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가야지 [560348] · MS 2015 · 쪽지

2016-10-07 00:04:17
조회수 503

고2 수능 과탐 선택 때문에 미치겟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301544

생1지1  물1생1  물1지1  중에 선택하려고합니다
2학년때는  내신으로 물화생반 이었습니다.
논술전형을 생각해서  물2(3학년때 내신반) 를 선택하긴 햇는데 물2를 택한이상 물리논술이 유리하겟죠??  그래서  수능때 물1을보고 물리논술을 하려했는데
물리1이 응시자 수도적고  생명과학에비해  흐름? 을 잘잡아야 된다고 해서 좀 부담됩니다
논술과 수능을 고려햇을때  맨위 언급한 3개중에서 무엇이 가장 유리할까요?
지1을 끼게되면 인강듣고 독학하려고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몽졍맨 · 681172 · 16/10/07 00:11 · MS 2016

    유일하게 남은 꿀...지구과학....

  • 17수능전과만점자 · 686317 · 16/10/07 00:14 · MS 2016

    그냥 하고싶은거 하세요 그래야 지엽도 챙기고싶고 열심히하려하죠 지구과학 빼곤 그냥저냥한다고 다 안 돼요

  • 이과가야지 · 560348 · 16/10/07 00:15 · MS 2015

    물리1은 열심히하면 머리 차이 극복되나요?
    역학 부분 머리 많이타나요?

  • 17수능전과만점자 · 686317 · 16/10/07 00:17 · MS 2016

    머리 안 타요 요즘 물리는 물화생지 걍 다 하면 돼요

  • 몽졍맨 · 681172 · 16/10/07 00:19 · MS 2016

    근데 물리는 아직어려워질 주제가 너무많음ㅋㅋ

  • jvtNaZPo3CylRF · 685835 · 16/10/07 00:16 · MS 2016

    지1은 무조건 해야하는 과목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1등급 받는데 드는 노력이 화,생보다 적고
    추후 시험이 어려워져 1등급받기가 화,생만큼 어려워진다해도 기출돌리는 속도가 빨라 화,생 1회독할시간에 지구과학 3회독(진짜로) 할 수 있으며
    타임어택이 사실상 없는 과목이라 화,생이 20번까지 낑낑대는동안 지구과학 2번씩 검토 가능합니다.
    타임어택이 없다는 말은 수능 당일날 컨디션난조로 문제가 안풀리거나, 킬러문제에서 막혔을 때 점수 변동이 적다는 말이고,
    이는 피지컬, 즉 순발력과 대가리 회전속도에 영향을 안받는다는겁니다.
    그니까 꼭 하세요 이건 안하고는 못배기는 꿀과목이야

  • 이과가야지 · 560348 · 16/10/07 00:17 · MS 2015

    내신때 선택하지 않았는데 이번 중간고사끝나고 인강으로 독학해도 되겟죠?
    시간낭비 아니죠?

  • jvtNaZPo3CylRF · 685835 · 16/10/07 00:23 · MS 2016

    재종반에서도 11113(생2 3등급) 12113(화1 3등급) 두명 다 지구과학1으로 바꿨습니다. 그게 올해 3월입니다. 지금은 둘다 9월에 50 맞았네요.
    물론 자기 하기나름이지만 대부분의 재수생들이 2~3월부터 스타트한다는걸 아셨으면 합니다.
    올3받고 재수해서 올1받은 재수생들도 거진 2월부터 시작하죠.
    많은 고등학생들이 고1,2때 공부를 안했으니 고3때 해봐야 늦었을거야, 라고 생각하는데(님말고요..ㄷ)
    실제로 대부분의 성공한 재수생들도 실제 공부시간은 3~11월, 9개월정도입니다. 열심히만 한다면 충분한 시간이란거지요.
    마찬가지로 지구과학도 지금시작하던 어쩌던 내년 3월 전까지 개념 두번씩만 돌리면 대부분의 수험생보다 위에 있는겁니다.
    고3되서야 기출 돌리기 시작하는친구들도 많은데 탐구 두과목만 고3 3월전까지 두세번씩 돌리고 가도 반은 성공한겁니다.
     

  • 이과가야지 · 560348 · 16/10/07 00:38 · MS 2015

    감사합니다.

  • jvtNaZPo3CylRF · 685835 · 16/10/07 00:19 · MS 2016

    물리는 왜케 다들 어렵게생각하시는지 모르겠는데 고정관념때문인지, 화 생보다 머리를 덜 써는 과목입니다.
    어려워질대로 어려워진 화,생에 비해 창의력, 순발력이 킬러문제해결에 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물리 자체가 문제를보고 식을 쓸 줄만 알면 모든 문제가 풀립니다. 화 생의 퍼즐맞추기같은 대가리회전을 요구하는 문제가 없어요.
    애초에 물리 과목 자체가 필연적으로 식을 쓰면 답이 나오는게 출제 의도이구요.
    이게 무슨말이냐면 수능 당일날 가서 체화된대로 식을 주르륵 쓰기만 하면 1등급을 맞을 수 있다는겁니다. 킬러문제가 창의적으로 나오면 점수도 창의적으로나오는 화생과는 느낌이 다르죠.
    그리고 킬러문제 제외 16문제는 정확하게 기술가정입니다. 축전기가 뭐고, 하드디스크가 뭐고 이런거 암기입니다.
    물리 문풀의 기본이 15문제 10분컷이니 얼마나 문제가 쉬운지는 아시겠죠.
    물론 머리가 좋고 순발력이 좋다, 화생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