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1 고수 초청!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30
어제 테플론이 사슬모양인지 그물모양인지...라는 문제로
잠시 독동을 혼란에 빠뜨린 점 죄송하게 생각하고요..
오늘은 생물 질문하나 하겠습니다.
염색체 돌연변이에서 결실이랑 중복은 핵형분석으로 확인 가능하잖아요?
근데 전좌나 역위는 핵형분석으로 확인이 가능한가요?
전좌는 바뀌는 갯수가 같으면 핵형분석으로 확인이 불가능할거 같은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수능 범위내에서 핵형분석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은
염색체 수 이상 이나 구조 이상 이므로
전좌나 역위도 확인이 가능하다고 보시면되겠습니다
다만 애매하기 때문에 어차피 수능에 직접적으로 출제되진않으시니 걱정마세여
염색체 돌연변이는 모두 핵형분석 가능하다고 하라는데요; S선생님이...
10월교육청에서 된다고 나옴
문제 by 문제 문제에서 확인될만큼의 그림을 주면 가능할수도잇을듯..
염색체 수 이상은 핵형분석으로 100%확인가능함
염색체 부분적이상은 사설모의고사에서는 확인 불가능하다고 나왔었는데.. 워낙 논란의여지가 많아서 수능때는 절대 안나올듯요
ebs 강의 중 어떤 선생님께서 역위는 핵형분석이 안됬다고 하셨어요.. 전좌는 가능함;;
역위는 전기영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