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칭 주인공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342279
제일 큰차이가뭐죠??
1인칭 관찰자시점도 서술자의 내면,심리가 드러나는거맞죠??
다른 인물을관찰하면서 내면심리가 드러나도되는건가요??
구분어캐하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342279
제일 큰차이가뭐죠??
1인칭 관찰자시점도 서술자의 내면,심리가 드러나는거맞죠??
다른 인물을관찰하면서 내면심리가 드러나도되는건가요??
구분어캐하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이야기 초점이 누구한테 맞춰져있나로 구분하면 되요
자기얘기 하는건지 다른사람 썰 푸는건지
1인칭 : 서술자가 작품 내
관찰자 :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없다
주인공 :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있다.
즉 작품내 등장인물인 서술자가 자신이 아닌 다른 주인공을 관찰한다고 생각하시면 됨.
ex)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옥희
관찰자시점은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아예없나요?? 다른 주인공을 관찰하면서 내면심리가 들어간 것은 주인공시점으로봐야되는건가요??
주인공의 심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작중 서술자의 시선에 머무른다면 1인칭 관찰자가 되겠죠.
근데 다른 주인공의 내면심리를 추측이 아니라 정확히 심리묘사한다면 더이상 그 서술자는 작품속이 아니라 작품 밖 3인칭 전지적 서술자로 바뀌겠죠. (실제 삶에서 타인의 마음을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사람은 없죠)
그리고 기존의 작품속 화자는 초점화자(단수초점)가 되겠네요.
1인칭 관찰자시점은 잘 알려진 우리나라 작품 자체가 얼마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팡일쌤은 구분지을필요 없이 1인칭이면 나의 심리 태도만 따라가라고 하십니당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주인공시점 구분을 굳이 하지 않아도된다는거죠??
'나' 가 없을걸요 관찰자는 아닌가?
둘다 '나'잇어요
옴마야 공부해야겠다
1인칭 주인공 : 서술자인 내가 나에대한 이야기를 할 때. - 시종일관 지 얘기만함
1인칭 관찰자 : 서술자인 내가 남 (주인공) 얘기를 할 때. - 서술자인 내가 남얘기를 주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