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띵 [556931] · MS 2015 · 쪽지

2016-08-20 18:06:00
조회수 332

(오늘의 어휘) 임마! 더 세게 밀어부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981845

오늘도 좀 애매해용 -ㅅ-

'붙이다'와 '부치다'의 구분은 아마 잘 하실거에요.

기본 중의 기본이잖아요?



'붙게 하다'로 고쳐말했을 때

자연스러우면 '붙이다'

어색하면 '부치다'



또는 영어로 바꿔서 생각하라는 설명도 있더군요.

'Attach'의 느낌이면 '붙이다'

'Attach'의 느낌이 아니면 '부치다'



나는 그녀에게 편지를 (붙였어/부쳤어).

나는 거기에 조건을 (붙였어/부쳤어).

정도는 쉽게 판단이 가능하지요?



그런데 문제는.. 합성동사에요.

1. 쏘아붙이다 vs 쏘아부치다

2. 밀어붙이다 vs 밀어부치다

3. 걷어붙이다 vs 걷어부치다

4. 벗어붙이다 vs 벗어부치다

어머나.. 어려워라..



이게 구분이 어려운 이유는 발음 때문인데요.

실제로 발음은 <표준발음법 13항>에 의해

붙의 받침 'ㅌ'이 연음된 후,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모두 후자처럼 발음돼요.

그러나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는 경우는

저 넷 중에서 하나 밖에 없다는 사실!!

히히 넷 다 전자이거나 넷 다 후자일 줄 알았죠??

뭐가 전자의 표기가 맞는 유일한 하나일까요?!









두근두근







두근두근









4번입니다!

힘차게 대들 기세로, 벗는...?

왜인지 모르겠지만.. 힘차게 벗을때만

'부치다'라고 표기하게 되네요 ㅠ.ㅠ

합성동사에서 뒷말을 '붙이다'로 표기할지

'부치다'로 표기할지에 관한 규칙은 없습니다.

그냥 단어가 원래 그런거래요...



다만 대부분의 경우는 '붙이다'로 표기한답니다.

'벗어부치다'처럼 '부치다'라고 표기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네용!

'벗어부치다'정도만 예외적으로 기억해두시면 되겠네요!

외우기도 쉽잖아요? 벗ㄷ..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