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아ㅏ앙 [667499] · MS 2016 · 쪽지

2016-07-27 23:35:09
조회수 5,379

생윤 베카리아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837374

사형제도에서 베카리아는 공리주의적 관점에 들어가나요, 사회계약설의 관점에 들어가나요??

ez0강사님은 사회계약설에 분류해주셨고, ebs ㄱㅈㅇ강사님은 공리주의에 분류해주셨는데,

두개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럴럴럴ㄹㅓ · 604158 · 16/07/27 23:50 · MS 2015

    공리주의는 베카리아 죽고 나서 한참 후에야 생긴 사상이에요.
    근데 베카리아가 살아 생전 했던 주장이 죽고 나서 생긴 그 공리주의하고 넘나 겹ㅊㅣ는 부분이 있어서, 공리주의적 성격을 띄고 있다고 하는거에요ㅇㅇ사회계약+공리주의 로 알고 있음

  • 꾸아ㅏ앙 · 667499 · 16/07/28 00:15 · MS 2016

    오 그럼 분류하는거 자체가 의미가 없겠군요ㅠㅠㅠ 감사합니다!!!!!

  • 현승범 · 657841 · 16/07/28 00:16 · MS 2016

    조금만 고치자면 한참뒤가아니라 베카리아가 죽고 벤담이 바로이어서 공리주의를 주장했는데, 벤담이 자신의 논문에서 베카리아의 공리주의적 입장을 지지하는 견해를 보입니다. 베카리아는 18세기 후반 사람이고 벤담은 19세기 초반사람이죠. 살아생전 주장이 공리주의적입장이 있었다는건 사실이고, 사회계약설의 입장도 맞습니다.

  • 칼리클레스 · 659897 · 16/07/28 16:13 · MS 2016

    두 입장이 공존하죠.

    공리주의적 입장 : 형벌의 범죄예방성을 중시함.
    사회계약론적 입장 : 국가에 생명권을 양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함.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07/30 01:45 · MS 2015

    엥 제가 알기로는 ㄱㅈㅇ선생님 둘 다 말씀해주신걸로 알고있는데

  • 꾸아ㅏ앙 · 667499 · 16/08/03 01:54 · MS 2016

    제 필기에는 공리주의 입장에 적어주신걸로 들어가있는데ㅠㅠ..

  • 공잘알되고싶 · 647765 · 16/07/31 02:17 · MS 2016

    공리주의도 맞고 사회계약도 맞음

  • 공잘알되고싶 · 647765 · 16/07/31 02:18 · MS 2016

    사회계약/공리주의을 먼저 정하고 거기에 끼워 맞춰서 사형제도에 대해 언급한게 아니니까 둘다 될수있ㅈ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