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위한공부 [660756] · MS 2016 · 쪽지

2016-10-10 21:19:31
조회수 530

생윤 도가 죽음에 대한 입장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325168

고대에서 누구나 추구했듯이 도가 역시 마찬가지로
자연을 따르는 수련을 통해 불로장생을 추구한다고 하는데
도가에서 삶과 죽음은 차별이 없고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인데 왜 불로장생을 추구하나요?
결국은 어쨌든간에 죽음을 피하고 싶어했던것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MK JU · 684533 · 16/10/10 21:24 · MS 2016

    도교의 최종적 목표는 신선이 되는것이고 이를 위해선 불로장생을 해야 됩니다

  • Kh567VEpedoSPL · 677676 · 16/10/10 21:29 · MS 2016

    도가랑 도교를 혼동하신것 같은데

  • 날위한공부 · 660756 · 16/10/10 21:54 · MS 2016

    엥?생윤 수특에 도가가 불로장생 추구한다고 나와있는디..!?

  • oePI0iBtNgwFCr · 644303 · 16/10/10 21:37 · MS 2016

    '한국민족대백과' 사전에서 펌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莊子≫·≪열자 列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은 존재하고 있었다. 동서고금에 도교와 도가사상을 혼동하는 예가 많다.

    도교와 도가사상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도교는 어디까지나 종교이므로 근본적으로는 도가사상과 뚜렷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도교는 본래 피안(彼岸)의 관념이 의외로 희박하고, 오히려 현세의 길복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종교로서의 이론을 보강할 필요가 생겼던 것이고,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편으로 도가의 사상이나 그 논리를 받아 들이게 되었으므로 도교와 도가사상은 그 관계가 밀접해졌다.

  • 날위한공부 · 660756 · 16/10/10 21:54 · MS 2016

    생윤수특에 도가가 불로장생 추구한다고 나와있어서요..

  • 통기타여신 · 670950 · 16/10/10 21:53 · MS 2016

    도교에요

  • 날위한공부 · 660756 · 16/10/10 21:55 · MS 2016

    생윤수특에 도가가 불로장생 추구한다고 나와있어서요..

  • 공부 외 기타잡것 사절 · 630713 · 16/10/10 23:43 · MS 2015

    그거 이비에스 홈페이지 들어가보세요 정오표에 고쳐져있어요 도가=/=도교

  • MK JU · 684533 · 16/10/10 21:59 · MS 2016

    수특35쪽에 있네요... 그냥 도가 도교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포함 시킨것 같네요...

  • Excelsior96 · 651957 · 16/10/10 22:36 · MS 2016

    전 첨부터 도가랑 도교랑 같다고 배워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