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연대 · 668878 · 16/10/28 18:37 · MS 2016

    기술 윤리학은 기본적으로 사회과학쪽으로 분류되는 거로 알고있습니다

    가치중립적이며,그 문화에 대해 사실적으로 탐구하여 기술한다고 저는 알고 있어요

    또 누가 ^^쓰면서 댓글안달았으면

  • 17고연전 · 529494 · 16/10/28 18:38 · MS 2014

    어떤 윤리의식 지니는지는 이론도 할수있는데 탐구라는 말때문에기슬인가요?!?!

  • 민족연대 · 668878 · 16/10/28 18:43 · MS 2016

    음 이론규범 쪽 에서 그런 제시문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특정집단의 윤리의식 가치관 탐구는 기술윤리학이 확실할거에요

    이론규범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추구합니당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등등

  • 17고연전 · 529494 · 16/10/28 18:59 · MS 2014

    성의있는댓글 감사해여 열공하세요//~~!!!

  • Excelsior96 · 651957 · 16/10/28 18:55 · MS 2016

    저격 퍄퍄

  • 민족연대 · 668878 · 16/10/28 18:37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물결 · 654878 · 16/10/28 19:01 · MS 2016

    탐구라는 말이 약간 기술 윤리의 느낌이 나는...

  • 단맛생윤 · 684184 · 16/10/29 21:27 · MS 2016

    이 선택지는 사회 문화에서 다루는 내용을 생윤에 응용한 것입니다. 막스 베버는 직업으로서의 학문에서 가치 중립성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그는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도 가치 중립적이라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가치관)가 자본주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과관계를 설명합니다. 사람들이 어떤 윤리의식이나 가치관을 지니는지를 탐구하는 것은 특정한 규범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술윤리학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