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타진ㅇ [689732]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1-10 08:16:19
조회수 1,139

생윤 10월 20번 한번 봐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53839


이거 20번 ㅋㅋㅋ


주어 생략떔에 낙여서 틀렸는데


이지영 선생님 해설강의에서 4,5번 설명이 제시문에 없어서 둘다 틀렸다고했는데


그렇게 해석하고 가도 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다꼬야끼가조아 · 670426 · 16/11/10 08:17 · MS 2016

    제시문에 없어서 틀린내용이다 이렇게 풀면 수능때 참교육당할듯.. 노답;;해설을 진짜 저렇게 합니까?;;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08:24 · MS 2016

    네 ㅠㅠ 한번 풀어보세요... 저도 1등급 거의 고정인데 저기서 뭐지 답이없지 이랬는데 1번은 선생님께서 명확히 해설해주셔서 알겠는데 나머지 4,5번에서 그냥 두루뭉실하게 언급 안해주고 가셔서 ㅠㅠ 혹시 10월모의고사 다른데서 해설한거 있나요??? ebs 말고

  • 난다꼬야끼가조아 · 670426 · 16/11/10 08:31 · MS 2016

    10월해설 안들어서 모르겠는데 제시문독해로 푸는게 맞아요 4.5번이 가치개입인지 가치중립인지 구분해서 제시문이랑 비교해봐야죠.. 수능때도 제시문독해로 푸시는게 훨씬 안전할듯 하네요 읽어서풀면 4번xx5번ox인거같네요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15:46 · MS 2016

    4번 선지 : 갑, 을 모두 과학 지식의 활용 과정에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다만, 갑은 과학자의 책임이 아니라, 정치인 등 활용한 사람이 져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과학자의 관점에서 가치중립이라고 부릅니다.




    5번 선지 : 물이 100도에서 끓는가?, 와 같은 과학적 사실의 진위를 판단하는 것은 사실 판단의 영역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실험과 관찰 등을 통해서 내려야 할 문제라는 것을 공통적으로 인정합니다. 즉, 사실 판단의 영역, 지식의 객관성 여부 판단에는 모두 가치를 개입시킬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ebs 좋네요 ㅎㅎ 답변도 빠르고 ㅎ

  • 민족연대 · 668878 · 16/11/10 08:24 · MS 2016

    생윤 낙태,뇌사,기업,과학기술 등의
    실생활문제는 전적으로 제시문에 의존 해야합니다

  • 뚜왕뜌앙 · 685737 · 16/11/10 08:32 · MS 2016

    ㅇㄱㄹㅇ..

  • grace0609 · 512409 · 16/11/10 08:35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킬이캐므 · 660712 · 16/11/10 09:04 · MS 2016

    이거 1번인가요답?이런문제는 처음보네 ;;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10:29 · MS 2016

    네 1번이에요 10월 한번 꼭 풀어보세요 ㅎㅎ 진짜 막판에 따끔한 느낌 좋았어요 ㅠ 19번 그... 십자말 풀이 빼고는.. ㅋㅋㅋ 다 괜찮은거같아요!!

  • 별들의 고향(남자의 힘) · 624765 · 16/11/10 09:09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10:30 · MS 2016

    그죠 ?? 사실 이지영선생님의 해설이 나쁜건아니고 저같이 4,5번 집약적으로 ㅋㅋ 파고드는 애들이 문제일수도 있는거같아요, 1번에 주어생략은 막판에 한번 따끔하게 충격 먹고 ㅋㅋ 시험칠떄 비문학 독해들 주의해서 풀어야겠어요 ㅋㅋㅋ

    근데 4,5번에 선지에 어떻게 보면 활용내용이 위에 제시문에 하나도 언급 안되서

    유추가 불가능한가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 별들의 고향(남자의 힘) · 624765 · 16/11/10 11:41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15:45 · MS 2016

    4번 선지 : 갑, 을 모두 과학 지식의 활용 과정에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다만, 갑은 과학자의 책임이 아니라, 정치인 등 활용한 사람이 져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과학자의 관점에서 가치중립이라고 부릅니다.




    5번 선지 : 물이 100도에서 끓는가?, 와 같은 과학적 사실의 진위를 판단하는 것은 사실 판단의 영역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실험과 관찰 등을 통해서 내려야 할 문제라는 것을 공통적으로 인정합니다. 즉, 사실 판단의 영역, 지식의 객관성 여부 판단에는 모두 가치를 개입시킬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명쾌한 해설 ebs가 좋네요.. 다 질문 받아주고 빠르고

  • 별들의 고향(남자의 힘) · 624765 · 16/11/10 16:35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신타진ㅇ · 689732 · 16/11/10 17:12 · MS 2016

    ㅠ 역시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저는 룰루 랄라 하고 있었습니다.. 학생이신가요... 교과서 내용까지 다아시고 과학 과 과학자 .. 그렇게 나누어 보면 진짜 다르게 해석 될수도 있을거같네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당!

  • 맹자 · 572487 · 16/11/10 10:13 · MS 2015

    믿고거르는 읍읍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