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그그그긁 [688097] · MS 2016 · 쪽지

2016-09-20 21:00:15
조회수 649

수능완성 생1 오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197801

원글에 쓸데없는 댓글이 많아서 다시올려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6p. 10번 ㄷ선지인데요.

세균X에 다시 감염되면 세포ㄱ(보조T림프구)에 의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이게 틀리게 되어있는데...

2차면역에서 보조T림프구가 기억세포를 자극해서 기억세포가 형질,기억으로 분화하는거니 맞는선지 아닌가요??


2차면역 : 
1. 대식세포가 보조t에 정보전달
2. 보조t가 그 정보에 맞는 기억세포자극
3. 기억세포가 시12발놈이 하면서 개빠르게 분화

이거아닌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완자에 명확히 명시되어 있어요.
2차면역에서, 보조t세포에 의해 자극받은 기억세포가 분화한다고.

모든교과서별로 다 분석해서 희안한건 옆에다가 이 교과서는 이렇게 설명하니까 알아두라고까지 적어놓는, 이거 하나면 지엽 다씹어먹는 자습선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작년수능 이번 6평 9평 다 1등급이라 기본개념은 빠삭해요.
지금도 단원별로 개념복습하면서 듄푸는거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UDO · 629259 · 16/09/20 21:10 · MS 2015

    네 교학서 교과서에도 명시되어있네요
    "동일한 항원에 다시 감염되었을 때 기억 보조 T세포의 작용으로 기억 B세포가 다시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기억 B세포는 신속하게 형질 세포로 분화되어 다량의 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1:11 · MS 2016

    그죠ㅜ

  • SimPlist · 620760 · 16/09/20 21:15 · MS 2015

    기억 보조t세포와 보조t세포의 포함범주가 다르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겠네요.
    고교생물 내에서 기억 보조t세포는 기억세포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결론을 내려야
    해결될 문제인 것 같아요.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1:20 · MS 2016

    근데 그러면 사실과는 다른 내용이 되버리니 수능에는 그런식으로 못나오지 않나요.

    수능때 나온다면 맞는선지가 될것같은데...

    그럼 또 지엽이니 뭐니 난리치겠죠. 교과서에 있는 내용인디.

  • SimPlist · 620760 · 16/09/20 21:32 · MS 2015

    수능/평가원 기출 선지로는 논란의 소지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출제되지 않을듯 싶습니다.
     
    2016학년도 6월 평가원 11번 문제로 기억하는데,  보조 T림프구를 소재로 한 문제였지만
    2차 면역 반응과 관련된 질문은 굳이 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도 미루어봤을 때 나올 가능성은 작을지 싶디만..

    EBS에 제시된 형식으로 기억해 두는 편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1:36 · MS 2016

    음 그렇다면 안심하기위해서는 ebs 오류게시판 같은데에다가 한번 찔러봐야하나요

  • SimPlist · 620760 · 16/09/20 21:37 · MS 2015

    그게 좋은 판단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1:39 · MS 2016

    넵 감사합니다ㅎ

  • 푸르미 · 665844 · 16/09/20 21:28 · MS 2016

    EBS에 오류게시판 같은거 있지않나요?
    거기다 함 올려보세요 검토해봐줄듯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1:35 · MS 2016

    음...

    귀찮....ㅎ....헤....

  • 대치사보텐단골 · 650643 · 16/09/20 22:26 · MS 2016

    전 좀 다르게 생각하는데요...
    저는 2차 면역반응이 기억세포에 침입한 항원에 대한 항체가 붙어있어서 항원이 재침입할 때 항원이 기억세포에 붙어있는 항체와 결합한 후 기억세포가 신속하게 형질 세포와 기억세포로 분화된다고 배워서 오류 없다고 판단했어요

  • 그그그그긁 · 688097 · 16/09/20 22:27 · MS 2016

    근데 이 내용이 교과서에 나와있는 내용이라...

  • 연리지 · 676795 · 16/09/21 22:44 · MS 2016

    선생님께 여쭤보니 1차면역때 관여하는건 보조t가 맞고 2차면역때는 보조t가 아니라 기억t세포라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