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대ㅋ [553890] · MS 2015 · 쪽지

2016-06-22 19:06:31
조회수 204

영어 해석 질문드립니다 국어 논리갑 드루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634351

제가 한 선생님 QnA에 올린글입니다.

단순히 국어적인 관점으로 봐주세요



B-C-A순

듣는이에게 있어서 이해란 말하는 이의 이야기를 듣는 이의 이야기에 연결시키는것을 의미한다. 이야기가 기억속에서 이용되는 방식의 가장 흥미로운 측면 가운데 하나는 이야기가 이해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이다.

B : 각각의 사람들이 같은 이야기를 다르게 이해하는데, 그이유는 바로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새로운 이야기를 들을 때 이해하는 사람은 이 이야기를 자신들이 전에 들었던 예전 이야기로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C :그들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사실 꽤 어렵기 때문이다. 새로운 생각은 우리의 기억을 통해 가지를 뻗으며 우리가 믿음을 수정하고, 새롭게 일반화하고, 여타 애를 써야하는 인식 활동을 수행하게 한다. 우리는 이 모든 일을 피하고 싶어한다.

A: 이렇게 하는 한가지 방법은 우리가 보거나 듣고 있는것을 그저 똑같은 예전의 것이라고 가정해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이해에 있어서 진짜 문제는 이미 알고 있는 모든 이야기 가운데 어느 것이 또다시 여러분에게 되풀이되고 있는 이야기인지 식별하는것이다. 

 

 

 

 B-A-C

듣는이에게 있어서 이해란 말하는 이의 이야기를 듣는 이의 이야기에 연결시키는것을 의미한다. 이야기가 기억속에서 이용되는 방식의 가장 흥미로운 측면 가운데 하나는 이야기가 이해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이다.

B : 각각의 사람들이 같은 이야기를 다르게 이해하는데, 그이유는 바로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새로운 이야기를 들을 때 이해하는 사람은 이 이야기를 자신들이 전에 들었던 예전 이야기로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A : 이렇게 하는 한가지 방법은 우리가 보거나 듣고 있는것을 그저 똑같은 예전의 것이라고 가정해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이해에 있어서 진짜 문제는 이미 알고 있는 모든 이야기 가운데 어느 것이 또다시 여러분에게 되풀이되고 있는 이야기인지 식별하는것이다. 

C : 그들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사실 꽤 어렵기 때문이다. 새로운 생각은 우리의 기억을 통해 가지를 뻗으며 우리가 믿음을 수정하고, 새롭게 일반화하고, 여타 애를 써야하는 인식 활동을 수행하게 한다. 우리는 이 모든 일을 피하고 싶어한다.

 

 

 

 

전혀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각각의 사람들이 자신들이 전에 들었던 예전이야기로 이해하려한다 -> 그들이 이렇게하는이유는 새로운정보를 받아들이는것이 꽤어렵기 때문인데, 우리는 이런 인식활동을 피하려고한다. -> 이렇게 하는 방법은 우리가 듣고있는것을 예전의 것이라고 가정하는것이다

 

 

 

 

 

A에서의 '이렇게 하는 방식'은 B에서 '사람들이 자신들이 들었던 이야기로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봐도 전혀 어색하지가 않습니다.

 

오히려 문장배치를 바꾸면 더 매끄러워지는 기현상을 볼 수 잇습니다.

 

다음은 C와 A의 위치를 바꾼것입니다.

 

각각의 사람들이 자신들이 전에 들었던 예전이야기로 이해하려한다 -> 이렇게 하는 방법은 우리가 듣고있는것을 예전의 것이라고 가정하는것이다 -> 그들이 이렇게하는이유는 새로운정보를 받아들이는것이 꽤어렵기 때문인데, 우리는 이런 인식활동을 피하려고한다.

 

 

 

정말 머리를 싸매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납득이 가질않습니다. B에서 C로 넘어가는 근거가 너무 부족한듯합니다.접속사가 하나 첨부된다면 더 훌륭한 문제가 될듯 싶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