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알못 [629213] · MS 2015 · 쪽지

2016-04-30 21:35:07
조회수 345

사회문화 질문 하나받아주세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355337

아버지가 가족에게 주말 저녁에 축구를 보러가자고 했는데

아들이 공부해야한다며 집에서 응원하겠다고 해서 고민에 빠졌다

자녀와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들을 데리고 나가야겠지만, 성적 향상을 위해서는 집에 남겨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아빠는 그냥 심리적갈등인가요 아니면 역할긴장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양금모띠 · 485441 · 16/04/30 21:36 · MS 2013

    아버지의 역할중에 자식 성적향상이랑 친밀도를 높이는게 잇느냐 없느냐의 문제인듯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38 · MS 2015

    흠.. 심리적갈등하고 역할모순 넘나헷갈림 ㅠㅠ

  • dispersing · 486819 · 16/04/30 21:3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dispersing · 486819 · 16/04/30 21:38 · MS 2014

    역할긴장입니다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41 · MS 2015

    심리적갈등하고 역할긴장하고 차이점이 정확히 무엇인가요?ㅠ

  • dispersing · 486819 · 16/04/30 22:28 · MS 2014

    딱보면알수있는것아닌가여? 밑에서말씀하신 은퇴할까말까는 ..그걸 역할긴장으로본다면 선수의역할 이꼴 은퇴를 안한다가 성립해야할텐데..그건핀트를벗어나는거잖아요?

  • 김망 · 530796 · 16/04/30 21:41 · MS 2014

    역할긴장 예시로 선생님이있는데 학생들을위해 빡세게가르칠지 아님 유하게 가르칠지로 예시가있는데 이것도 그거랑 비슷한거같네요 역할긴장인득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43 · MS 2015

    자신이 은퇴를할지 아니면 선수생활을 계속할지에 대한것은 역할긴장인가요?

  • 김망 · 530796 · 16/04/30 21:49 · MS 2014

    한 역할에대해 다각도로보는게 역할긴장인데 단순하게 그만둘까 말까는 역할긴장이 아니죠.. 그건 심리적갈등이거요

  • uDCq6Ft37PIir5 · 624430 · 16/04/30 21:42 · MS 2015

    역할긴장을 아예 모르는것도 괜찮은 방법이에요.
    저도 작년에 정답으로 나오지도 않는 역할긴장때문에 괜히 고민만 했네요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44 · MS 2015

    그런가요..?ㅠㅠ너무헷갈려요

  • 고독한정시충 · 653183 · 16/04/30 21:42 · MS 2016

    심리적갈등이 뭔가요?? 제시문이 역할긴장인건 알겠는데

  • 고독한정시충 · 653183 · 16/04/30 21:43 · MS 2016

    심리적갈등 = 역할갈등인건가요?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44 · MS 2015

    아뇨 심리적갈등은 역할갈등에 안들어가요 그냥 진로고민같은게 심리적갈등이요

  • 고독한정시충 · 653183 · 16/04/30 21:49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검은넛 · 604964 · 16/04/30 21:43 · MS 2015

    역할긴장이요

  • 수알못 · 629213 · 16/04/30 21:45 · MS 2015

    윗댓글에도 말했다시피 자신이 은퇴를할까 선수생활을 계속할까는 왜 역할긴장이아닌가요??

  • 검은넛 · 604964 · 16/04/30 21:49 · MS 2015

    단순히 그것만보고는 판단이 어렵네요

  • Ooooo · 633256 · 16/04/30 21:51 · MS 2015

    자신의 진로 고민이나 오늘 뭐 먹지 이런 일상적인 갈등은 제외하세요

  • 재임이바디 · 595035 · 16/04/30 23:19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Ooooo · 633256 · 16/04/30 23:24 · MS 2015

    대성 임정환T가 그거 정리 잘 해주셨어요 들어보세요

  • 흠흠ㄹㄹㅁ · 485842 · 16/05/01 01:20 · MS 2017

    '역할' 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면 이런류의 문제 푸는데 도움이 잘되더라구요 우선 역할은 특정 지위에 대해서 기대되는 행동 양식이고, 선수가 은퇴를 할지 아니면 선수 생활을 계속 할지는 모두 역할이 아니기 때문에 역할 긴장이 아닌 것이지용

  • 뱃사람 · 490111 · 16/06/01 22:38 · MS 2014

    1. 지위: 집단에서 어느 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
    2. 역할: 어떤 지위를 가진 자에 대해 사회가 기대하는 행위. 즉, 사회가 그 지위를 가진 자에 대해서 그 행위를 기대할 때, 그 행위는 역할이 되는 겁니다.
    가족간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 가족 행사를 주최한다.(행위 1) 이런 행위를 사회가 아버지에게 기대하는 거라면 그 행위는 <아버지>의 <역할>. 뭐 그딴 걸 사회가 아버지 지위를 가진 자에게 기대할까 라고 생각하시면 역할이 되지 않지요.
    성적 향상을 위해서 열심히 공부하는 아들을 위해 배려해야 한다.(행위 2) 사회가 아버지에게 이런 행위를 기대한다면 그 행위는 <아버지>의 <역할>. 두 행위가 부딪치고 있는데, 두 행위가 다 역할에 해당하므로 이 경우는 <역할갈등>. 그런데 관련 지위가 아버지 하나이므로 <역할 긴장>.

  • 뱃사람 · 490111 · 16/06/01 22:42 · MS 2014

    엄마는 법대를 가라하고(행위 1), 아빠는 상대를 가라할 때(행위 2) 관련 지위는 자식. 사회가 자식이란 지위를 가진 자들은 법대를 가야한다고 기대하고 있다면 행위 1은 역할. 말도 안되니까 역할이 아니네요. 사회가 자식이란 지위를 가진 자들은 상대를 가야한다고 기대하고 있다면 행위 2는 역할. 역시 말도 안되니까 역할이 아니네요. 역할이 아니니까 역할갈등이 될 수 없고, 단순한 심적인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