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GB [690495]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1-15 21:07:24
조회수 4,817

생1 다인자랑 일반유전자 연관되어있을 때 팁(+중간유전과 일반유전자 연관시 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606073

1. 일반유전자(A가 우성, a가 열성)와 다인자 유전자가 연관되어있을 때는


우성 :(대문자의 수)

열성 :(대문자의 수)

이렇게 놓고 구하는게 빠릅니다.


예시로, 일반유전자(A와 a)그리고 다인자유전자 (B와 b)가 상인연관되있다고 칩시다.

그리고 다른 다인자유전자 (D와 d)는 독립입니다.

그러면 우선 연관되어있는 염색체에서 나올 수 있는 표현형은 2우, 1우, 0열 입니다.(숫자는 대문자의 개수, 우/열은 일반유전자의 우성열성 여부) 이를 독립인 다인자유전자의 대문자 개수인 0또는 1또는 2와 더해 보면


우성: 대문자 1~4개

열성: 대문자 0~2개


이런식으로 구하는게 빠르다는겁니다.




2. P1은 일반유전자 A와 a, 다인자유전자 B와 b가 상인연관되어있고, P2는 일반유전자 A와 a, 다인자유전자 B와 b가 상반연관 되어있다고 칩시다.


P1과 P2를 교배할 경우 연관된 염색체끼리의 표현형은 2우, 1우, 0우, 1열이 나오는데요,


이 표현형들은 외우고 가는 것이 편합니다. 영어 단어 몇개 외우는것보다 외우기도 쉽습니다.





3. 여담으로

중간유전과 일반유전자가 연관되어있을 시

P1은 일반유전자 A와 a, 중간유전자 B와 b가 상인연관되어있고, P2는 일반유전자 A와 a, 중간유전자 B와 b가 상반연관 되어있다고 칩시다.


P1과 P2를 교배할 경우 연관된 염색체끼리의 표현형은 붉은색 우성, 분홍색 우성, 흰색 우성, 분홍색 열성이 나옵니다. (BB를 붉은색, Bb를 분홍색, bb를 흰색이라고 가정)


혹 작년수능처럼 표현형 가지수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나왔을 때, 중간 유전을 교배했는데 표현형 가지수가 3의 배수가 아니라면, 반드시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경우는 표현형이 4가지가 되므로)


그리고 ebs 수특인가에 벤다이어그램 그려놓고 P1(상인)을 자가교배, P2(상반)를 자가교배했을 때 표현형들을 (A-B)인 부분, (A교집합B) 인 부분, (B-A)인 부분으로 나눠놓았던데(A는 P1 자가교배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의 집합, B는 P2 자가교배시 나타날 수 있는 표현형의 집합)


이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중간-일반유전자 연관시 상인연관 자가교배: 붉은색 우성, 분홍색 우성, 흰색 열성

중간-일반유전자 연관시 상반연관 자가교배: 붉은색 열성, 분홍색 우성, 흰색 우성

중간-일반유전자 연관시 상인-상반 교배: 붉은색 우성, 분홍색 우성, 흰색 우성, 분홍색 열성


3개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형: 분홍색 우성

상인연관 자가교배에서만 나타나는 표현형: 흰색 열성

상반연관 자가교배에서만 나타나는 표현형: 붉은색 열성

상인-상반 교배에서만 나타나는 표현형: 분홍색 열성


상인연관 자가교배, 상인-상반 교배에 동시에 나타나는 표현형: 붉은색 우성

상반연관 자가교배, 상인-상반 교배에 동시에 나타나는 표현형: 흰색 우성


이렇게 정리해 놓으시면 3개 표현형 집합의 벤다이어그램 문제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으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다인자끼리 연관되어있을 때 꿀팁 링크

다인자 꿀팁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