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띵 [556931] · MS 2015 · 쪽지

2016-09-14 16:59:20
조회수 749

(오늘의 어휘) 해야 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149908

해야 (띄우고) 한다

무조건 띄워줘야 합니당.



이렇게 말하면 문법 공부 좀 하신 분들이

뒤에 '한다'는 보조 용언 아닙니까?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잖아요?

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이게.. 본용언과 보조 용언 관련 오개념인데요.

사실 수많은 강사님들께서 그렇게 가르치십니다.

본용언과 본용언은 띄워 써야 하지만,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된다. 라구요.



한글 맞춤법 제 47항
: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1. 연결 어미 '-아/어' 뒤에 오는 보조 용언
ex) 예뻐하다 = 예쁘-(어간) + -어-(연결 어미) + 하다(보조 동사)

2. 의존명사 뒤에 오는 보조 용언 '하다/싶다'
ex) 비가 올듯하다. = 듯(의존 명사) + 하다(보조 동사)



위의 두 가지 해당 사항을 제외하고는

본+보조의 결합이더라도 띄워 써야 합니다.

다만.. 대부분 본+보조의 결합이

저 두 가지 사항에 해당되기는 합니다.



그래서 강사님들이 쉽게 본+보조는 붙여 쓸 수 있다고

설명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문법이 점점 지엽적인 내용이 나오고

(지문을 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배경 지식도 점점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정확하게 알고 계셔야 합니당.



본론으로 돌아가서 '해야 한다'의 '한다'는 보조 용언이나

이를 형태소 분석해보면..

하-(어간) + -어야-(연결 어미) + 하-(보조 동사의 어간) + -ㄴ-(선어말 어미) + -다(보조 동사의 어미) 이므로

보조 동사가 연결 어미 '-어야-' 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던 두 가지 사항에 해당되지 않죠.

그래서 항상 띄워 써야 하는 것입니당.



혹시나 띄어쓰기.. 저런 것까지 신경 써야 돼?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대학교에서 첫 글쓰기 수업에서 교수님이 강조하셨던

띄어쓰기가 '해야 한다'와 '수밖에' 였습니다..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