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영어 천재 소리를 들었던 적이 있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075765
하지만, 지금은 그저 흔하디 흔한 학생일 뿐이다.
*주의 : 아래의 내용은 개인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뿐 아니라 특정 선생님에게 감사하는 내용이 담긴 글입니다.
어렸을 때, 나는 한국어보다 영어를 더 빨리 배웠다고 한다.
외국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었다. 그저, 영어 선생님이셨던 어머니께서 어린 내게 말을 가르칠 때,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가르쳤는데 영어를 더 잘 말했다고 하셨다. 물론, 그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는 속도가 늦어졌고, 의사선생님께서 영어 가르치는걸 그만두셔야 아이가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을거라는 말씀을 들으신 후에야 어머니께서는 영어 가르치기를 그만두셨다고 한다. 그래서, 나는 다섯살이 되어서야 한국어를 평범한 아이들처럼 말할 수 있었다고 한다.
물론, 나는 그런 일이 있었다는 얘기만 들었을 뿐, 실제로 그랬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빨리 영어를 접해봐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시절 내가 영어를 배우는 속도는 다른 학생들보다 빨랐던 것으로 기억한다. 영어를 참 잘하는구나라는 말이 너무나 듣기 좋았다. 영어를 잘한다. 그것은 나라는 사람에 대해 붙어다니는 라벨이었고, 나라는 사람의 가치를 높여주었기에 그 시절 그 말을 너무 좋아했던게 아닌가 싶다.
잘한다는 말을 듣기 위해 계속해서 영어를 했고, 초등학교 5학년 때 이미 영어 학원에서 고등학생과 같이 수업을 할정도가 되었다. 그 때는 teps가 유행처럼 번졌던 시절이었다. 나도 학원의 고등학생들을 따라 teps를 공부했다.
그리고 지쳤다. 나라는 사람은 영어 천재 소리를 들을 사람이 아니라는걸 6학년 여름방학 때 알게 되었다. 그저, 남들보다 조금 빨랐을 뿐이다. 나를 빛나게 해준 "영어 잘한다"라는 말은 허상에 불과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된 나는 혼란 속에 빠지게 되었다. 열심히 공부하면 문법과 듣기는 어느정도 가능한데, teps용 단어 외우기는 지긋지긋했고, 읽기는 무슨 뜻인지조차 알 수 없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영어를 놓았다. 학원 가기가 싫다고 떼를 썼다. 어쩔 수 없이 학원을 끊었다. 그 때가 중1, 내 teps 점수는 500점대였다.
그리고 영어를 하지 않았다. 수학 학원을 다니면서도, 영어는 시험준비를 제외한 때는 보지 않았다. 그 때 조금이라도 꾸준히 공부했어야 했다고, 이제야 생각하지만 그 때의 나는 영어만 봐도 짜증이 몰려왔다.
그래도 공부한게 있다고 중3때까지는 별 문제 없었고, 고1 올라가면서 그래도 고등학생인데 영어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영어는 인강 하나 구매해서 들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영어는 그냥 인강 하나 듣는다고 성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내신시험은 선생님께서 알려준 내용을 전부 다 외워야할정도로 지엽적이었고, 모의고사는 해석을 해도 답이 뭔지 모르겠는 빈칸추론이 내 발목을 잡았다.좋은 대학교를 가기 위해 원치 않는 것을 꾸역꾸역했지만, 영어를 거의 하지 않은 약 3년간의 시간동안 나라는 사람이 영어에 대해 잊어버린 것은 생각보다도 너무나도 많았고,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야하지만 아직까지도 영어라는 것 자체에 일종의 트라우마가 있던 나는 그저 문법 좀 외우고, 구문 해석 연습 좀 하는 식으로 공부하기만 했다. 그 결과로, 나는 영어 상위권까지는 갈 수 있을지언정 영어를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는 없게 된 것이었다. 영어를 놓은 순간 나는 어렸을 때 내 스스로 자랑스러워했던 것을 내 스스로의 선택으로 지운 것이었다.
결국 영어에 대한 공포와 회의감으로 영어를 제대로 하지 못한 나는 2016 수능에서 영어 3등급을 맞고 (물론 다른 과목도 잘 보지 못했다.) 재수를 하게 되었다.
재수를 결정한 순간, 싫더라도 영어를 무조건 잡아야한다고 생각했고, 싫증 속에서 악착같이 영어 단어를 외우고, 문법을 외우고,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지만, 독해, 특히 빈칸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어 가입을 하고, 검색을 통해 좋다는 영어 독해 강의는 다 직접 찾아보았다. 하지만 특별히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 좋은 강의임에는 틀림없지만, 내 입장에서는 너무 어렵고, 실전에서 가능한 얘기인가 의문이 들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실전에서 유용한 강좌를 찾기 위해서 여러 독해 강좌를 찾아다녔고, 8월에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처음 알게된 것은 심민호 선생님의 보케미스트를 듣던 와중 심민호 선생님께서 파이널 유심칩이라는 것을 오픈한다는 얘기를 들었고, 그것을 통해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어떤 분이신가 알기 위해 카톡으로 상담 요청을 했고, 선생님께서는 나를 구문해석 방식의 영어의 희생자라고 표현하셨다. 맞는 말이다. 텝스를 공부할 때부터 독해 지문은 이해가 안되니 일단 해석부터 하고 알아보자는 방식으로 공부했던 나이고, 재수 이후에도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을 뿐이었다.
선생님께서는 지문에 중심생각은 한 개고, x와 y라는 관계항(x->y)을 잡으면, 그것이 다른표현으로 와도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말을 하셨다. 빈칸문제도 결국 x와 y의 관계만 먼저 잡고 풀면 된다고 하셨다. 일치문제, 도표문제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문제가 XrYs라는 최소한의 도구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최소한의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어야 실전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강의를 듣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해가 안 되었지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다보니 독해 방법을 알게 되었고, 그 독해 방법으로 9월 모평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100점을 맞게 되었다. 100점이 1등급 컷이었던 작년 6월, 9월의 경우에도 100점을 맞아본 적이 없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몰랐다면, 영영 받을 수 없었을 점수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번 9월에 잘봤다고 수능을 잘본다는 보장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능에서 잘봐야 좋은 것이다. 그럼에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던 100점을 맞은 것에 대해서 너무 기뻤고 희망이 보인 듯 했다.
이런 점수를 받을 수 있게 한 강의를 찍으신 유정우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보케미스트 심민호 선생님과 9월 모평 직전 듣기 칼럼을 올리신 바나나기차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바나나기차님 방식대로 듣기 중 독해 풀어서 9문제나 듣기 중 풀었어요. 감사합니다)
수능 이후에도 이런 글 쓸 수 있도록 더욱 더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번외) XrYs로 문제를 풀어봤어요.
Xrys로 이번 9월 모평에서 34번 같은 문제를 풀면,
It does not follow that _____________
일단 어떤 주장이 온다고 생각하고 빈칸을 x->y로 놓되, not에 따라서 반대의 표현이 올것이라고 판단..
(빈칸부터 잡는 것은 무엇을 집중적으로 볼것인가를 체크하는 것인데 지금과 같은 상황은 큰 의미는 없네요..)
Even if ~~~~, it may be a big mistake to suppose that there ar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what is doing the representing and what is represented.
구조적 유사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실수다=차이가 있다.
그 차이점에 대해서 나올테니 두 개를 대립되는 요소, 즉 대립항으로 설정합니다.
A:representing
B:represented
그리고 예시들이 쭉 나열되는데요,
9 vs 12-3으로 나눠지고
9는 12-3으로 can be represented = B 12-3은 A
B=reperesented=9 ->12, 3, 뺄셈이 구성요소가 아니다.
A=representing=12-3
치약 vs 튜브로부터의 치약
B=representing=치약 ->치약 그 자체가 긴 것이 아니다.
A=represented=튜브로부터의 치약 -> 길게 나온다.
총합해보자면
B는 representing -> 형태 x
A는 represented -> 형태 o
그리고 나서
Similarly, a thought might be expressed out loud in a statement with a particular linguistic structure.
여기서 표현 -> 형태o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으니
생각 -> 형태 x라는 것이고
빈칸에는 not 때문에 반대의 내용이 들어갈테니 표현이 형태 없다 or 생각이 형태 있다고
답은 1번 the thought itself has such a structure가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위눌림 존나신기하네 가위가 이런거군
-
하
-
뭐잇니 문학이랑 독서만 봣을때 걍 감으로 느껴지는거
-
해는 매일 뜬다 7
신기하지않니
-
자살해야지 1
.
-
논술최저맞추려면 1
언매(개념 / 기출 반바퀴돔) vs 화작 사탐 vs 과탐 투투(목표 2~3) 어디가 정배임?
-
한지 vs 생윤 1
사문은 하고있는데 한지하다가 좀 하기싫어서 생윤가려는데 1등급 맞기 더 안정적인게...
-
으악.. 재수하면서 말 거의 한 마디도 안하며 살다가 대학 가 있던 친구들 연휴라고...
-
안자는사람 10
헤쳐모여!!
-
그보다 님들은 크래커 뭐랑 먹음? 치즈랑 먹을까
-
어떻게 생각하세요 !?
-
소위,중위,대령도 있나요? 생활관에서 보기도 하나요?
-
ㅇㅂㄱ 0
불면증 아오
-
새벽에몰래기만 3
이신혁 혼자백점그거나임
-
아니나만n제시작안한거지
-
또 사긴 아깝긴 한데 ㄸㅗ 살까 아님 그냥 기출 뒤져서 풀고 강의를 들을까
-
이 정도면 0
괜찮은건가요? 집에서 10분? 정도에 있는 관독임.. 관독인데 여기 원장이...
-
물리하지마셈 0
수능과목말고 물리전공은 하지마시고 특히 대학원은 더 가지마삼
-
현역 때 김승리 풀커리 타고 4등급 받았고 재수 때 그냥 혼자 마더텅 풀고 2등급...
-
수능전까지 놀면 2
하루라도 놀면 후회할까요 집에서 쉬는거 말고 친구들이랑 만나서 하루 통으로 노는거요 정시에요
-
커뮤죽었노
-
아 씨발 잠좀자자
-
차 운전석 밑에 들어가 있었네요
-
역사보다는 떨어짐?
-
ㅈ댄건가
-
다른메디컬을갈까 1
아무리생각해도 20대를 통으로 갈아넣을 자신이 없다
-
이 재밌는걸 니들만 했다고?
-
진지한 고민 2
안녕하세요 현재 홍익대 자전에 재학하여 전전 진입예정인 05년생 25학번입니다....
-
짬시간에만 외움? 주변에 영단어 외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는데 다 알아서 외우고 있더라
-
반수 6
스스로 지옥같은 고삼생활을 다시 선택한다고 생각하니까….하 힘드네 진짜 미친척하고...
-
2016년에 많이 햇엇는데 이상하게 한 2년 정도에 한번씩 생각나서 들어옴
-
내일은 밀도 높은 공부를!! 문학 졸라해야지!
-
어제 대환장 드립잔치 한번 했으니까 오늘은 좀 진지하게 추천 받아요
-
수학 기출 정리했던걸로 칼럼이나 남기려고 하는데 막상 들어와보니 넘 고수들 많아서...
-
2등급은 받아야 되는데...ㅅㅂ 아직 단어장 Day 1도 못 외움
-
겉만 번지르르한 문제라고하면서 뚝딱 풀어내는데 괴리감이 드는군
-
수학 훈수받기 5
여기는 수학고수들이 많으니까 훈수좀 해주세요 남은기간 뭘해야할까요 기출이랑 엔제랑...
-
근데ㅣ 학문 할 쥴 모른다
-
강의듣는데 먼가 시간낭비느낌만들어요 션티 ㄱㄱ? 작수 영어 3이에요 도움좀><..
-
공부효율개박샇남
-
나노안인가ㅜㅠㅜ 1
윈터때 현역이와서 몇살이냐고 재수생같다고 그러드라...ㅜㅠㅠ 나는 내가 07년생처럼...
-
인정해주죠?
-
틀니 질문받음 3
원래 아이민 664177이었는데 실수로 없어졋음
-
3모 조져서 5모부터는 잘 봐야되는데 더 못 볼거 같음.. 내신기간동안...
-
진지하게 미적 20퍼 정도같은데
-
하지만 난 일어를 못함
http://enginius.tistory.com/m/605
딱 맞는 얘기네요
도랏ㅋㅋㅋㅋㅋ
와ㅋㅋㅋㅋ 명작이다
난 그저 거들었을뿐
뭐여 갑자기 제 이름이 나와서 깜놀..
수고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