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분들이 이번 입시에 좌절하신거 같아서 주제 넘지만 한번 말씀드려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26674
고등학교 3학년까지 혹은 N수까지 수많은 시간을 쏟아붓고 노력하며
목표를 향해 달려 오셨을거라 믿습니다.(게시판이 게시판인 만큼...)
게시판 눈팅을 조금 해보니 대충 어떤 상황인지 알 것 같네요.
비록 저는 재수를 하는 입장이고 여러분에 비해 성적이나 실력 혹은
정신력과 사고력까지 많이 부족할 수 있지만 말씀 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빌 게이츠가 한 말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인생이란 원래 공평하지 못하다.
그런 현실에 대하여 불평할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여라."
빌 게이츠와 양대산맥을 이루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이런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 여정이 바로 보상이다"
수시를 통해 정시보다 조금 쉽게 대학을 들어간 학생들이 있고(그런데 그게 과연 쉽다고 할 수 있는 건지 저는 모르겠습니다.)
정말 피터지게 노력해서 정시에서 어마어마한 점수를 받고도 결국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신 분들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그 결과를 내기까지 달려간 여정들을 한번 돌아보세요.
자신에 인생에 있어서 그만큼의 노력을 쏟아붓고 열정을 불태웠던 적이 더 있나요?
아마 없을꺼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원했던 대학과 과를 들어가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분명 자신보다 노력하지 않고도 그 목표를 이룬 사람이 있을수도 있구요.
하지만 원래 인생이란 공평하지 못한 것이라는데 어쩌겠습니까.
(심지어 세상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중 한명도 느끼는데!)
그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했던 그 과정에서 얻은 대가로 만족하고
다음 단계로 발걸음을 옮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대학을 못간다고해서 여러분의 인생이 끝나는건 아닙니다.
여러분이 잘 알고 계시는 작가 파울로 코엘료의 십대와 이십대는 어땠을까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십대땐 정신병원을 들락거리고 이십대때는 락밴드를 했으며
삼십대때는 음반회사에 취직해 중역의 자리까지 올랐다가
사십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자신의 소년시절 꿈인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분명 우리의 관점에서 실패한 십대, 이십대를 산 파울로코엘료는
결국 실패하였나요?
그의 소설 연금술사는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팔렸을까요? 또 얼마나 많은 독자들이 공감하고 있을까요?
과연 그가 십대, 이십대때 공부에만 열중하며 수많은 쓰라린 경험을 하지 못했더라면
혹은 자기의 십대 이십대를 후회하며 그 삶을 고치기 위해서만 살았더라면
그의 저서 연금술사,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같은 베스트셀러들이 쓰여질 수 있었을까요?
요세 가장 잘나간다는(?) CEO 스티브 잡스 역시 파울로 코엘료와 비슷한 성공의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그는 대학시절 자신이 다니던 대학을 중퇴하고 여러 강의를 청강합니다. 대부분이 그가 큰 성공을 거둔
IT계열이 아닌 인문학 계열의 수업이었고 그중에선 서예수업도 있었습니다.
당시 그의 삶에서 그 것은 크게 중요한 일은 아니였습니다.
서예수업을 들어서 돈을 벌수가 있겠습니까 여자를 꼬실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10년 후 그가 맥킨토시 컴퓨터를 디자인하게 되었을때 서체 수업을 받았던 경험은
맥킨토시 컴퓨터의 서체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덕에 맥킨토시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체를 가진 첫번째 컴퓨터가 되었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하고자 하는 얘기를 마무리 짓자면
지금 당장 여러분이 원하는 과와 원하는 대학을 가지 못했다고해서
실망하고, 실패했다고 느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패는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것이 아니라 과정이 올바르지 못한 것 입니다.
그 과정이 올바르다면 이미 그 과정만으로 큰 결과를 얻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88만원세대의 저자 우석훈씨는 스펙쌓기가 아닌 경험쌓기를 여러 글들을 통해 강조했습니다.
이미 고학력에 토익 토플 만점찍고 각종 자격증 가지고 있는 고스펙들은 쌓이고 쌓였습니다.
여러분들은 이제 결과에 치우쳐서 과정을 반복하시려하지 마시고,
그 열심히 쌓아왔던 과정을 다시한번 타산지석삼아 더 많은 경험을 하셔야 합니다.
지금 여러분이 어떤 경험을 하든 그것이 그릇된 것만 아니라면
그 모든 일은 여러분의 꿈을 이루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좌절하지도 마시고 슬퍼하지도 마십시오.
당신은 지금도 충분히 이 세상을 바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힘내세요 파이팅!
저는 그 과정이 잘못되었기에 23살이란 나이에 다시한번 수능에 도전하려 하고 있습니다.
군대를 가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고등학교때 저는 정말 말도 안될정도로 놀지도 않고 공부도 안했더라구요.
물론 2011학년도 수능을 자체적으로 쳐본결과 평균 6등급이었지만(...)
목표만은 연대 경영으로 잡았습니다! 많은 응원부탁드려요.
(글은 언어영역 공부한다 생각하고 쓴거니 애교로 읽어주시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요거 꽃다발이 아니라 심장인걸 알ㅇㅅ을때의 충격....
-
롤슈 떴구나 0
만델라 엔딩이라니 너무 아쉽다
-
미치겠다
-
작년에 쓴 문제 재탕하는게 왜 욕을 그렇게 쳐먹었던건지 모르겠음 우수하고 배울게...
-
뭐 난이도 라던가....표본....등등...
-
코로나 걸렸을 때랑 비슷함 너무 열나서 살이랑 뼈랑 분리되는 감각
-
공부해
-
찌그러진 토끼 카카오 이모티콘 내가할말 얘가다함 애들이 나 보고 만들엇냬 진짜 ㅅㅂㅋㅋㅋ다산다
-
이제 수학 개념 나갑니다. 까먹긴햇지만 2학년때 쎈 2회독하기도 했고 3떳습니다....
-
미네깃테유쿠 난다카~
-
맞추나 궁금해서 잠이안옴
-
롤체해야지 6
목표:챌린저
-
느낌이 좋다 3
몬스터 두 캔 빨았더니 잠도 거의 안 오다시피 하고 필기본 노트에 옮겨쓰는 중인데...
-
자취 여부랑 함께 말해주면 더 ㄱㅅ 보통 70 쓰나?
-
칼럼 목표는 1
뭘 찾으려고 하는 검색어일까
-
시발 4
아
-
제가 작년에 사놓은 책이 2025 뉴런,수분감,시냅스가 있는데 그냥 풀까요 아니면...
-
ㅍㅈ가 뭐게 341
피자 피지 피즈 퍼즐 또 뭐있죠
-
위 문제는 각각 2509 30번, 2506 12번입니당. 위에껀 ㄹㅇ 계산만 12분...
-
외국 살다가 군복무 마치고 오랜만에 공부하는데 예전엔 다 했었는데 지금은 기억 나는...
-
너무 아름다우심.. 저런분들은 왜 내 근처엔 없는거지
-
20수능 가형 30번풀이 이 풀이를 보고 같은 종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격의 차이를 느꼈음
-
어버이날과 겹쳐서 겸사겸사 사려는데 고민 중 원래 사려던 비녀+장신구+책갈피 세트는...
-
26시간 하려면 내일 아침 8시까지는 해야 될거같은데 ㅋㅋ
-
D-2 ㅇㅈ 1
수학 더이상 할게없음 이제 으으
-
ㄹㅇ
-
2옥라에서멈춤 시에서가성처리함
-
결혼이나 여러 가지 '으른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보면 내 얘기가 아닌데도 일단...
-
나머지 과목은 동사로 정했구 백분위는 정법이 더 좋은거같긴한데 공부량이나 여러가지...
-
누워서 문제만들고싶다
-
이해원N제 책이 1
이해원 모고 문제를 재탕하는 문제집인가요?
-
내 청력이 이럴리 없는데
-
힘들군
-
2시간정도만눈붙일까 10
흠
-
우항항 12
ㄹ.ㄹ
-
절 실물로 보실 기회가.. ㅎㅎ
-
레어 버그인가 4
두번 눌렀더니 두개 생겼네
-
지금 만나는 사람이랑 똑같음 생각해보니까 그러네 그에비해 난 아직 철이 덜 든거같음
-
오늘의 야식은 2
불닭과 핫바..
-
ㅇㅇ
-
14시간의 전사라는 매우 고통스러운 길을 선택하게됨
-
잘래요 10
내일은 기숙사 퇴사하러 학교로 드라이브~ 오르비언 여러분 모두 굿밤
-
B0도 사실 굉장히 성의있게 공부한거라는걸 깨달아버림
-
반갑습니다 5
여러분
감사합니다,,
님도 파이팅이여요 ㅎㅎ
그런데 댓가->대가아닌가요(?).. 그냥 확 보여서요 ㄷㄷ;;
고쳤어요~ ㅋㅋ 감사합니다
문장력이 좋으신데요...
어린 제가 님을 이렇다저렇다 평가하기는 좀 그렇지만..
문과는 소위 글빨로 먹고살아가는데..
조금만 노력하시면 수능도 잘 치실것같은 문장력이신데요..
꼭 원하는 대학 원하는 과 합격하시기를요... 화이팅
어이쿠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ㅋㅋㅋ
고맙습니다
이말밖엔...
대학이라는게 인재양성만이 목적은 아니지요
연구를통한 지적문화의 창조와 발전도, 지도자양성 못지않는 존재이유랍니다!
상경계폭발은 초유감이지만.....
진정으로 `우수한학생`이 언수외 3개이내 틀린 학생인지?
아니면 1등급언저리 학생중 integration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우수한것인지?
입시개념의 패러다임도 조금씩 변해가는느낌이 듭니다
오히려 80년대 대학을 다니시지 않으셨던 분들이 요세의 대학생보다 의식도 높고
속칭 깨어있는 분들이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시대의 차이때문이 아니라 의식의 차이때문에 일명 선동열학점이셨던 분들도
쉽게 취직하고 그랬던게 아닌가 싶구요.
이런 의식을 깨워주고 교육해야하는게 대학의 존재 이유라고 생각하는데
어쩌면 근래 청춘문화의 중심이 대학문화위주에서 10대위주로 넘어가고 있는건
대학들이 대학생을 대학생답지 못하게 양성해서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좋은 글 정말 감사합니다. 읽으면서 눈물이 핑 도는군요..
필력이 정말 좋으시네요..좋은 글 감사합니다. 님도 건승을 기원하겠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ㅎㅎ