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도 [669741] · MS 2016 · 쪽지

2016-08-21 17:03:02
조회수 3,072

물1 장인들이여... 문제질문하나할게요(조금 심화적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987090


수능완성 물리1 실전4회 11번 ㄱ보기입니다.
 이게 조금 깊게 들어가면 먼저 확산현상때문에 일부 전자와 양공이 뒤바껴 n에서 p로의 자기장이 생기고 그 후에 접합면에 빛을 쏘여졌을때 내부광전효과에 의해서 '' 접합면에서 튀어나온 전자가 자기장때문에 n형반도체 쪽으로 이동한다 '' 가 맞는 사실 아닌가요?
ㄱ보기에서는 원자가띠에 있는 전자(그러니깐 확산현상으로 p형반도체의 원자가띠로 이동한 전자) 가 빛을 흡수하여 다시 n형 반도체의 전도띠로 이동한다고 되있는데 만약에 이 말이 맞게되면 접합면에서의 자기장의 곧있으면 사라질거고 더 이상의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고 생각이 드네요... 가르쳐주세요!
선지의 오류인가요? 제 생각이 잘못된건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신사도 · 669741 · 16/08/21 17:03 · MS 2016

    스듀 게시판에 글남겼는데 답변에 조금 불만족스러워 오르비에 한번 글 남겨봅니다

  • 손가락 · 377730 · 16/08/21 17:11 · MS 2011

    접합면에서의 자기장(공핍층) 때문에 전류가 흐른다고 생각하신 부분이 잘못된 것 같은데요..

  • 신사도 · 669741 · 16/08/21 17:16 · MS 2016

    저 자기장이 있어야 접합면에서 광전효과로 튀어나온 전자가 n형반도체로 가게되는거 아닌가요? 그러면 어떻게 전자가 이동해서 전류가 흐르죠??

  • 손가락 · 377730 · 16/08/21 17:29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손가락 · 377730 · 16/08/21 17:36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손가락 · 377730 · 16/08/21 17:51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 623707 · 16/08/21 17:16 · MS 2015

    문제가 지금 없어서 부실한데 전
    확산현상으로 p형반도체로 이동한 전자가 들떠서 이동을 하는 게 아니고
    접합면은 접합면의 특성에 따라 전기장을 계속 형성하고 있고
    빛을 쐬면 전자-양공 쌍이 만들어지니 그게 전기장을 타고 흐르는거라 알고있어요

  • 신사도 · 669741 · 16/08/21 17:20 · MS 2016

    그러니깐 저 선지가 맞는 선지가 되려면 '빛을 쐬면 전자-양공쌍이 만들어지니'라는 표현에서 그 만들어진 전자의 위치가 (p형반도체)원자가띠에 존재한다는 말이 포함되야 한다는거죠. p형반도체 원자가띠에 빛을 쐬서 거기서 전자가 튀어나오는 건가요?.... 으아아ㅏ아어아ㅏㅇ 복잡해 it's so complex

  • · 623707 · 16/08/21 17:23 · MS 2015

    문제사진이 생겼군요
    P형과 N형의 전자 밀도차가 이동하는 전자의 양보다 커서 전기장은 유지되는데 들떠서 이동한 전자는 전선타고 사라져버린다고 생각하면 안될까요

  • 허허허허 · 613285 · 16/08/21 17:27 · MS 2015

    먼저 태양전지는 발광다이오드랑은 다르게 외부에 전압이 걸려있지 않아서 확산 현상이 일어납니다 확산현상에의해서 전기장이 생기고 그뒤 접합면에 빛을쏘면 내부광전효과에 의해서 생긴 전자들이 전기장의 힘을받아서 n형반도체 쪽으로 이동합니다

  • 독반맨 · 679894 · 16/08/21 17:35 · MS 2016

    태양전지의 원리가 원자가띠에서 전도띠로 전이하면서 전기장이 생기면 p형,n형이 전극을 형성해서 전류 흐르는거 아닌가요?

  • Si Jung · 645440 · 16/08/21 17:36 · MS 2016

    저기서 말하는 원자가 띠가 확산에 의해 p형 반도체로 간 전자를 말하는게 아니라 n형이든 p형이든 원자가 띠에있는 전자는 전도 띠로 에너지를 흡수해 이동할수 있다는 걸 말하는거 같구요 님이 말한 확산에 의해 p형 반도체로 간 전자는 갈수록 p형 반도체의 +성질이 커질뿐더러 여기선 그저 전기장 방향을 알기위한 용도기 때문에 p형 반도체에 고정 되어 있다 보시면 될꺼같아요

  • 신사도 · 669741 · 16/08/21 17:52 · MS 2016

    이게 그나마 개연성있고 맞는설명 같네요. 그냥 그 객체를 하나를 찝지말고 넓게 생각해라... 감사합니다! 근데 선지에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경우는 없나요?

  • · 623707 · 16/08/21 19:08 · MS 2015

    없어요

  • · 623707 · 16/08/21 19:12 · MS 2015

    제 답변이 개연성없는 설명이었군요 흑흑

  • 신사도 · 669741 · 16/08/21 19:27 · MS 2016

    아! 아니에요 :) ㅋㅋㅋ 그냥 이 답변이 제가 만족할 만한 답변이였을 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