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크두 [368611] · MS 2011 · 쪽지

2011-03-16 23:17:37
조회수 672

형님누님들 경제경시대회 응시하셨던 분들 계신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71062

우연히 경제경시대회에 대해 알게됐는데 아직 고2라 스펙도 쌓을겸 내년에 볼 수능 경제 고득점받을겸 공부해서 응시해볼까 하거든요.

종류가 몇가지 되는거같은데 어떤 걸 응시하는게 좋은가요??

그리고 수능용 학습서(기출문제,인강or누드교과서or숨마 등의 개념서) 외에 따로 봐야할 경제학 관련 서적은 뭐가 있나요??

경제원론처럼 보면 베고 싶은 책이 아니었으면 합니다..;;ㅋㅋ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크두 · 368611 · 11/03/16 23:19 · MS 2011

    아니다 수정할게요. 경제원론같이 두꺼운거여도 필수적인 거면 써주셔도 되요 기왕할거면 제대로 해야죠 ㅋ

  • 시장정의 · 311088 · 11/03/17 00:29

    사실 제가 그런 대회에서 상도 몇 개 받고 그걸로 덕본 일이 좀 있긴 한데...
    여러 이유로 아주 크게 추천하기는 좀 그렇네요.

    자기소개서나 다른 스펙들과의 관계에 따라 천차만별이긴 하겠지만 경제경시대회 수상실적이 판도를 바꾼다고 하기엔 영향력이 좀 작다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경제한마당 장려상이라면 아마 일반계 다니시면 공부하면 거의 받는다고 봐도 무관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희소성이 낮고요.
    TESAT이나 매경TEST는 보면 베고 싶은 책을 독파하신 후에 시사상식도 보고 해야 수상권 안착이 가능할 거에요.
    뭐, 요즘 문제 쉬어졌다는 것 같기도 한데 저는 손을 뗀지가 한참이라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제가 있을 때는 저를 제외하면 수상자들 거의 대부분이 외고거나 학교에서 경제 밀어주거나하는 특성화 고등학교고..

    아무튼 수능 경제랑은 많이 달라요. 수능용 학습서만 가지고는 대비 불가능이나 다름 없어요. TESAT / 매경TEST는 애초에 주최측에서 경제학 원론에 신문 읽고 준비해라라고 공표해놨고, KDI 경제한마당도 말이 고교과정에 시사적 요소 반영이지 그냥 어지간해선 원론 쉬운 거 정도는 한번 보고 와라 수준인 것 같고요.

    무슨 시험이든 기출이나 샘플문제정도는 쉽게 구할 수 있으니 한번 보시고 결정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