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노직&롤스의 분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323772
다음중 맞는 선지들은 어느 것들이라고 생각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칸 0
경인교대인데 가능할까요?
-
사실분
-
경인교대 재학생입니다. 혹시라도 면접에 어려움 겪고 계시는 분들 혹은 혼자선 잘...
-
1. 일반전형 자신없는 장수생들 몰려서 폭난다 vs 2. 시행 첫해이고 나이에 따른...
-
가능한가유ㅠㅠ 한번만봐주세요 제블ㅜㅠ 참고로남자입니당
-
초등교육 남자 50~54등이 최초합라인이라고하는데... 지금44등이면 가능성있나요?
-
평백94.5인데 가능할까요 ㅠㅠ 그나마 경쟁률이 낮아서 다행인데 ㅠㅠ 제발추합이라도 ㅠㅠㅠㅠㅠㅠㅠㅠ
-
동생이 두 곳에 합격했는데 결정을 못하고 있네요. 원래는 경교를 1순위로 놓고...
-
교대 면접 평타 6
교대 면접 평타가 대체 뭘까요..?평타만 치면 된다 이런 말씀들 많이 하시는데평타의...
-
경인교대 1
면접 경합권이 몇점정도 일까요..?ㅜㅜ
-
경인교대요ㅠㅠ 14
경인교대 점수공개에 259명 중 69등인데이 점수도 면접 경합권일까요..?등수로...
-
경인교대 7
안녕하세요 ㅠ 경인교대 컷이 점점 올라가는것같아서 불안해서 못넣고있는데요.....
-
제가 경인교대를 지원하고 싶은데 스카이갈 성적의 학생들이 교대 지원한다는 글이...
-
경인교대 0
환산점수 761인데..면접에 크게 실수하지 않는 한 가능한가요?ㅠ
-
교대와서강대 20
정시접수가얼마안남앗는데 큰 고민있는 고3입니다 저는 점수가 다행히 적당히 잘 나와서...
-
환산점수 752인데 너무 불안해요ㅠㅠ 오르비나 우교가만 봐도 경인넣는 고득점자분들이...
-
경인교대여남정원성비적용구분하여...
-
안녕하세요. 올해 문과 2학년에 올라가는 고등학생이예요! 저는 지금 내신이 2.4...
-
가능할까요?? ㅠ
-
환산점수는 741점이고요 여자입니다!
-
평백93입니다. 남자 N수 문과생이요. 답변부탁드릴게요!!ㅠㅠ 하..연고수시 합6,...
-
장수생이라 비교내신인데 올 1등급 받고 등급컷보다 훨씬 잘받아야 갈수 있을까요?...
-
경인교대 정시 0
6평 언수외 2(88),1(100),1(95) 나왔고요 평소에도 이정도...
-
비교내신이고 여자입니다.서울교대랑 경인교대랑 고민중인데... 언어때문에 많이...
롤스가 개인의능력 업적이 아니지않나요?
ㅇㄹㅇ
다 올바른 정답인데 롤스노직이 업적에 따라서 업적을 고려해서 분배를 해야 한다고 말하는거 맞구요, 몽몽선지에서는 그걸 '기준'으로 분배한다고하면 롤스가 안되기때문에 틀린거에요. - 요약하면 롤스-고려, 노직-기준 이렇게되는거죠 기준으로 삼는다는건 필연적으로 고려하게 될 수 밖에 없기때문에 노직-고려도 맞는 표현이구여
능력과 업적에 대해서는 롤스나 노직은 모두 자본주의로서 같은 입장을 취하지 않나요??
능력과 업적면에서는 서로 차이가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추가로 능력과 업적에 따른 분배라함은 불평등을 허용하는가? 라는 물음과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하시면 되는데, 거기서 노직은 무조건yes, 롤스는 최소수혜자에게 최대이익이 가는 상황이라는 가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조건 yes라기보다는 조건부yes 라고 말하게 되는거에요. 따라서 그걸 기준으로 분배하라! 라고 하면 틀리게되지만 고려해서 분배하라! 라고 하면 맞는선지에요
그럼 업적/능력에 따른 분배 vs 업적/능력을 기준으로 한 분배
이렇게 구분해야 하는건가요;;;?
뭔가 좀 웃기네요ㅋㅋ
그게 그거로 보여서...
근데 롤스가 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하면 이건 저도 확실하게 모르겠네요
교육과정 개편 전 노직과 롤스가 자본주의 학자로 나와서 능력과 업적에 따른 분배가 O로 나온적이 있습니다
이후 둘은 자본주의가아닌 절차주의 학자로 분류되면서 해당 선지는 틀린 걸로 압니다. 아마 ㅇㅈㅇ쌤이포스텝에서도 그렇게ㅡ해설하신것 같구요
4스텝에서 저건 틀린 선지라 하심
진짜 혼란 발생할 만한 내용이 너무 많네요;;ㅠ
오 슼랩ㅋㅋㅋ
ㅋㅋㅋㅋ 하 그냥 교과서랑 듄교재만 외워야겠네요
능력과 업적'만'을 기준으로 한다는 선지는 명백히 틀렸어요 증여나 기여 등도 분배의 기준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능력과 업적을 기준으로 하는건 전 맞는 선지라고 생각해요 ㅎㅎ
'만'이 써져있으면 판단하기 쉬워지죠ㅋㅋ
문제는 '을 기준으로 하는'과 '에 따른'인데...
진짜 생윤 ㅂㄷㅂㄷ
안녕하세요. 몽몽입니다. 본수능에서 저렇게 선지가나오면 논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 출제할 때 만을 추가한것입니다. 롤스와 노직 모두 기본적으로 자유주의 사상가로서 능력과 업적에 따른 분배를 부정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절차적 정의관인 노직과 롤스는 절차라는 기준을 고려해야 하기때문에 능력과 업적만을 기준으로 분배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우선은 업적/능력에 따른 분배 vs 업적/능력을 기준으로 한 분배
이렇게 구분해두어야 할까요?
.
그 부분이 수능때 출제된다면 능력/업적으로만 으로 출제될 거 같은 게 그 출제 의도가 6평의 '비정형성'을 염두하고 낼 거 같거든요 (출제가 된다면) 그래서 '만'에 중점을 두면 될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