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자동동 [629065] · MS 2015 · 쪽지

2016-04-27 22:46:36
조회수 10,724

1인칭 주인공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342279

제일 큰차이가뭐죠??
 1인칭 관찰자시점도 서술자의 내면,심리가 드러나는거맞죠??
다른 인물을관찰하면서 내면심리가 드러나도되는건가요??
구분어캐하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왕김재수 · 633497 · 16/04/27 22:53 · MS 2015

    이야기 초점이 누구한테 맞춰져있나로 구분하면 되요

    자기얘기 하는건지 다른사람 썰 푸는건지

  • 손가락 · 377730 · 16/04/27 22:57 · MS 2011

    1인칭 : 서술자가 작품 내
    관찰자 :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없다
    주인공 :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있다.

    즉 작품내 등장인물인 서술자가 자신이 아닌 다른 주인공을 관찰한다고 생각하시면 됨.
    ex)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옥희

  • 오르자동동 · 629065 · 16/04/27 23:09 · MS 2015

    관찰자시점은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아예없나요?? 다른 주인공을 관찰하면서 내면심리가 들어간 것은  주인공시점으로봐야되는건가요??

  • 손가락 · 377730 · 16/04/27 23:45 · MS 2011

    주인공의 심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작중 서술자의 시선에 머무른다면 1인칭 관찰자가 되겠죠.
    근데 다른 주인공의 내면심리를 추측이 아니라 정확히 심리묘사한다면 더이상 그 서술자는 작품속이 아니라 작품 밖 3인칭 전지적 서술자로 바뀌겠죠. (실제 삶에서 타인의 마음을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사람은 없죠)
    그리고 기존의 작품속 화자는 초점화자(단수초점)가 되겠네요.
    1인칭 관찰자시점은 잘 알려진 우리나라 작품 자체가 얼마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초봄 · 603797 · 16/04/27 23:44 · MS 2015

    팡일쌤은 구분지을필요 없이 1인칭이면 나의 심리 태도만 따라가라고 하십니당

  • 오르자동동 · 629065 · 16/04/28 00:16 · MS 2015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주인공시점 구분을 굳이 하지 않아도된다는거죠??

  • 태횽킴 · 653301 · 16/04/28 00:38 · MS 2016

    '나' 가 없을걸요 관찰자는 아닌가?

  • 오르자동동 · 629065 · 16/04/28 00:55 · MS 2015

    둘다 '나'잇어요

  • 태횽킴 · 653301 · 16/04/28 00:57 · MS 2016

    옴마야 공부해야겠다

  • 내일의나 · 525608 · 16/04/28 19:31 · MS 2014

    1인칭 주인공 : 서술자인 내가 나에대한 이야기를 할 때. - 시종일관 지 얘기만함
    1인칭 관찰자 : 서술자인 내가 남 (주인공) 얘기를 할 때. - 서술자인 내가 남얘기를 주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