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카데미 [498454] · MS 2014 (수정됨) · 쪽지

2016-11-04 11:30:56
조회수 305

2017학년도 국어영역 현대소설 출제예상 연계 문제 배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01086

(388.5K) [5507]

너와.pdf

(465.6K) [7204]

일용.pdf

(450.9K) [4107]

유예.pdf

(501.0K) [1812]

파편.pdf

현대소설은 최근 6개년의 수능에서 많이 알려진 작가들의 많이 알려진 작품이 출제되었습니다. 현진건, 이청준, 조세희, 윤흥길, 박완서, 이호철 등 굵직한 작가들의 작품이 출제되었습니다. 중복 출제는 삼대가 유일하고 동일 작가의 작품도 매우 드뭅니다. 이를 기준으로 출제 가능성을 따지자면 연계 작품 중에서는 오상원, 양귀자, 황순원의 작품이 유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이동하의 파편 정도가 더 있을 수 있겠습니다.


오상원의 ‘유예’에서 숙지해야 할 점


1. 의식의 흐름 기법 : 사건의 서술보다는 인물의 내면 의식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서술하여 소설의 내용을 전개하는 기법


2. 실존적 : 실존이란 인간의 주체적 의지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 소설에서는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주인공은 비록 죽을지라도 자신의 주체적 의지를 추구하여 존재 의미를 부여한다. 죽을지라도 잠시나마 자신의 의지대로 살다 죽는 것이 인간으로서 존재하다 죽는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3. 시점의 변화 : ['유예'의 시점 변화, '그'와 '나' - '유예'는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내기 위해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시점의 변화라는 서술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일인칭 주인공 시점과 전지적 작가 시점을 혼용하고 있다. '유예'는 주인공의 자의식과 관련이 없는 부분, 어떠한 사건을 제시하는 부분은 전지적 작가시점으로 주인공을 '그'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서술 기법은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와 달리 주인공의 자의식이 깊어져 독백하는 부분에서는 일인칭 주인공시점으로 주인공을 '나'라고 일컫고 있는데, 이것은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깊게 파악할 수 있는 일인칭 주인공시점을 사용하고 있다.


황순원의 ‘너와~’에서 숙지해야 할 점


☆ 개 짖는 소리의 의미

: 희망, 작품의 분위기 전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