
지금 일어났어요...
-
ㅎㅇ 2
ㅎㅇ
-
인강으로 그냥 좀 많이 해결해도되나요 ㅠㅠ 혼자 풀고싶어서 고민 계속하는데…
-
풀이 1
중간에 출제자의 도움을 받앗읍니다..
-
나도 좀이따 올려야지
-
뻥임뇨
-
볼드 처리된 단어의 옳은 뜻을 고르시오. (댓글에 정답) Director...
-
친구한테 받아서 더프 사문 풀어봄. 28분 걸려서 47점 받음. 원래 20분 전후로...
-
이거 ㅈㄴ 맛있다
-
지방한 2
화작 1컷 확통 98 영어 1 세지 100 사문 100 지방한 가능한가요
-
기생집 3점 4점 (점프 제외)하고 스블 듣는거 어떤가요?
-
어찌되엇든 풀엇다면 오케잊니다.
-
안녕하세요 전 올해 고3인 수시러입니다 그동안 평균 내신은 1.4~1.5쯤...
-
ㅈㄱㄴ
-
칼럼쓰고싶은데 3
그럴 지능이 없어서 울었어..
-
의지 대단하지 않음? 하루종일 수학만 공부하면 지치고 질리던데 그거를 매일 몇달동안 한다는게 신기함
-
“해질녘의 색 하늘을 날아 이 별의 지금마저 빠져나와서 바로 아래, 점점 작아지다가...
-
제가 유효기한 2025년 7월 12일까지인 GS25 기프티콘 3,000원권 1개...
-
외면성=객관성 내면성=주관성 이렇게 대응한다고 생각했고.. 보기에서 초기의 작품이...
-
헐
-
공부에서 재능이란 요소를 완전배제는 못한다고 생각함 나도 1
하다못해 오르비 고닉이 되는 것도 재능이 필요하고 누구나 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
안녕하세요...! 첫 칼럼으로 찾아뵙게 된 동메달입니다...! 칼럼 내용은 제목...
-
확통 뉴런 기출 1
재수생인데 시발점이랑 워크북 끝냈고 이번 4덮 때 확통 두개 틀렸는데 마더텅으로...
-
고백할 것이 있음 16
어제 다섯 시에 잤어요 졸ㄹㅕ
-
사1과1 공대? 1
서성한 연고 건축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과 정도 목표로 한다면 사1과1 괜찮나요? 맞는...
-
일차입니다 일반 질믄도 ㄱㄱ 공군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경찰대학"얘 우리 경대출신이...
-
간다 2
화나서 그냥 감
-
현우진 너무 잘생기게 그림 ㅋㅋ
-
개빡쳐
-
맨날 7시간은 자는데도 부족함 그래서 일요일마다 11시간 넘게 자는듯 어제도 12시간 반 잠
-
날씨 좋다 0
하지만 나는 솔로인걸
-
D-206 0
수학 2단원(확률~조건부) 유형 19(80문제)
-
님들 저만 이러나요ㅠㅠ 23
저 공부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맨날 아침마다 계속 조는데 왜이런거죠ㄹㅇ.. 잠...
-
조원 억까당했다 0
어떻게 손절친 한 사람이랑 3연속으로 같은 조지?
-
배불러 12
임신했더니 확실히 배가 불렀네
올리자
ㅋㅋㅋㅋㅋ..지금 고3분들거의없어서 묻힐듯 ㅠㅠ
빈님 감사합니다. 군대에서 님글읽고 미친듯이 문제풀어서 요번에 수학 96나왔습니다.
크 열심히하셨네요. 제 글이 자극을 잘 준것같아 기분이좋습니다..
와 완전 좋아요
하나읽었고 내일마저 읽어볼게여
제2의 Bin..이 되자 ..ㅎㅎ... 추천!
수학 감각없는 문과생 입니다. 올해 수능쳐서 84점 2등급 상위 나왔습니다. 문과생이여서 수학 감각이 없습니다. 진짜 가끔은 x축 y축 헷갈리는경우가 있을정도로요. 제가 개념을 배워도 그 개념이랑 문제 풀때 따로 놀아요. 개념을 배워도 문제를 풀때 적용하는것이 아니라 외워서 푸는ㅈ느낌인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이런 칼럼을 저는 왜 이제서야 본걸까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