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케이 [633077]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6-11-24 23:17:06
조회수 458

국어 실험용 지문 저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766174

 평가도구란평가하고자 하는 사건이나 현상을 관찰조사하거나 측정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특히사회심리현상의 비가시적인 특성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교육평가&’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고목표성취모형을 제시한 것으로 잘 알려진 타일러(R. Tyler)를 필두로 한 많은 교육학자들은 교육평가도구로서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기준 세 가지로 타당도신뢰도객관도를 이야기한다먼저타당도란 평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평가도구가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다음으로신뢰도란 측정에 오차는 없는지에 관한 것으로측정의 일관성안정성이 얼마나 높은지에 대한 것이다마지막으로객관도란 평가자가 얼마나 일관적인 기준을 가지고 평가 대상자를 대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예언타당도공인타당도구인타당도 등으로 구분된다그중 내용타당도란평가자가 평가하고자 하는 바를 얼마나 충실히 평가하는 지에 대한 것이다수능의 경우에는 고교 교과과정이 이의 기준이 될 것이며중학교 내신 시험이라면 가정통신문에 적혀 있는 시험 범위가 이의 기준이 될 것이다다른 하나인 예언타당도란검사 결과와 평가 대상자의 미래 행동이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관한 것이다만일 교내 수학 경시 대회에서 입상한 학생이 있다면그 학생은 내신 수학 시험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그러나 이 학생이 내신 수학 시험에서 평균 이하의 성적을 받았다면교내 수학 경시 대회 시험이나 해당 내신 수학 시험 중 한 평가도구는 예언타당도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신뢰도에는 재검사신뢰도동형신뢰검사도반분신뢰도문항내적신뢰도 등이 있다이 중 재검사신뢰도란한 평가도구를 동일 집단에게 여러 번 이용했을 때 얼마나 비슷한 수준의 결과를 얻는지에 관한 것이다물론 첫 시행 직후에 동일 시행을 할 경우 평가 점수가 높아지는 것이 상식적으로 당연함으로, 2주 정도의 텀을 갖고 재시행하여야 한다다른 하나인 동형신뢰검사도란동일한 평가 기준에 기반을 둔 비슷한 난도의 두 가지 평가도구를 제작하고이를 평가 대상자들에게 사용할 때에 얼마나 두 평가도구의 결과가 일치하는지에 관한 것이다그러나 93학년도 수능에서 알 수 있듯이두 개의 평가도구를 동일한 내용을 동일한 난이도로 제작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객관도는 평가자 신뢰도라고도 하며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첫째는 도구의 객관화둘째는 평가자의 소양셋째는 기준의 구체화넷째는 다인수(多人數평가다섯째는 오류의 제거이다.

 타일러의 목표성취모형은 &‘구체적 목표 설정 &→ 학습 경험 선정 &→ 학습 경험의 조직 &→ 학습 성과의 평가&’로 구성된다구체적 목표 설정이 평가도구에 온전히 반영되지 못하면학습 성과의 평가 역시 잘못될 가능성이 크다타일러는 평가 결과를 통해 교수법교과과정 등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다시 말해평가도구가 적절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우리의 교육에 숨어있는 문제점들이 밝혀지기 어렵고이를 해결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따라서평가도구의 타당도신뢰도객관도를 최대한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미래의 아이들에게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4문단 조금 늘려서 2200자 만들면, 그리고 내용 좀 보완하면 6문제 짜리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어차피 제 국어 문제가 어느 정도 환영받을지 알아보기 위해 데모용으로 공개할 거라 그냥 투척...


무단으로 도용하지는 말아주세요 ㅜㅡㅜ



아니 왜 &가 이렇게 많은 거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