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 상경논술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687043
심각하게 잘봄ㄷㄷ
9번연속만점이던 경제가 수능에서 갑자기2개 틀리더니 그게 서강대로 보답하려고 그런거였네요.
1번은 공공재와 공유자원
(비배재성과 경합성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이었는데
보는순간 경제교육과정이라 겁나신나서씀
원래 논술쓰는데 시간오래걸리는 편이라 걱정했는데40분만에 쓰고 속으로 발광함
2번은 바를 가~마 근거로 설명하고 사에따라 국민입장에서 설명하는 &'세계화인척 하는 소득불평등+일자리 문제&' 라서 또다시 경제러 땡큐 근데 롤스는 &'사회 구성원전체가 이익을 봐야하는&'의견으로 봤는데 그것만 좀 꺼림칙...
어쨋든 너무 감사하고 기분좋았던 서강대논술...수능이 배신했으니 너라도해야지 그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오 꼭 합격하시길...ㅎㅎ
제가 하나 깔아드렸습니당....
비경합성은 공유자원에서 잘 활용했는데 비배재성은 공유재문제에서만 썼거든요?? 이거 맞나요? 경제를 안해서 ㅠ
공공재는 비배제성으로 야기되는 무임승차,생산의욕감퇴,자원부족 문제 공유자원은 경합성으로 야기되는 자원부족,한정된이익에대한 합의 어려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공재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ᆞ공유자원은 자발적합의가 필요.
음.. 공공재는 비배제성위주로
공유자원은 비경합성위주...죠?
공유자원은 비경합성을 가지지 않아요ㅠ
아 네네 경합성이요 댓글을 잘못썻네요
1번답이뭐임?
공공재는 비배제성으로 야기되는 무임승차,생산의욕감퇴,자원부족 문제 공유자원은 경합성으로 야기되는 자원부족,한정된이익에대한 합의 어려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공재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ᆞ공유자원은 자발적합의가 필요.ㅡ이렇게 썼네요
지문 어떻게나누셨어요???ㅠㅠㅠ
처음 공공재와공유자원제시+나다라마바분류 2문단 나다라마바설명+사비판 3문단 아-공공재해결 자-공유자원해결했어요
그 나다라마바 분류를 저는 나마바-공공재 /다라-공유자원 으로 나눴는데 잘못된건가여 ㅠㅂㅠ
맞아요
대박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와. 1학기때 대학에서 배웠던 경제학원론으로 언뜻 맞췄네요
마지막에 해결 방안쓸때도 공공재 공유자원 나눠서써야 하나요?
전 걍 시간없어서 정부지출확대, 자발적인 규율합의/실천을 통한 공동의 이익 제고 이정도로 만 뭉뚱그려 썼는데 ㅋㅋ
구분해줘야 할거에요 아는 공공재해결에 연결되고 자는 공유자원해결이라는게 너무 명확해서...
저두글케쎃어요ㅠ
소중한 거름이 되겠습니다
ㅋㅋㅋㅋㅋ 거름잼 ㅋㅋㅋㅋ
1번어떻게나뉴ㅓㅆ어요?
저 밟고 가십시오..
2번 쓰고 꺼림칙 공감
나 우물 공공재
다 고래남획 공유자원
라 합의 힘듬 부담 회피 공공재
마 휴지부족 공유자원
바 가로등 공공재
이고아닌가요? ...소심하게무러봅니당....나다라마바이게맞는징 잘 기억이안나네여
라마 공유자원공공재 뒤바뀜
휴지부족이 공공재에염?... 자원에한계가있는거아니였어염? ㅜㅠ경합성ㅜㅜ
이거 맞는데? 논지 흐름 보면 이거 말고 답 안됨.
공공화장실휴지는 대표적 공공재이며 휴지부족은 공공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중 하나인 '공급부족으로 인한 자원부족'입니다. '비배재성'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연결가능.
그럼 관리 문제가 왜 공공 자원 문제죠? 공공화장실 휴지가 공공재라는 것은 님 생각이죠. 공공휴지가 한정되어 있는데 다써버리면 다른 사람이 못쓰기 때문에 경합성을 지닙니다.
고래남획을 관리,합의(협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함으로서 다와라는 일맥상통 한다는걸 알수있습니다. 그리고 경합성을 그런식으로(자원을다쓰면다른사람은못쓴다) 생각하시면 애초에 공공재가 비경합성을 가진다(지문에나온정보)는 것부터 말이 안되죠;; 님생각이라고 말한거 되게 공격적이시네요. 제생각이 아니라 경제교육과정입니다.
6월 28일 시행 서울시 9급 사회 A책형 해설
공중화장실의 휴지는 공유자원으로, 비배제성을 가지므로 무임승차자의 문제 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자료 첨가
저도 유념님처럼 생각했어요
라가 공공재
마가 공유자원인데요
책임회피에 주목해서 합의관련인 라를 공공재로 보신것같은데, 비배재성, 무임승차와 책임회피는 좀 다른 개념이에요. 휴지는 공공재라는게 너무 명확하고.
공격적으로 말한거 죄송한데요.. 어디 경제 교과서에서 휴지를 공공재라고 보신줄은 모르겠습니다만 이건 논술 시험이지 경제 내신 시험이 아니죠.. 분류 기준이 공공자원, 공공재 둘이라면 휴지는 공유자원에 속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논제에 각 재화가 하나씩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각 재화를 포함한 제시문은 동일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죠. 따라서 같은 문제점으로 묶을 수 있는 나, 라, 바. 다,마가 맞습니다.
휴지 공공재 맞아요 계속 바꿔 끼워도 빨리 쓴다고 나왔다는 거에서도 확인 할 수 있어요. 내가 많이 써도 휴지는 다시 채워지기 때문에 서로의 사용에 영향 안받아서 비경합성ㅇ ->공공재욤
그게 아니라여 이 상황에서 휴지를 공공재로 보면 논제에 맞게 문제를 못풀어요. 공공회장실의 휴지 문제와 가로등 문제, 우물 문제를 같은 문제점 하나로 적을 수 있겠어요? 관리제도와 고래는요? 논제에 맞게 논리적으로 풀어내려면 답을 제가 말한대로밖에 풀 수 없습니다.
마자요 문제에 각각 문제점하나라해서 ㅜㅜ
그렇게하면 공공재ᆞ공유자원 공통문제점 뭐라고 쓰셨어요?
음 근데 휴지를 교과적으로보면 공공재로 보기가 애매하긴한데 지문의 맥락에서 보면 휴지도 비배재성을 가지니까 저도 공공재로 했는뎀
저는 공통점 둘디ㅡ 모든 이가 동등하게 접근할수있으나 사람들이 손해를보지않고이익만추구하려고한다는점에서 공통이라고했는디..
라리라라라님 의견에 한표 던지고 갑니다
에이 아저씨 공중화장실 휴지가 공공재면은...그것도 정부가 생산합니까? ㅋㅋㅋㅋ
청와휴지...(내지는 100% 순면 순Siri 휴지도 나쁘진 않네요)....
그렇지만 그게 경제교육과정이라고 뻥치면 안되죠!!!
공중화장실 휴지의 경우 누구에게 소유된 게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무분별하게 남용돼서 쉽게 고갈돼버리는 경향이 있죠....
(이게 바로 경제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경합성입니다. 공공재는 고갈되는게 아니에요)
전형적인 공유자원의 예입니다. 해결책으로 누군가에게 소유권을 부여하든가 아니면
공동체의 자치규율을 통해 소비량을 규제하는 방법이 있겠네요.
합격하셨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