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중세국어문법질문!! 헷갈리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42083
일단 봉소 10회차에 약 스포가 있음
중세국어 자료에 'ㅄㅓ'라고 써있는 다음
1번 선지에 현대 쓰이지 않는 자음또는 모음이 쓰였다 라고 나와있는데
답지에서는 1번 선지가 맞는거라는데,,
우리 현대 단어에서 '없다'처럼 받침으로 쓰일 수 도있는데, 왜 현대에 쓰이지 않는 자음이라 할 수있는 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요즘은 오르비 잘 안하지만 매일매일 새르비 출석하던 시절에도 비갤에 내 언급 없어서...
-
반박안받음
-
5의 i제곱이나 1/5의 5i제곱같은거 지수가 허수일때는 어떻게되는지 궁금함
-
아니면 돈까스나 먹을까
-
원래 개념원리로 했는데 시발점이 문제가 더 나아서요
-
시발 ㅅㅂ시발 군대도 좆같고 시발진짜
-
센세가 오코리다스 나니모카모니 바츠 다라케 I'm sick of it
-
뻘글 좀 싸봐 2
아직 3시잖아
-
끼는 오바지
-
어딜가나 한까 vs 한빠 이구조네 십.. 질문좀 하고싶은데
-
저 왔어요! 8
-
추천점요
-
리젠 운지했네 3
아가들은 잘 시간이긴 해
-
국어 이새끼 깨달음을 드디어 얻은거같음
-
오늘인가
-
아 심심하구나 4
나에게 도파민을 다오
-
실물로 교미하고 싶어서 ㅋㅋ (영접해요)
-
직렬 병렬 특성들(합성저항 구하는 법이나 옴의법칙 등등) 다 물2와서 첨 배우는데...
-
국어 3컷 수학 1컷 사탐 1컷~만점이면 어디가나요
-
ㅎㅇ 5
제가 없는동안 무슨일이 있었나요
-
아아 트황의 은혜
-
호재일것같아서 기대됨
-
그리운오루비언 10
가톨릭대간호학과조유리
-
진지하게 동시간 방송하면 어디볼거임?
-
전재앙
-
대충상황 : 연대붙고 쌩재수함 주변 메디컬가는친구들 보면서 정병터질락말락 + 학군지...
-
사평우 푸셈
-
다크나이트와 백수는 한끗차이
-
하고 살고 싶다 윤도영 멋있음
-
이 사람도 어이 없음 12
단순 재밌을려고 나를 저격한거임
-
너튜브에서 허수 솔랭 봐야지 히히
-
챗지피티 이새끼 4
은근 고민상담 명기임 성능좋더라
-
하자가 많음 4
언제 다 고치냐
-
조대 다니는 분 3
의대 에타 여론 어떰? 에타 가입이 안돼서 궁금띠 다 수업 거부 한다는 분위기인가...
-
비단 나 뿐만 아니라 대부분..
-
이과는 물리랑 이것저것 들어야 하는 걸로 아는데 문과는 뭐 없던데 팀플 같은 과제랑...
-
새벽에 넋두리좀 하고감 11
일단 징징대기전에 자기소개를 하자면 나는 기차도 안다니는 개깡촌 출신이고 지거국...
-
누난 내여자니까 2
너라고부를게
-
오르비언들이 ㄱㅁ 쳐주니까 진짜 잘생겼나 하는 착각이 듦 ㅋㅋㅋ
-
문제 의식 제기 0
문제 의식을 제기하는건 좋은데 그 문제를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이 해결하는건 사실상...
-
주변에 정치하는 분들 보면 대통령이 돼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동력은 없다는데...
-
아이고 4
벌써 3시야…? 밤낮이 바뀌엇네
-
원나잇 하는 사람이 왜 쪽지한거지..?
-
꽤나 많이 보이는 군220722에서도 나오던데
-
개인주의를 표방한 이기주의.... 남한테 피해를 주지 않고 본인의 삶을 사는 건...
-
아콘 지리네 2
노래가 하나하나 주옥같네
-
공대에서 무휴반 하면 수능과목에도 좀 시너지가 있나요.과목을 미적+물리(1 or...
-
200730(나) 12
아주 빠르게 풀어봣음뇨
ㅂㅅ은 자음에 포함되어있지않지않나요...?
아.. 그래서인가요??
그러면 ㅄ, ㄾ,ㄳ 같은건 자음이 아니라 뭐라고 부르나요??
병서요..!
저도 갑자기 헷갈려서 선생님한테 질문하고왔는데 ㅂㅅㅓ의 ㅂㅅ은 중세국어 특징으로 지금은 어두자음군이라 불리고 원래있던 자음이지만 없어진거라시네요...!
ㅜㅜ 지금은 각자병서만 (ㅎㅎ제외) 자음취급하고 '없' 처럼 받침에 합용병서가 있는건 ㅂㅅ을 하나의 자음이 아니라 표기만 그렇게하고 ㅂ과 ㅅ 각각표기한거라시더라구요ㅠㅠ
제가 첫댓글을 제대로 알지못하고 쓴거같네요ㅠㅠ
자음은 맞는데 현재는 없어져서 쓰이지않는 자음이라셨어요 !
제가 굉장한 말바보라 이해하실지모르겠네요ㅠㅠㅠㅠ 으앙
제가 제 인강선생님께도 여쭈어보고 다시 답글달아드릴게요 !!
감사합니당~~
물론 겹받침이 현대에 쓰이는 것은 맞아요^^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음절의 초성에 오는, 즉 어두에 오는 어두자음군이랍니다.
초성에는 원래 자음 혹은 음가없는 ㅇ만 올 수 있는데
과거에는 저기에 된소리도 아닌 현대 국어의 겹받침도 사용되었다는 것이니까요.
겹받침의 경우에는 과거에는 자음으로 봤지만 지금은 자음으로 보지는 않죠 ㅎㅎ
이렇게 답변받았습니당 ~ !
중세국어 음절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현대 국어에는 없는
어두 자음군이 존재했다는 점이에요~
어두 자음군이란, 어떤 단어의 첫소리 위치에 자음이 두개이상 연이어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하는데
ㅂ계 혹은 ㅄ계 합용 병서로 표기되었습니다.
종성부용초성이라고 훈민정음 해례에 나와있듯 모든 초성이 종성 자리에 다시 쓰인다 라는 규정은
종성을 적기 위해 글자를 다로 만들지 않는다는 것일 뿐, 모든 초성 자음이 종성 자리에서 제 음가대로 실현된다는 뜻이 아니기 때문에 초성에 쓰인 ㅄ과 종성에 쓰이는 ㅄ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종성에 ㅄ은 단독으로 쓰이거나 휴지앞에 올경우에는 ㅂ으로 중화되고,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이 나올 경우에 ㅅ 발음이 넘어가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중세국어시기에 어두에온 ㅄ은 두 소리다 났다고 짐작하고 있어요~
이건 떠 다른 조교분이 말씀해주신것이애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