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띵 [556931] · MS 2015 · 쪽지

2016-07-23 15:17:08
조회수 1,631

'으악'은 의성어가 아닙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806992

"사람의 말소리는 의성어라 하지 않는다. 다만 으악, 엣취 등의 사람의 말소리가 아닌 사람의 소리는 의성어다."

마닳해설지에 이렇게 적힌걸 보고
1.사람의 말소리는 의성어라 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어느정도 되었으나
2.'으악'이 왜 의성어가 될 수 있는거지? 라는 것에 의문이 생기고, 해설이 너무 자의적인게 아닐까해서 국립국어원에 문의했습니다.

1. 사람의 말소리는 의성어로 볼 수 없습니까?
2. '으악'과 같이 말소리가 아닌 사람의 소리는 의성어로 볼 수 있습니까?

답변이 왔네요.
1. 네. 말소리는 의성어로 보지 않습니다.
2. 말씀하신 '으악'은 '놀랄 때, 또는 놀라게 할 때 크게 지르는 소리'로 감탄사입니다. 감탄사는 의성어로 보지 않습니다.

저번에 오르비에도 질문했었는데 나름대로 '으악'이 왜 의성어인지를 설명해주는 분들이 많았어요..

오개념은 짚고 넘어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능날에 '의성어를 사용하여'라는 선지를 '으악'같은 감탄사만 보고 맞다고 체크해버리면 안되잖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티오피 · 672912 · 16/07/23 15:18 · MS 2016

    한 분이 떠오른다.
    으!앆!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23 · MS 2015

    누구용?
    으악새하라버지여?

  • 귀족 · 646306 · 16/07/23 15:23 · MS 2016

    고마워요 어휘장인!!!!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25 · MS 2015

    어휘 장(애)인 입니다ㅠㅠㅠ

  • 씨씨유 · 666883 · 16/07/23 15:26 · MS 2016

    호롤롤 딴딴 으악으악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28 · MS 2015

    후룰룰 뚠뚠 우억우억

  • 95년 응애 · 453954 · 16/07/23 15:28 · MS 2013

    올 좋군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28 · MS 2015

    갸ㅡ악

  • 나도우진이줘 · 588540 · 16/07/23 15:30 · MS 2015

    으악은 수선을 긋을때 나는 의성어입니다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32 · MS 2015

    우진이 가졍!ㅎㅎ

  • 문학선생님 · 677168 · 16/07/23 15:39 · MS 2016

    의성어나 의태어는 출제함에 있어

    출제교수들도 조심하는 부분입니다.


    대학에서 다루는 의성어, 의태어의 정의조차도

    흉내냐 모방이냐는 용어에 이견이 존재하기 떄문입니다.

    예) 속닥속닥은 의성어인가? 의태어인가?

    그래서 고등학교 교과와 수능에서는

    김인화 선생(1995)의 '음성상징어'라는 용어를 활용합니다.


    의성어와 의태어를 과하게 구분하는 문제는 출제하지

    않겠다는 의지입니다.


    추가로 감탄사냐 의성어(부사)냐의 구분도

    지엽적인 출제를 지양합니다.

    사전에 등재되어있는 감탄사를 모두

    외울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국어원에서 답변한 전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있는

    품사에 따른 분류를 제시한 것입니다.

    부차적인 것들까지 모두 암기하기보다

    그런 것들이 있구나 정도만 인지하셔도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문학선생님 · 677168 · 16/07/23 15:42 · MS 2016

    추가로 '으악'은 의성(부사)어로 볼 수도 있고

    감탄사로도 볼 수 있습니다.

  • 파오띵 · 556931 · 16/07/23 15:51 · MS 2015

    우와.. 진정한 장인이 나타나셨네요..

    평가원이 '으악'등의 감탄사는 당연히 의성어가 아니라고 보고 출제하는줄 알았네요.

    그래서 지문에는 '으악'같은 감탄사밖에 없고, 다른 음성상징어가 없는경우, '음성상징어를 사용하여'를 틀린선지로 구성할 수 있다고 봤어요.

    그럼 문학선생님의 말씀은 '감탄사, 또는 감탄사인지 의성어인지 불분명한 경우'가 지문에 포함되어 있을 때는 음성상징어관련 선지를 구성하지 않는다는거죠?

  • 문학선생님 · 677168 · 16/07/23 15:58 · MS 2016

    그렇습니다.

    국립교육평가원 시절의 실험평가부터

    94, 95, ... 2017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평가까지 그러한 형태의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2006학년도 수능을 보시면

    박두진 선생의 시, 시어 중 '철철철'을 '음성상징어'로 봤습니다.
    (의성어, 의태어를 구분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분명하게 의성어, 의태어인 것은 그대로 출제하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1999)를 참조하시면

    으악을 '부사'로 쓰일 때와 '감탄사'로 쓰일 때 의미를 구분해놓았습니다.


    경찰대나 육,해,공군 삼관학교에서는

    표준어 규정이나 표준발음법에서 예외적인 사항들에 대한

    암기를 요하기도 하지만(예를 들어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한자어의 예외 6개 등)

    수능에서는 그렇게 많은 암기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 문학선생님 · 677168 · 16/07/23 15:59 · MS 2016

    의성어, 의태어의 정의에 관한 문제는

    동덕여대 채완 선생님의

    '국어 의성어 의태어 연구의 몇 문제(2000)'를

    참조하세요.

  • 파오띵 · 556931 · 16/07/23 16:04 · MS 2015

    고맙습니다!!

    혹시 문학관련 궁금한게 생기면 쪽지드려도 되나요?

    너무 잘 설명해주시네요ㅠㅠ

  • 문학선생님 · 677168 · 16/07/23 16:20 · MS 2016

    물론이죠.

    궁금하신 사항들은 (수능관련)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

  • 파오띵 · 556931 · 16/07/23 16:23 · MS 2015

    고맙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