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질문이여! 염색체 수 세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728069
예를 들면 성염색체 x 비분열이라고 합시당
1분열에서는 비분리가 없고 2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났다고 할때
비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쪽 1차분열 후 세포의 성염색체는 1개인거잖아요? 근데 아직 염색 분체 분리 안됬으니까 xx이고ㅇㅇ
근데 비분리가 일어난 쪽 2차 분열 후 세포의 성염색체는 똑같이 xx인데 (동원체도 붙어있지않나요 ㅇ아예?)
왜 성염색체 2개라고 하나요??
공부하다가 급멘붕옴여ㅋㅋㅋ
염색체를 세는 기준을 여태까지 동원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음.. 답변해드리고 싶은데 무슨말인지 모르겠음
ㅋㅋㅋ큐ㅠㅠ죄송해요 전달 능력이 안좋네요 그림을 그려볼까도 생각했지만 그게 더 구릴거같아서 ㅎ.ㅎ..
동원체로 개수 세는거 맞고 2가염색체는 염색체2개 라고 세는거 에용
그래서 그게 1차분열때 각각 1개씩으로 나눠지잖아용
근데 그럼 그게 2차분열에서 한번 더 나눠질때 (염색분체 나눠질때) 또 각 염색분체를 염색체 1개로 치는건가여..?
네, 염색분체가 쪼개지더라도 각각을 염색체로 보는거에여
오 그렇군여 감사합니다!!!
비분리라함은 접합된 염색체가 그대로 붙어있는게 아닙니다. 어떠한 이유로 반대쪽으로 끌려가지 않는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분열이 끝난 후엔 방추사가 사라지고, 염색체는 각각 따로 분리된채로 남습니다
아 그렇군요!! 맨 마지막 2분열 후에는 각각 따로 분리되서 하나씩으로 세는거군요 그러면 제가 공부하면서 생겼던 다른 의문들도 해결이 되네요ㅎ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