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어짠담 [531188] · MS 2014 · 쪽지

2016-07-22 01:53:07
조회수 199

사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798894

1.공식조직은 뚜렷한목표를 가지고있잖아요?그런데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있다는 말도맞는말인가요? 공통의목표를가지는건 자발적결사체라고알고있엇는데..
2.모든공식조직은 형식,절차보단 목표를 우선하는게맞는거겠죠? 형식,절차를 중요하게생각하는건 극단적으로 관료제를 추구하는집단들..이맞겠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jm05108 · 586843 · 16/07/22 06:40 · MS 2015

    1은 저희 학교 선생님께서는 크게 보면 공식 조직도 자발적 결사체에 들어간다 라고 하셨던 기억이 나는데...자발적 결사체의 종류에 이익 집단.친목 집단 등등 있는데 아마 공식 조직이 이익 집단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는게 아닐까요
    2는 뭔가 따지기 애매한데 극단적인 관료제를 추구하는 집단도 공식조직이니까ㅁ뭔가 애매한데 애초에 관료제의 문제점 중의 하나가 목적전치현상으로 목표보다 ㅈ절차를 더 중요시하는거라서 이건 좀 따지기 애매한듯함요...내신이라면ㅁ뭐 궁금한건 해소하고 가야겠지만 수능에선 이런거 안나올것같아요

  • 뱃사람 · 490111 · 16/08/10 15:57 · MS 2014

    1. 범주-집합-사회집단-사회조직. 이 단계를 잘 이해하시면 됩니다. 모든 사회집단은 공동의 목표를 가집니다. 사회조직은 <사회집단의 성질+알파>이기 때문에 사회조직은 당연히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발적 결사체도 사회집단이기 때문에 공동의 목표가 있겠지요.
    2. 공식조직은 목표 달성을 위해 효율적 업무처리방식을 도입합니다. 공식조직이 도입하는 효율적 업무처리방식에는 관료제/탈관료제가 있습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식과 절차를 중시하는 것이 관료제적 업무처리방식이지요. 그 수단이 목표보다 중요시되는 현상을 목적전치라 하고, 따라서 목적전치는 관료제를 도입한 공식조직에서 발견되는 문제가 되겠습니다. <결론> 모든 공식조직은 형식, 절차보다 목표를 우선시한다. 이건 당위적으로는 옳은 명제이지만, 관료제를 도입한 공식조직에서는 사실상 틀린 명제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