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고수님들... 문제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717019

오늘 친 기말고사 시험지인데
10번 답이 왜 4번인지 이해가 안 되네요..
4번 근거는 '샹히오디' ->'상하게 하지'에서 찾을 수 있고
5번은 부사화접미사는 예전이나 현재나 '이'로 똑같은 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71701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부모께 부분에서 5번의 근거가 있지 않나요?
께는 격조사 아닌가요??
조사를 접미사의 일종으로 보는 경우도 있어서 그렇게 생각되네요..
ㄷㄷ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조사랑 접미사 확실하게 구분하는 것 아닌가요?
현대의 부사화접미사에는 크게 두가지있어요.
'-게' '-도록'
상하게 = 상하- + -게
현대의 부사화접미사 쓰였네요.
고대에는 보시다시피 안쓰였구요.
4번은 왜 틀린 건가요..?
상하오디에서 '오디'가 단어가 아니기 때문인 것 같네요
네.. 감사합니다!
또는 '아직'에 초점을 맞춰서..
아직 구개음화 되지 않았다는 것은 후에는 구개음화 되었다는 걸 뜻하는 걸로 보면요.
'상하오디'가 후에 '상하오지'로 구개음화 된 게 아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근데.. 저기 앞에 '상하게'에서 '게'는 접미사가 아니라 어미 아닌가요..?
아. 헐 전체적으로 착각했네요.
'-게' '-도록'은 부사형어미네요.
와... 다시보니 진짜어렵네요.
사동접사인가 싶어도 아니고...
비르소미오 = 비릇-(어근) + -오-(부사형접사) + -ㅁ-(명사형접사) + -이오.
이것외에는 진짜 없는거같아요..
이거 수업시간에 따로 안가르쳐주시고 낸거면 진짜 미친거네요zzz
헐 -오-도 부사형접사 용법 있나요?? 저희는 -오-는 인칭법으로 쓰는 것밖에 안배웠는데 ㄷㄷ..
근데 사실 -오는 현대국어에서도 쓰이는 형태라서요..
보기로써는 현대국어에서 쓰이는 형태라는 걸 알길이 없으니까 답이 맞긴 맞는데요.. 출제의도가 뭔지 궁금하네요ㅠㅠ
비롯- + -오 = 비로소
부사형 접사랑 부사형 접미사는 구분이 애매해서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파트라서요..
7급국어에서도 부사형접사 '이/히' 부사형접미사 '게,도록' 묻는거외엔 안나온다고 했었는데..
후... 시험끝나고 선생님께 여쭤봐야겠네요....
정말 이런 개념을 묻기 위해 (즉, 틀리라고..) 문제를 낸 거라면 노답인데..
다행히 답 5번으로 수정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이걸 어렵게 내다니 내신 클라스 지리네요
근데 구개음화 근대되서야 생겼다고 하지 않았나요?
그렇게 배웠는데 그래서 북한은 구개음화가 안되있다고 배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